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中 수입시장에서 K-소비재 경쟁력의 현주소
  • 경제·무역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2-02-22
  • 출처 : KOTRA

화장품, 생활용품, 의류/패션 등 중국 수입시장내 경쟁력 약화 조짐

획기적인 차별화 제품으로 수출 경쟁력 강화해야

 

2021년 중국의 대한 수입액은 2136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대의 가파른 신장세를 보이며 3년 만에 2000억 달러를 넘어선 가운데 K-소비재 수입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본 보고서는 2021년 중국의 대한 수입액 1000만 달러 이상의 61개 품목(HS 8단위 기준) 수입 증가율, 수입시장점유율 등을 살펴보고 K-소비재의 중국 수입시장 내 경쟁력을 짚어보고자 한다.

 

주력 품목

 

중국이 우리나라로부터 수입하는 소비재는 주로 화장품, 음료·간식, 인스턴트식품, 각종 세정제와 의류/패션 등이다. 특히 기초화장품은 수입규모가 37억4000만 달러에 달하는 ‘초대형 품목’이다. 이외에도 무알콜 음료, 라면, 식사 대용 식품 등 기타 식품, 샴푸까지 총 6개 품목의 지난해 대한 수입액이 1억 달러를 넘어섰다. 2021년 중국의 대한 수입규모가 5000만 달러를 상회하는 품목(HS 8단위 기준)은 총 18개, 1000만 달러 이상인 소비재는 61개에 달했다.

 

<중국 대한 수입액 1000만 달러 이상 소비재>

(단위: 천 달러, %)

순위

HS Code

품목

2019

2020

2021

증감률('21/'20)

1

3304.9900

기초화장품(스킨/로션/마스크팩)

2,912,210

3,134,462

3,743,233

19.4

2

3401.3000

세안용 폼클렌징/손 소독제

65,991

126,156

359,791

185.2

3

2202.9900

무알코올 음료(야채/과일 주스 제외)

99,668

109,903

162,095

47.5

4

1902.3030

인스턴스 면(라면)

121,479

150,007

150,958

0.6

5

2106.9090

기타 식품(이유식, 식사대용 식품 등)

57,420

96,435

135,232

40.2

6

3305.1000

샴푸

100,839

108,689

125,800

15.7

7

1701.9910

과립 설탕

76,340

88,347

92,731

5.0

8

3405.9000

광택제(구두약 등)

50,395

64,911

89,528

37.9

9

3305.9000

헤어케어용품(헤어린스/크림/에센스)

50,236

92,641

83,961

△9.4

10

9001.3000

콘택트렌즈

66,628

55,278

72,858

31.8

11

4205.0010

시트 커버/쇼파 커버

12,796

36,590

67,156

83.5

12

1901.1010

영유아 조제분유

62,774

62,836

66,627

6.0

13

4202.2200

플라스틱/방직용 섬유재로 만든 핸드백

17,464

30,054

65,877

119.2

14

6110.2000

면 풀오버(의류)

20,306

36,838

64,937

76.3

15

3304.2000

눈 화장품

52,274

61,320

57,757

△5.8

16

3004.9090

기타 약품

61,824

36,764

54,392

48.0

17

3304.1000

입술 화장품

40,946

59,981

52,432

△12.6

18

3304.9100

파우더(화장품)

42,729

40,934

51,033

24.7

19

1604.2099

생선 캔/통조림

41,970

48,320

46,283

△4.2

20

2103.9090

기타 조미료

29,547

43,885

45,128

2.8

21

1212.2141

43,363

20,342

44,549

119.0

22

1904.1000

곡물 또는 곡물제품을 팽화 또는 베이킹한 식품(스낵, 시리얼등)

14,605

21,011

43,194

105.6

23

3402.9000

기타 표면 활성제

20,824

19,018

33,787

77.7

24

6110.3000

인조섬유로 만든 후드티

24,227

23,983

32,024

33.5

25

1211.2099

인삼/홍삼

19,769

22,723

31,933

40.5

26

3402.2090

유기표면활성제

(세탁액/변기세정세/섬유유연제)

