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싱가포르, 2040년까지 내연기관 차량 단계적 폐지
  • 통상·규제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최선미
  • 2021-12-20
  • 출처 : KOTRA


싱가포르는 운전자가 보다 친환경적인 전기 자동차를 구매 및 이용하도록 장려하는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2040년까지 모든 내연 기관 차량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싱가포르 교통부(Land Transport Authority, LTA)에서는 싱가포르에서 새로운 디젤 자동차와 택시의 등록이 2025년부터 중단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싱가포르 차량 현황


디젤 차량은 최근 몇 년 동안 그 수가 줄어들었고 ‘20년 12월 기준으로 싱가포르의 1만 5,678대 택시 중 약 42%가 디젤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싱가포르 교통부(LTA)의 데이터에 따르면, ‘21년 10월 기준 택시 중 디젤차량 비중이 35% 가량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21년 10월 말 기준으로 싱가포르에는 2,300여 대의 전기 승용차(LTA 분류 중 Cars, Electric)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년 연말 기준으로 전기차가 1,217대, ‘19년 연말 기준으로는 1,120대였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사용 연료 유형별 자동차 수 추이 (일부차량 대상)>

(단위: 대, %)

차량분류

연료유형

2019

2020

2021.10

대수

비중

대수

비중

대수

비중

자동차(Car)

Petrol

574,967

91.18

572,132

90.24

569,513

88.44

Diesel

18,049

2.86

18,076

2.85

18,117

2.81

Petrol-Electric

35,718

5.66

41,845

6.60

53,149

8.25

Petrol-Electric (Plug-In)

473

0.08

552

0.09

668

0.10

Electric

1,120

0.18

1,217

0.19

2,309

0.36

Diesel-Electric

19

0.00

18

0.00

20

0.00

Petrol-CNG

250

0.04

202

0.03

171

0.03

Total

630,596

100

634,042

100

643,947

100

택시(Taxis)

Petrol

24

0.13

21

0.13

18

0.12

Diesel

9,759

52.63

6,508

41.51

5,399

35.10

Petrol-Electric

8,626

46.52

9,117

58.15

9,844

64.01

Electric

133

0.72

32

0.20

119

0.77

Total

18,542

100

15,678

100

15,380

100

버스(Buses)

Petrol

18

0.09

14

0.07

28

0.15

Diesel

19,248

99.60

18,798

99.40

18,432

99.18

Electric

10

0.05

50

0.26

75

0.40

Diesel-Electric

50

0.26

50

0.26

50

0.27

Total

19,326

100

18,912

100

18,585

100

자료: 싱가포르 교통부(LTA) 통계자료 바탕으로 작성

주: 1) 차량 분류에서 Motorcycles, Goods & Other Vehicles는 기재하지 않음.

2) 각 연도별 수치는 해당 연도(월)시점까지의 누적숫자를 의미함.

3) 수치에는 면세 차량 및 비포장도로용 차량(RU 번호판)은 제외

 

차량 규제


2040년까지 모든 내연 기관 차량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자동차에 대한 COE(Certificate of Entitlement)가 10년 동안 지속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2030년부터 모든 신차 및 택시 등록은 청정 에너지 모델이어야 한다고 교통부(LTA)에서는 언급했다. 그와 동시에 교통부(LTA)는 디젤 자동차 및 택시의 신규등록을 2025년부터 중단할 예정임을 밝혔다. 2030년까지 모든 신차를 "청정 에너지" 모델로 만들겠다는 목표보다 5년 더 앞선 계획인 셈이다. 해당 친환경 에너지 모델로는 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 연료 전지 자동차 등이 거론되었다. 교통부(LTA)는 또한, 이러한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개발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2030년 이전에 등록 가능한 모델의 정의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현 계획 


싱가포르 내 지속가능한 미래 구축을 위해 친환경을 강조하는 중장기계획인 Singapore Green Plan 2030(SGP30)에 따라 전기차(EV, Electric Vehicle) 채택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포괄적인 (EV로드맵이 운영되고 있다. 전기차(EV) 기술의 발전으로 2020년대 중반까지 (EV)와 내연기관 자동차(Internal Combustion Energy, ICE) 차량의 구매 비용이 비슷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1) 충전소 구축

딜로이트의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연구(Deloitte Global Automotive Consumer Study)에 따르면, EV 채택에 있어 충전 인프라의 부족은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전기 자동차의 가격을 통한 유인뿐 아니라, 전기 자동차 채택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접근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2030년까지 싱가포르 전역에 60,000개의 EV 충전 지점을 배치하는 목표의 일환이며, 이 중 40,000개는 공용 주차장에, 20,000개는 개인 건물에 배치될 예정이다. LTA에 따르면, 2030년까지 자동차의 3분의 1이 전기차라고 가정했을 때 전기차 대 충전소 비율은 약 5:1이 될 예정이다. ‘21년 7월 기준으로는 약 2,000개의 충전소가 있으며 내년까지 200개의 공용 주차장에 600개의 충전소가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다.

