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멕시코, 농수산 식품 수출 확대 정책으로 한국 기업의 견고한 식품 공급망 구축 가능성 열려
  • 경제·무역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최세령
  • 2024-12-20
  • 출처 : KOTRA

멕시코는 세계 11위 식품 생산국으로 주요 생산품목은 아보카도, 옥수수, 그린칠리, 쇠고기, 가금류 등이 있음

식량 안보 및 공급망 다변화 차원에서 멕시코도 주요 수입국으로 고려 가능

HS code (대표)


0203.29

0203.19

0303.89

0303.53

0202.30

돼지고기
(삼겹살 등, 냉동)

돼지고기
(삼겹살 등, 신선, 

냉장)

냉동 생선

냉동 정어리

뼈없는 냉동 쇠고기

0202.20

0206.49

2208.90

0308.90

0206.29

쇠고기 

(뼈째로 절단한 것

냉동)

돼지족발 등 (냉동)

브랜디류.소주.고량주.데낄라기타주류
(80도 미만)

우렁쉥이(멍게 등)

(활어.신선.냉장.냉동.염장.염수장.훈제)

소의 꼬리.족 등 

(냉동)



멕시코의 식품 생산 및 수출


멕시코는 세계 식품 생산에서 중요한 국가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멕시코는 세계 11위의 식품 생산국이자 11위의 농작물 생산국, 10위의 1차 축산업 생산국, 16위의 어업 및 양식업 생산국이다. 멕시코 국가 경제에서 식량 생산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멕시코는 식량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광범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멕시코에는 약 3,000개의 농산물 창고, 1,198개의 동물 도축장, 90개의 도매 식품 시장이 있다. 또한 73개의 어항, 26,914킬로미터의 철도, 407,783킬로미터의 고속도로와 138개의 농업용 댐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를 통해 멕시코는 식품 산업의 대규모 생산, 유통 및 수출 활동을 영위하고 있다.

* 본 시장 뉴스에서 '식품 산업'은 1차 산업 중 임업을 제외한 농업, 어업, 축산업과 2차 산업인 식품 가공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


세계무역기구(WTO)는 식품 수출에 있어 멕시코가 2022년 9위에서 2023년 7위로 올라섰으며, 수출액은 500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멕시코의 식품 수출 능력은 14개의 자유무역협정을 기반으로 하는 13.7억명의 잠재 소비자와 다양하고 광범위한 농림어업 생산물, 저렴한 노동력으로 뒷받침 된다. 이러한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멕시코는 세계 식품 산업에서 선도적인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3 세계 10대 식품 수출국>

(단위: USD 십억)


[자료: WTO, 2024. 12.]

 

1차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멕시코의 1차 산업은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023년 멕시코 GDP의 4.1%, 679억 달러에 해당하며, 6.2%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전체 1차 산업 분야 중 가장 큰 기여를 하는 분야는 농업으로 전체 GDP의 2.7%를 차지한다. 축산업, 임업, 어업 등 다른 하위 부문도 그 비중은 작지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2차, 3차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여도에도 불구하고 농림어업은 여전히 멕시코 경제 발전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2021-2023 1차 산업이 멕시코 국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단위: USD 백만)


2021

성장률

(2021-2022)

2022

성장률

(2021-2022)

2023

점유율

(2023)

국가 GDP

1,394,968

11.9%

1,560,923

6.6%

1,663,274

100.0%

1차 산업

56,089

14.0%

63,940

6.2%

67,926

4.1%

- 농업

37,178

16.1%

43,171

4.6%

45,161

2.7%

- 축산업

16,413

9.5%

17,966

10.1%

19,783

1.2%

- 임업

1,530

13.4%

1,735

7.2%

1,860

0.1%

- 낚시, 사냥, 트래핑

583

8.5%

632

8.3%

685

0.0%

- 농업 및 임업 활동 관련 서비스

386

13.3%

437

0.1%

437

0.0%

2차 산업

474,038

14.6%

543,378

5.8%

574,851

34.6%

3차 산업

864,842

10.3%

953,605

7.0%

1,020,497

61.4%

[자료: 멕시코 통계청, 2024. 12.]