29,326

27,415

31,500

14.9

27

3306.1010

치약

28,766

34,113

31,498

△7.7

28

6505.0099

모자(메리야스/뜨개질 편물)

7,048

14,062

30,090

114.0

29

2009.9010

혼합 과일주스

30,204

22,551

28,316

25.6

30

9701.1019

그림/파스텔/삽화(종교 회화 제외)

2,815

2,844

24,902

775.6

31

8451.2100

의류 건조기(의류량 ≤10kg)

5,739

9,316

24,726

165.4

32

8516.6030

전기밥솥

16,111

19,279

24,711

28.2

33

1905.9000

기타 베이커리 제품(떡볶이 등)

7,024

14,043

24,117

71.7

34

6204.3200

여성 면 상의

22,831

22,349

24,102

7.8

35

9001.5099

유리 이외의 재료로 만든 안경렌즈

24,412

22,397

23,857

6.5

36

3004.2090

기타 항균약품

16,346

20,219

23,750

17.5

37

6204.6300

합성섬유로 만든 여성바지

6,531

9,552

21,335

123.4

38

9201.1000

업라이트 피아노

28,088

18,760

20,713

10.4

39

4202.9200

기타 용기(플라스틱/방직용 섬유재로 만든)

20,127

21,866

20,498

△6.3

40

0303.8990

기타 냉동어류

28,514

22,816

19,746

△13.5

41

6204.6200

여성 면 바지

19,573

18,749

19,372

3.3

42

3004.2012

약품(Ceftazidime)

17,717

10,934

18,977

73.6

43

9405.4090

기타 조명기구

21,546

15,220

17,813

17.0

44

6307.9000

기타 방직용 섬유재로 만든 제품

6,298

222,221

17,622

△92.1

45

2008.1999

견과류 제조품(허니버터 아몬드 등)

13,633

16,768

16,440

△2.0

46

1905.3100

과자(스윗 비스킷)

12,994

13,836

16,287

17.7

47

6109.1000

면 티셔츠

7,388

9,627

16,178

68.0

48

9619.0020

생리대

19,252

16,666

16,087

△3.5

49

3004.2019

기타 항생물질 함유한 약품

15,903

21,460

14,353

△33.1

50

3924.9000

플라스틱 세수대야, 다용도 통

19,935

19,848

14,162

△28.7

51

8516.7990

기타 전기가열기구(요구르트 제조기 등)

13,053

16,199

13,739

△15.2

52

8509.4010

착즙기

13,049

13,652

13,632

△0.1

53

0401.2000

우유, 생크림

18,793

16,477

13,623

△17.3

54

1704.9000

캔디, 젤리

13,272

13,893

12,707

△8.5

55

6204.3300

합성섬유로 만든 여성상의

3,570

5,275

12,446

136.0

56

7615.1090

알루미늄 주방용품

11,257

11,344

12,345

8.8

57

3924.1000

플라스틱 식기, 주방용품

22,918

17,031

12,135

△28.8

58

2101.1200

인스턴트 커피

9,974

10,515

11,443

8.8

59

3401.1910

세탁비누

15,681

9,902

11,177

12.9

60

2202.1000

광천수, 탄산수, 사이다

6,750

6,973

10,758

54.3

61

1302.1990

식물성 수액과 추출물(홍삼추출액 포함)

10,251

10,222

10,748

5.1

[자료: Global Trade Atlas]

 

품목별 대한 수입 동향 및 경쟁력

 

1) 화장품

 

K-뷰티는 주력 품목으로 지난해에도 대중 수출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기초화장품, 세안용 클렌징폼/손 소독제, 샴푸 등 품목이 대한 화장품 수입을 견인했다. 그러나 수입 증가율, 수입시장 점유율 등을 비교해 볼 때 K-뷰티의 중국 수입시장 내 경쟁력은 약화 조짐을 보인다.

