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캄보디아 쌀 산업 현황
  • 경제·무역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오승준
  • 2023-12-22
  • 출처 : KOTRA

- 전 세계 13번째 쌀 수출국 캄보디아

- 협력을 통한 안정적인 쌀 수급 확보 가능

캄보디아 농업 및 쌀 생산 동향


농업은 캄보디아 2022년 GDP의 22.2%, 2021년 총 고용의 38.85%를 차지하는 주요 산업이다. 1990년대 이후 농업 분야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캄보디아 정부는 전통적인 자급자족에서 상업적 플랜테이션으로 산업구조를 전환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더불어 민간분야에서의 농업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생산량 및 경지 면적이 크게 증가했다.


쌀은 캄보디아의 농업 GDP의 약 60%를 차지하고, 캄보디아 전체 농경지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농업부문 대표 농작물이다. 더불어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1,650만 명의 인구 중 약 76%가 쌀 생산 중심의 농업에 의존하고 있어 생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캄보디아 쌀 생산량이 2014년 932만 톤에서 2022년 1,162만 톤으로 약 24.7%, 국내 소비량을 제외한 잉여생산량은 동일기간 470만 톤에서 629만 톤으로 약 44.5% 증가하며 농업에서 쌀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캄보디아 쌀 생산 현황>
(단위: 백만 톤, 백만 ha)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총 생산량

10.52

10.89

10.89

10.94

12.21

11.62

국내 소비

4.96

5.06

5.13

5.01

5.26

5.33

잉여생산량

5.56

5.84

5.76

5.92

6.95

6.29

경지 면적

3.21

3.34

3.33

3.40

3.55

3.40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Annual Report 2023]


캄보디아 농림수산부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1995년 이후 쌀 자급자족분 외에 잉여생산량을 수확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쌀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으며, 상당량의 잉여생산량을 중국, 유럽 등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쌀 잉여생산량의 경우 2013년 483만 톤에서 2022년 629만 톤으로 약 30.4% 증가했고, 덕분에 캄보디아는 주요 쌀 수출국 중 한 곳으로 자리매김했다.


<2013-2022년 캄보디아 총 쌀 생산량>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Annual Report 2023]


쌀 수출 현황


캄보디아의 경우 농산물 가공 산업 발전 수준이 낮아 쌀을 포함한 대부분의 농산물 수출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 이루어진다. 캄보디아에서 수확되는 농작물의 약 10%정도 캄보디아 내에서 가공되며, 가공 농산물 수출은 2020년 캄보디아 전체 수출의 5%에 불과하다.


다른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캄보디아 쌀 수출은 대부분 도정을 거치지 않은 벼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로 태국과 베트남에 수출되고 있다. 현지 언론사인 Cambodianess의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2022년 347만 7,886톤 규모의 벼를 수출하여 8억 4,100만 달러 수익을 기록했다.


한편, 캄보디아 제분업체의 도정 기술력이 점차 증가하면서 도정을 거친 백미 수출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럽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중국의 쿼터 개방에 힘입어 2018년 4억 1,186만 달러에서 2022년 4억 6,141만 달러로 백미 수출에 증가세를 보인다. ITC Trade Map 통계에 따르면, 캄보디아 백미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으로 2022년 전체 백미 수출의 약 39% 이상을 차지한다. 이어 프랑스, 말레이시아, 네덜란드, 영국, 체코, 브루나이, 독일 등 유럽 국가와 인접국가에 대한 수출이 뒤를 잇는다.


<2018-2022년 캄보디아 백미 수출 통계>
(단위: US$ 천)

구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중국

121,401

171,245

158,436

190,371

180,407

프랑스

58,770

59,904

56,661

51,708

79,386

말레이시아

34,843

26,768

32,500

31,050

33,673

네덜란드

20,646

22,512

17,080

16,120

21,620

영국

11,830

7,566

9,853

7,521

15,551

체코

9,704

6,381

5,791

4,617

14,410

브루나이

8,551

19,608

13,810

10,323

13,096

독일

24,544

15,344

13,751

10,689

11,726

··

총계

411,862

456,383

471,261

433,354

461,140

주: HS Code 1006.30 기준 산출
[자료: ITC Trade Map]


캄보디아 농업 개발 정책


쌀을 중심으로 한 농업이 캄보디아 경제 성장에 중요함에 따라 정부에서 관련 부문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다수의 정책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정책 및 계획

주요내용

2015 농업 확장정책

2015년 농업 부문의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시장 수요와 지역 및 글로벌 경쟁에 대한 농업 가치사슬의 대응력을 증진하여 캄보디아 농업을 현대화하기 위한 정책.

캄보디아의 모든 농촌 및 농민이 발전된 농업 지식, 정보, 기술을 습득하여 농업 생산성, 다양화, 상업화, 지속가능한 관리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2019-2023 농업 부문 전략적 개발 계획

농업의 생산성 향상 및 다양화·상업화, 동물 건강 및 번식 제고, 어업 관리 및 양식 개발, 지속가능한 임업 및 야생동물 자원 관리·개발, 지원 서비스 및 인적자원 개발의 효율성 향상 추진

2022-2030 국가 농업 개발 정책(NADP)

정부부처, 개발 파트너, 민간 부문 대상 농업 부문 실행에 대한 광범위한 지침으로 농업 가치 사슬의 현대화 및 상업화, 농업 부문에 대한 공공 및 민간 투자,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기후 변화의 회복, 제도 개혁 및 범부처적 이슈 등 네 가지 주요 분야를 설명하고 높은 경쟁력과 포용력을 갖춘 농업 성장을 목표로 함.


시사점


최근 이상 기후와 함께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중단 등 등으로 식량 수급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식량 안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캄보디아의 경우          , 2022   13     쌀 시장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특히, 2017년 이탈리아와 다른 6개의 유럽연합국에서 캄보디아 쌀의 대량 유입으로 현지 쌀 가격이 급락하여 무역 불균형을 보호하기 위해 캄보디아 쌀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조치를 요청했고 2019년 유럽연합 집행위에서 제한 조치를 발동한 만큼, 캄보디아 쌀 수출이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7월 인도가 국내 시장의 쌀 가격 상승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기습적 수출 금지 조치를 취했다. 쌀 최대 수출국인 인도의 금수 조치로 아시아, 아프리카 등의 여러 국가에서 쌀 가격 인상에 따른 부담과 대체 수입처 발굴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처럼 쌀 공급망 교란으로 식량 안보가 불안정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캄보디아는 훌륭한 수입처가 될 수 있다. 특히,  는  생산 확대 및 고부가가치화를  정책 시행 등   한편, 적극적인 대외 력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즉, 유망한 캄보디아 쌀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쌀 수급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World Bank, ADB, ITC Trade Map,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 쌀 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