주요 품목별 생산량 


생산량 측면에서 2023년 멕시코의 임업을 제외한 1차 산업 생산은 전년과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가공 식품 생산은 총 2억 9,900만 톤으로 0.3%의 소폭 감소를 기록했다. 2024년 1차 산업(임업 제외) 생산량은 2억 9,32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도별 기후 변화가 연간 생산량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2023년 멕시코는 아보카도, 블랙베리, 그린칠리 품목 생산량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였다. 이외에도 멕시코는 다양한 전략 상품을 생산하고 있다.


<2023년 멕시코 식품 품목 중 생산량 기준 전 세계 상위 10위 안에 드는 품목>

품목

전 세계

순위

생산량 톤

전 세계 

생산량 비중

품목

전 세계

순위


전 세계 

생산량 비중

아보카도

1

2,973,344

N/A

망고

5

2,299,983

4.20%

블랙베리

1

238,122

21.80%

호두

5

167,777

8.40%

그린 칠리

2

3,681,061

8.40%

소고기

5

2,214,928

N/A

라즈베리

2

190,412

18.30%

블루베리

6

80,133

3.70%

레몬

2

3,239,915

14.40%

옥수수

6

27,549,918

2.30%

아스파라거스

3

347,291

2.20%

접시 달걀

6

3,171,784

N/A

파파야

3

1,148,546

8.20%

주키니 호박

7

553,352

3.20%

자몽

3

488,141

5.20%

토마토

7

3,636,927

N/A

문어

3

26,915

10.40%

가금류

7

3,888,208

3.10%

브로콜리

4

662,948

2.80%

7

58,033

3.80%

잇꽃

4

65,760

7.00%

새우

7

244,043

2.80%

콜리플라워

4

105,406

N/A

사탕수수

8

5,224,248

N/A

오렌지

4

4,942,659

6.30%

8

723,642

3.50%

오이

4

1,036,717

N/A

병아리콩

8

142,684

1.00%

정어리

4

771,015

5.30%

코코넛과 코프라

9

439,285

N/A

딸기

5

641,552

5.90%

양상추

9

552,940

1.80%

구아바

5

406,082

4.00%

파인애플

9

1,272,559

N/A

[자료: 멕시코 농업개발부(SIAP), 2024. 12.]


식품 산업 수출 및 수입 동향


2023년 1차 산업어업 수출액은 총 427억 달러로 연간 1.9%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291억 달러로 연간 1.1% 증가했다. 수출은 2010년, 수입은 2021년 이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멕시코는 2023년 식품 산업에서 136억 달러의 무역 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2019-2023 멕시코의 주요 식품 무역>

(단위: USD 백만)


(자료: Trademap)


세부 수출 품목을 살펴보면, 2023년에 수출액이 가장 큰 품목은 '맥주'였으며, '데킬라'와 '아보카도'가 그 뒤를 잇고 있다.


<2021-2023 주요 수출 품목>

(단위: USD 백만)

품목

2021

성장률

(21-22)

2022

성장률

(22-23)

2023

맥주

5,618

7.4%

6,031

2.2%

6,163

데킬라

3,317

31.4%

4,357

1.7%

4,429

소고기

2,999

-0.3%

2,990

8.8%

3,253

아보카도

3,270

1.6%

3,321

-5.1%

3,153

토마토

2,587

3.7%

2,684

11.3%

2,988

베리

2,759

7.2%

2,959

-1.9%

2,904

설탕

1,826

31.3%

2,397

-2.8%

2,331

칠리

1,563

-5.0%

1,485

7.3%

1,593

[자료: 농업 관련 자문사 GCMA, 2024. 2.]


주요 수출 국가를 살펴보면, 미국이 전체 수출의 85%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 2.6%, 캐나다 1.9% 순이었다. 수입은 미국(64%), 캐나다(8%), 브라질(7%)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 멕시코의 주요 식품 수출입 국가>

(단위: USD 백만)


수출

수입

국가

수출액

비중

국가

수입액

비중

1

미국

36,325.5

85.0%

미국

18,821.9

64.6%

2

일본

1,113.4

2.6%

캐나다

2,231.0

7.7%

3

캐나다

807.2

1.9%

브라질

2,198.2

7.5%

4

과테말라

318.1

0.7%

칠레

756.2

2.6%

5

스페인

281.2

0.7%

중국

574.4

2.0%

(자료: Trademap, 2024. 12.)