싱가포르의 전기 자동차(EV) 충전 인프라 확장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25년까지 최소 8개 타운의 모든 HDB(공공주택, Housing and Development Board)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될 예정이다. 8개 타운으로는 Ang Mo Kio, Bedok, Choa Chu Kang, Jurong West, Punggol, Queenstown, Sembawang 및 향후 Tengah까지가 우선 선정되었다. 싱가포르 교통부(LTA)에서는 2030년대까지 모든 HDB 도시를 "EV-ready" 도시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2) 자동차세 및 인센티브 제공

싱가포르에서는 EV 구매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한 인센티브를 포함하여 향후 5년 동안 EV 관련 이니셔티브에 3,000만 싱가포르 달러가 배정하였다. 교통부(LTA)에서는 2021년 강화된 EEAI(Electric Vehicle Early Adoption Incentive) 및 VES(Vehicular Emissions Scheme)와 같은 이니셔티브가 전기 자동차와 내연 기관 자동차 간의 가격 차이를 줄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EEAI는 전기 자동차 구매자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반면 VES는 환경오염 차량(pollutive vehicle)에 대해 더 많은 징벌적 할증료를 부과한다.

 

<운전자 대상 인센티브 종류>

인센티브

세부내용

EV Early Adoption Incentive (EEAI)

2021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새로 등록된 전기 자동차와 택시는 최대 $20,000까지 추가 등록비(Additional Registration Fee, ARF)에서 45%의 리베이트를 받게 된다. 전기 자동차 소유의 초기 비용을 더욱 낮추기 위해 2022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ARF의 최소 지불액 $5,000를 제외하고 대중 시장 전기 자동차가 전체 리베이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Enhanced Vehicular Emissions Scheme (VES)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밴드 A1*과 A2의 차량에 대한 리베이트는 자동차의 경우 $5,000, 택시의 경우 $7,500 인상된다. Band A1의 자동차는 $25,000의 리베이트를, Band A2의 자동차는 $15,000의 리베이트를 받게 된다.

Commercial Vehicles Emissions Scheme (CVES)

상업용 차량은 가장 오염이 심한 차량에 대해 $10,000의 추가 요금을 부과하고 가장 오염이 적은 차량에 대해 $30,000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세 가지 밴드로 분류된다. 이는 구매자가 오염 카테고리 범주 전반에서 배출량이 더 낮은 차량을 구매토록 권장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된다.

Enhanced Early Turnover Scheme (ETS)

2021년 4월 1일부터 기존 Euro 4 Cat C 디젤 차량도 ETS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ETS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상업용 차량의 수를 증가시켜 청정 차량으로의 전환을 장려한다.

자료: 싱가포르 교통부(LTA) 내용 바탕으로 작성

주: ’21.1.1.~’22.12.31. 내 등록된 싱가포르 자동차 및 택시는 기준에 따라 Band A1, A2, B, C1, C2로 나뉘며 세부내용은 LTA 홈페이지 및 one motoring에서 확인가능(등록시점에 따라 Band 종류 및 적용 인센티브 상이할 수 있음.)

 

싱가포르 내 실천사례


싱가포르 포스트(Singapore Post)는 지난 8월, 2026년까지 모든 경량 차량을 전기 차량으로 교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우선 두 대의 전기 스쿠터와 2대의 벤을 시범 운영하기 시작했다. SingPost의 목표는 2030년까지 절대 온실 가스 배출량을 35% 줄이는 것이다. SingPost는 또한 자사의 대형 차량을 전기 트럭으로 교체하기 위해 다양한 유통업체와 논의 중이며(’21년 8월 발표기준),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최초로 100% 전기 배송 차량 운행을 약속하는 우편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차량을 완전히 전기화하기 위해 노력한 다른 싱가포르 현지 회사로는 Wildlife Reserves Singapore가 있다. 공원 운영자는 올해 말까지 싱가포르 동물원, 리버 사파리, 나이트 사파리 및 주롱 새공원에 있는 모든 트램을 전기로 운행하도록 전환하는 과정에 있다.

 

시사점


교통부(LTA)는 전기차(EV)는 ICE(Internal Combustion Engine)로 구동되는 유사한 차량에 비해 절반의 CO2를 배출한다며, 모든 경자동차가 전기로 작동한다면 탄소 배출량을 150만~200만 톤 혹은 국가 전체 배출량의 약 4%만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EV 적극 도입을 통해 싱가포르의 탄소절감을 실현하고자 하는 친환경전략은 싱가포르의 중장기 도시계획과도 일맥상통한다.

싱가포르 교통부(LTA)는 EV 및 EV 충전 회사가 싱가포르에서 활동을 찾아 지역에서 기회를 포착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언급했다. 기업은 제품 연구 및 개발(R&D), 제조 및 본사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싱가포르에서 구상하고 실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싱가포르는 모빌리티 기업 생태계가 형성된 곳 중 하나이다. LTA에서는 그 예로, 자동차 OEM, Grab과 같은 이동 서비스 제공업체, Infineon과 같은 전자 및 부품 공급업체들이 싱가포르에서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생태계에서 배터리와 관련된 연구 개발을 위한 연구 분야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리튬 이온 배터리나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통해 미래의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생태계에 한발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싱가포르 교통부(LTA), The Straits Times, The Business Times, CNA,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2040년까지 내연기관 차량 단계적 폐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