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세네갈 산업개관
- 국별 주요산업
- 세네갈
- 아비장무역관 윤하림
- 2024-11-04
- 출처 : KOTRA
-
세네갈은 서비스 부문이 GDP의 50% 차지, 제조업은 24%, 농업은 16% 차지
세네갈 산업전략(2021-2035)을 통해 농업 및 서비스 기반에서 산업 및 제조 기반으로 전환 목표
세네갈의 산업화 전략(2021-2035)
세네갈의 산업화 전략(2021-2035)은 경제 구조를 농업·서비스 기반에서 산업·제조 기반으로 전환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과 청년 고용 창출을 목표로, 자원 변환, 제약 산업, 기술 혁신 등 네 가지 주요 축에 중점을 두고 2035년까지 아프리카의 산업화 선도 국가가 되려는 비전을 담고 있다.
외국인 투자 유치 및 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특수경제구역 지정
세네갈 정부는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특수경제구역(ZES, Zone Economique Spéciale)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설립 목적은 세네갈의 경제 다각화, 제조업 육성, 고용 창출, 그리고 지역경제 성장을 가속하는 데 있다.
특수경제구역(ZES)은 산업 자유구역의 개념에만 국한되지 않고, 산업 단지 조성, 서비스 공간, 사무실, 물류 플랫폼, 상업 지구, 관광 단지, 주거 지역 등 다양한 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산업, 수공업, 의류 제작, 장비 및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수익 창출 활동을 유치하기 위해 조성된 다기능 구역으로, 세네갈 정부는 이러한 구역을 통해 새로운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인프라와 공공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속도를 높이고자 한다. 특수경제구역에 입주한 기업들은 독립된 행정체계와 별도의 세제 혜택 등 특별한 법적, 제도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세네갈 정부는 특수경제구역 활성화를 통해 서아프리카에서 필수적인 비즈니스 허브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네갈에는 5개의 특수경제구역이 있으며, 각각 Diass 지역(718헥타르), Diamniadio 지역(53헥타르), Sandiara 지역(100헥타르), Bargny-Sendou 지역(100헥타르), 그리고 Bélé-Kidira 지역(1000헥타르)에 위치해 있다. 그중에서도 Dianiado에 위치한 특수경제구역은 세네갈 수도인 다카르에 인접해 있으며, 제조업, 물류, 서비스업을 위한 기반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또한 자동차, 의류, 가전제품 등의 제조를 포함해 다양한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농업 발전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아그로폴 프로그램(Agropole Program) 추진
세네갈 정부는 농업 및 농산물 가공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식품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동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세네갈의 아그로폴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지역별 아그로폴 구축
동 프로그램은 세네갈 중소기업 및 산업발전부의 관리하에, 전국에 걸쳐 5개의 아그로폴을 설치해 북부, 남부, 동부, 서부 및 중부 지역을 아우르며 발전 잠재력이 큰 가치사슬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부 지역은 면화 및 포니오 재배, 서부 지역은 양계업, 양목축 및 낙농업을 중심으로 추진 중이며, 북부 지역은 땅콩, 쌀, 어업 중심으로, 중부 지역은 곡물, 땅콩 및 소금, 남부 지역은 과일 및 채소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2) 가공산업 지원 및 일자리 창출
세네갈 정부는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가공 산업을 지원하고, 농업 생산물을 지역 내에서 소비하거나 수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농업 및 가공업에서 지역 청년 및 여성의 참여를 장려해 고용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네갈 정부는 지역 내 경제 활동을 활성화하고 농업 부문을 국가 경제 성장의 주요 원동력으로 발전시키려 하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 농산물 및 식품 산업에서 궁극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세네갈 산업 부문 구조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경제 구조는 서비스 부문이 GDP의 5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제조업 부문은 24%, 농업 부문은 1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네갈의 1차 산업은 농업, 광물 산업이 발달해 있다. 세네갈의 주요 농작물로는 땅콩, 검은 눈 완두콩, 카사바, 포니오, 수박, 밀, 쌀, 옥수수 등이 있다. 농업 육성을 위해 세네갈 정부는 아그로폴 프로그램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농산물 재배 및 가공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세네갈은 인산염, 철광석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세네갈은 전 세계 인산염 생산의 대표 국가 중 하나며, 지르코늄, 티타늄, 대리석, 금, 석회암 및 여러 종류의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돼 있다.