對 한국 농수산 식품 수출


농수산 식품 분야에서 멕시코의 對한 수출액은 1억 2,280만 달러를 기록하여 한국은 멕시코의 13번째 식품 수출국에 올랐다. 對한 수입액은 1,600만 달러로 한국은 멕시코의 38번째 식품 수입국에 해당된다. 2023년 멕시코에서 한국으로 수출된 주요 농산물 품목은 육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어류 및 갑각류가 26.5%, 음료, 주류가 5.7%로 그 뒤를 이었다.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인 품목군은 식용 과일 및 견과류로 연간 2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HS Code 6 단위로 살펴보면 돼지고기 냉동 및 냉장 두 품목이 전체 수출의 38%를 차지했으며, 해당 품목은 각각 110.7%0.1%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했다.


<2021-2023 한국으로 수출하는 상위 5개 농수산 식품 품목(HS 2단위)>

(단위: USD 백만)

#

Code

품목

2021

성장률

(21-22)

2022

성장률

(22-23)

2023

점유율

(2023)

1

02

육류 및 식용 육 내장

77.1

7.5%

82.9

-12.3%

72.7

59.2%

2

03

어류 및 갑각류, 연체동물 및 기타 수생 무척추동물

30.7

27.4%

39.1

-16.9%

32.5

26.5%

3

22

음료, 증류주 및 식초

3.5

129.3%

8.0

-13.6%

6.9

5.7%

4

08

식용 과일 및 견과류, 감귤류 또는 멜론 껍질

6.6

-25.9%

4.9

24.4%

6.1

5.0%

5

17

설탕 및 설탕 과자

3.7

-0.9%

3.7

-28.1%

2.6

2.2%

(출처: Trademap, 2024. 12.)



<2021-2023 한국으로 수출하는 상위 10개 농수산 식품 품목(HS 6단위)>

(단위: USD 백만)

#

Code

품목

2021

성장률

(21-22)

2022

성장률

(22-23)

2023

점유율

(2023)

1

0203.29

돼지고기 (삼겹살 등, 냉동)

8.9

45.8%

13.0

110.7%

27.4

22.3%

2

0203.19

돼지고기(삼겹살 등, 신선.냉장)

12.3

60.2%

19.7

0.1%

19.7

16.0%

3

0303.89

냉동 생선

2.6

218.2%

8.3

-14.6%

7.1

5.8%

4

0303.53

냉동 정어리

2.9

214.5%

9.0

-54.9%

4.0

3.3%

5

0202.30

뼈없는 냉동 쇠고기

13.1

57.9%

20.6

-82.5%

3.6

2.9%

6

0202.20

쇠고기 (뼈째로 절단한것, 냉동)

5.0

205.1%

15.3

-77.3%

3.5

2.8%

7

0206.49

돼지족발 등 (냉동)

3.1

-63.8%

1.1

-32.5%

0.8

0.6%

8

2208.90

브랜디류.소주.고량주.데낄라, 기타주류(80도 미만)

0.4

118.1%

0.9

-16.6%

0.7

0.6%

9

0308.90

우렁쉥이(멍게 등) (활어.신선.냉장.냉동.염장.염수장.훈제)

4.0

-61.9%

1.5

-81.9%

0.3

0.2%

10

0206.29

소의 꼬리.족 등 (냉동)

1.6

40.8%

2.3

-88.8%

0.3

0.2%

(출처: Trademap, 2024. 12.)


식품 분야 주요 기업


멕시코에는 식품 및 농자재 산업에 다양한 기업들이 포진해 있다. 여기에는 Industrias Bachoco, SuKarne(육류 및 가금류 생산), Grupo Altex, Cargill(곡물 및 가공 농산물 무역), Yara México and Adelnor(농자재 분야), 그리고 바나나를 생산하는 Coliman Bananas가 포함된다.

<2023년 멕시코의 주요 식품 및 농자재 기업>

(단위: USD 백만)

회사

제품

국가

매출액

Industrias Bachoco

소고기, 칠면조,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

멕시코

5,221

SuKarne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생선

멕시코

3,727

Ingredion México

육류 제품, 제과, 준비된 과일, 수프, 요구르트

미국

1,547

Cargill

곡물, 유지 종자, 옥수수 가루, 설탕

미국

667

Yara México

비료 및 농업 솔루션

노르웨이

411

Grupo Altex

과일, 냉동 야채, 주스

멕시코

351

Adelnor Grupo Empresarial

종자, 비료, 농약

멕시코

219

Coliman Bananas

바나나

메시코

194

[자료: 멕시코 일간지 Expansión, 2024. 6.]