 

대한 수입액 37억4000만 달러 규모를 자랑하는 1위 품목인 기초화장품의 경우에 한국산은 중국 수입시장에서 일본, 프랑스에 이어 3위에 머물러 있다. 1위인 일본과 5.5%p 점유율 차이를 보인다. 코로나 사태로 중국의 손 소독제/세정제 수입이 세자릿수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한국산은 20.2%의 수입시장점유율로 2위에 올랐다. 대한 수입액도 코로나 이전인 2019년의 5.5배로 대폭 확대됐다. 하지만 대한 수입 증가율은 중국 평균치를 하회하고 있으며 1위인 일본산과의 점유율 격차가 17%p에 달한다.

 

한국산 샴푸의 수입규모는 1억300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대한 수입 증가율은 중국 평균치의 절반에 그쳤다. 색조화장품과 헤어케어 용품의 2021년 대한 수입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기초화장품에 과도하게 편중된 품목 구조 심화, 기초화장품 수입시장 경쟁 과열화 및 한국산의 경쟁력 약화 등으로 고전하고 있는 양상이다.

 

<한국산 화장품의 중국 수입시장 내 경쟁 동향>

 

[자료: Global Trade Atlas]


2) 식품

 

화장품과 달리 다수의 K-푸드가 중국 수입시장점유율 1위를 자랑했다. 무알코올 음료, 식사 대용 식품 등 기타 식품은 중국 수입 증가율 평균치를 크게 웃돌며 1위를 차지했다. 김, 인삼/홍삼 제품은 거의 100% 한국으로부터 수입한다. 그러나 중국 시장수요 변화에 따라 품목별 수입 증가율 및 전망의 명암이 엇갈린다.

 

대한 수입액 6위 소비재인 영유아 분유는 중국의 출생아 수 감소로 최근 몇 년간 수입이 답보상태이다. 3년 만에 출생아 수가 460만 명 줄어든 가운데 영유아 조제분유 시장 위축은 불가피해 보인다.

  · 중국 출생아수: (2018년) 1523만 명 → (2021년) 1062만 명

  · 중국 영유아 분유 수입: (2018년) 47억7000만 달러 → (2019년) 51억9000만 달러 → (2020년) 50억5000만 달러 → (2021년) 43억3000만 달러

 

라면, 믹스커피 등 품목도 중국의 소비 트렌드 변화로 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한국산 라면은 중국 수입시장에서 64.3%의 점유율로 절대적 우위를 자랑하지만 수입 증가율은 1%를 밑도는 수준이다. 생선 캔/통조림의 대한국 수입은 2020년 15.1% 증가했으나 지난해 소폭 가라앉았다. 중국 커피 시장의 고급화 추세로 중국 커피 수입선은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 일본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

  · 수입액 기준 일본의 중국 인스턴트 커피 수입시장점유율은 14.6%, 수입량 기준으로는 6.7%임. 일본산 제품의 수입단가는 말레이시아산의 2.8배, 한국산의 2.6배임.

 

<중국 인스턴트 커피 수입시장점유율(수입액 기준)>

(단위: %)

순위

수입대상국

2019

2020

2021

1

말레이시아

39.5

35.4

33

2

베트남

29.5

27.7

23.9

3

일본

2.1

9

14.6

4

한국

7.4

6.6

6.2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산 식품의 중국 수입시장 내 경쟁 동향>

 

[자료: Global Trade Atlas]

 

3) 생활용품

 

지난해 중국의 한국산 세탁액, 주방세제, 섬유유연제, 광택제 수입은 모두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중국 각종 세정세 수입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한국산 제품이 중국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인정을 받고 있음을 방증한다. 그러나 중국 세정세 수입시장에서 절대적 1위를 자랑하는 일본산과는 20%p에 가까운 점유율 격차를 보인다. 한국산 세탁비누 수입은 지난해 12.9% 급증하며 1년 만에 1000만 달러대로 회복됐지만 6년 전인 2015년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국산 알루미늄/플라스틱 주방용품은 높은 수입시장 점유율을 자랑했지만 중국 소비자들의 건강 인식 강화로 수입이 미진한 상황이다. 플라스틱 세수대야 등은 중국산이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빠르게 추격해오면서 대한 수입은 지난해 28.7%의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산 생활용품의 중국 수입시장 내 경쟁 동향> 

주: 1) 세탁액, 주방세제, 섬유유연제 등은 모두 표면 활성제로 소매포장 여부 등에 따라 HS 3402.20.90이나 HS 3402.90.00으로 분류

2) 중국산 부품이 해외에서 변형가공에 그쳐 중국으로 재수입될 경우 ’중국산‘으로 집계

[자료: Global Trade Atlas]

 

4) 의류/패션

 

2021년 한국산 의류/패션 수입은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보였다. 가방, 모자, 합성섬유로 만든 여성 바지와 상의 등은 세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수입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이탈리아와 동남아 국가와 큰 차이를 보인다. 프리미엄 시장에서 브랜드파워가 강한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 패션 강국, 저가 시장에서는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베트남 등 노동집약형 생산기지의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조기 진압에 성공한 중국에서 일상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콘택트렌즈 수입도 증가했다. 중국 콘택트렌즈 수입 증가율은 2020년 4.7%에서 2021년 49%로 대폭 확대됐다. 2020년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했던 한국산 수입도 지난해 전년대비 31.8% 증가했다. 한국산 수지(소재) 렌즈 수입도 2020년 8.3% 감소했다가 2021년 6.5% 소폭 반등했다. 그러나 2개 품목 모두 대한 수입 증가율이 중국 평균치를 하회하고 있으며 1위 수입국과 30%p의 점유율 격차를 보인다.

 

<한국산 의류/패션의 중국 수입시장 내 경쟁 동향>

 

[자료: Global Trade Atlas]

 

5) 가전/인테리어 용품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가구, 조명, 인테리어 소품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중국의 K-소비재 수입실적도 이러한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다. 코로나 시대 수입시장의 대세 품목으로 급부상 중인 시트커버, 장식용 액자(그림)가 대표적이다. 2021년 중국의 한국산 장식용 액자 수입은 8배 가까이 늘었다. 조명기구 대한국 수입은 17% 증가한 1781만 달러로 나타났다. 특히 시트 커버의 대한국 수입액은 2년 만에 5.2배로 급격하게 확대했으며 85%의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자랑한다.

 

<중국 대한 수입 생활용품 수입시장 경쟁 동향>

 

[자료: Global Trade Atlas]

 

코로나 반사이익으로 몸집을 키우는 리빙 관련 품목과 달리 K-가전은 품목 간 온도 차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산 전기밥솥 수입은 2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이며 2017년 이후 4년 만에 2000만 달러를 돌파했다. 이에 반해 착즙기, 커피머신/스팀청소기/비데 등 기타 전기가열기구의 대한 수입 증가율은 지난해 모두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실제로 이 2개 품목은 코로나 이전부터 수입시장이 위축돼 왔으며 최근 3년간 수입시장 규모는 각각 4000만 달러, 1500만 달러대에서 등락을 반복해왔다.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업체들의 맹추격이 관련 수입 감소의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전망 및 시사점

 

중국의 경기하방 압력은 커지고 있지만 일상 정상화로 화장품, 사치품, 의류/패션, 세정제 등 품목의 수입 수요는 올해도 견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지난해 중국의 화장품, 액세서리, 핸드백, 골프채, 모피의류 등 수입은 모두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우리 기업들은 중국 소비시장의 변화와 트렌드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시장전략을 제정, 조정해야 한다.

  · 2021년 품목별 수입 증가율: 기초화장품 17%, 액세서리 56.7%, 향수 46.8%, 가발 239.9%, 콘택트렌즈 49%, 핸드백(가죽) 53.7%, 골프채 62.9%, 모피의류 88.3%

 

획기적인 차별화 제품으로 중국 수입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한국 상품은 우수한 품질, 세련되고 사용자를 배려한 디자인 등으로 중국 소비자의 인정을 받지만 시장 포지셔닝이 애매하고 브랜드 파워가 약하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로컬제품에 이어 동남아산까지 가성비를 내세워 맹추격해 오고 있으며 프리미엄 시장에서 일본산, 구미산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양상이다. 제품경쟁력에 더해 디지털 플랫폼, 콘텐츠 등을 활용해 K-소비재 수출 동력 지속 창출이 필요한 시기이다.

 

 

자료: 중국 해관총서, Global Trade Atlas 등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수입시장에서 K-소비재 경쟁력의 현주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