멕시코의 농수산 식품 산업 트렌드


멕시코 식품 산업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후, 무역 정책, 인플레이션 간의 상호 작용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멕시코 식품 산업은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높은 회복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가뭄과 이로 인한 물 부족은 옥수수, 콩, 대두와 같은 주요 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기후 변화에 대한 멕시코 농업 부문의 취약성을 드러낸다. 2024년 상반기에 치와와, 미초아칸, 시날로아, 소노라, 타마울리파스와 같은 지역은 심각한 물 부족을 겪었으며, 해당 지역의 사탕수수, 콩, 옥수수, 견과류, 밀과 같은 농작물 생산은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뇨'로 인한  가 문제가 최근 멕시코 북서부, 서부, 중부 지역에서 심화되고 있다. 


멕시코 정부는 식품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산업을 강화하여, 경제와 식량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멕시코 정부가 취한 주요 조치 중 하나는 2023년 2월에 현지 품종을 보호하고, 식품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변형 옥수수 수입을 제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러한 조치가 USMCA 무역 협정 위반임을 주장하면서 국가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된 바 있다. 


2024년 11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월마트, 소리아나, 빔보 등 멕시코 내 주요 유통 기업들과 협상을 진행하였으며, 최대 '기본 장바구니' 가격을 12.4% 인하한 910페소로 낮추기로 합의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기존의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인플레이션 방지 패키지'의 일환으로, 가계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참고로, '기본 장바구니'에는 우유 1리터 5개 , 계란 18개, 닭고기 1kg, 쌀 1kg, 옥수수 또띠야 4kg, 설탕 1kg 등이 포함된다.


최근 들어 멕시코 정부는 정책적 지원을 통해 농수산 식품 수출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멕시코의 식품 생산자들은 해외 시장을 선별하고, 외국에서 요구하는 품질 및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데 정부의 도움을 받고 있다. 정부는 중소 생산자들이 구매력이 높은 해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한국도 목표 시장 중 하나라고 밝힌 바 있다


셰인바움 대통령도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공공정책을 통해 농수산 식품의 무역 흑자를 늘리겠다는 목표를 강조했다. 세부 정책 내용으로는 농림어업 분야 보건 및 안전 기준 개선, 관련 분야 과학 기술 혁신, 시기적절한 시장 정보 제공, 통관 모니터링 강화 등이 포함된다. 또한 소규모 생산자와 농식품 중소기업을 공급망에 통합시킬 것을 언급하였다. 농업 분야 민간 단체를 대표하는 후안 코르티나 갈라르도 국가농업위원회(CNA) 회장은 멕시코 정부와 협력하여 시장 및 제품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시사점


멕시코는 아보카도, 육류 제품, 가공식품 등 다수의 고품질 식품을 경쟁력이 있는 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식품 유통 분야에서 한국 기업은 멕시코 식품 생산 기업과 파트너십을 통해 견고한 공급망을 구축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한 멕시코 대사관에 따르면 멕시코는 한국과 개별 상품 별 협정에 따라 특정 상품에 대한 수입 절차를 간소화해왔다. 현재 미초아칸 산 아보카도, 페르시아 라임, 테이블 포도, 아스파라거스, 바나나, 파인애플, 소고기, 돼지고기 등이 이에 해당 되며, 해당 품목군은 꾸준히 확대 되어왔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식품 생산 공정에서 멕시코산 원재료를 투입도 점진적으로 확대 될 전망이다.


멕시코 농업 발전과 관련한 우리기업의 협력 방안도 모색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는 기술 투자와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통해 농업 생산성 및 산업의 회복력 향상을 모색하고 있어 농기계, 관개 시스템, 디지털 농기구를 전문으로 하는 한국 기업에게 향후 비즈니스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첨단 관개 기술을 도입하거나 소규모 농가를 위한 저렴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등 멕시코의 농업 인프라 현대화를 위한 협력 프로젝트는 양국 간 무역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물 부족 및 기후 변화 대응 문제도 같이 해결 방안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성은       표에 부합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멕시코 농업개발부 SIAP(Sisemade Información Agroalimentaria y Pesquera), WTO, 멕시코통계청, Trademap, , El País, Expansión, El Economista, GCMA,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멕시코, 농수산 식품 수출 확대 정책으로 한국 기업의 견고한 식품 공급망 구축 가능성 열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