2차 산업의 경우 주로 비료와 인산을 생산해 인도로 수출하고, 땅콩을 가공해 식용유와 가축용 사료를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해산물 가공 산업도 중요하나 자원의 고갈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세네갈의 주요 산업 부문은 식품 생산이며, 그 뒤를 섬유와 화학 산업이 잇고 있다. 세네갈의 산업은 건축 자재, 기계 및 장비, 전기, 수돗물 생산도 포함하고 있다. 정부는 제약, 바이오의료 및 전통 약재 산업을 위한 통합 단지인 '파마폴리스(Pharmapolis)'를 지원하고 있다.
3차 산업의 경우, 세네갈의 우수한 통신 인프라 덕분에 텔레서비스와 인터넷에 대한 투자가 촉진되고 있다. 이 분야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세네갈은 유럽 여행객 증가로 인해 관광 서비스업도 발달하고 있다.
2024년 세네갈 산업별 생산 동향
세네갈 통계청(ANSD, Agence Nationale de la Statistique et de la Démographie) 자료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광물 추출 산업 생산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3% 증가한 반면, 금속 광석 추출은 1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24년 8월 기준 제조업 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3% 감소했으며, 이는 종이 및 판지(-30.8%), 금속 및 주조(-28.6%), 광물 자재(-13.1%), 농식품 제품(-2.8%)에서의 큰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
2024년 8월 기준 전기, 가스 및 수도 부문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8% 성장했으며, 이는 전기 및 가스(+4.6%)와 수도 생산(+5.8%)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산업 생산량은 2024년 8월 기준 폐기물 처리 및 처분 분야(+7.1%)가 증가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세네갈 산업 부문 매출 동향
세네갈의 추출 산업은 2024년 2분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0% 감소했는데, 이는 금속 광석 판매가 10.0% 줄어든 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추출 제품은 2.2% 증가했으며, 2024년 상반기 전체 매출은 9.3% 증가했다.
면화 가공 활동은 분기별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4년 상반기 누적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상반기 제조업 누적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 감소했다. 이는 주로 종이, 판지, 인쇄 및 녹음 재생 산업의 매출 감소(-14.4%)와 농식품 제품의 판매 감소(-5.5%)에 기인한다. 그러나 섬유 및 의류(+41.3%), 금속 및 주조 제품(+34.7%), 정제 및 코크스 제품(+9.0%), 화학 및 제약 제품(+2.7%), 광물 자재(+2.0%) 등 일부 부문은 성장을 보였다.
한편, 전기, 가스 및 수자원 생산 산업은 수돗물 판매(+10.2%)와 전기 및 가스 판매(+6.9%)의 증가에 힘입어, 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8% 증가했다.
환경 산업은 폐수 및 슬러지 수집(+84.3%)과 폐기물 처리 및 처분(+5.8%)의 큰 성장에 의해 뒷받침돼 2024년 상반기에는 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세네갈의 산업화 전략은 농업과 서비스 중심의 경제에서 산업 및 제조 중심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한국 기업에 농업 가공 및 기술 집약적 산업 분야에서 협력할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세네갈 정부는 한국의 친환경 기술과 재생 에너지 솔루션을 도입할 좋은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양국 간의 경제적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세네갈 정부가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해 수립한 특수경제구역은 한국 진출기업들에 세제 혜택, 투자 인센티브 등 세네갈 시장 진출에 유리한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세네갈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세네갈의 풍부한 광물 자원은 한국 기업에 원자재 공급망 구축의 기회를 제공하며, IT 및 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통해 세네갈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자료: 세계은행, 세네갈 정부 홈페이지, 아그로폴 프로그램 홈페이지, 세네갈 통계청, Credit Agricole Francais 및 KOTRA 아비장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세네갈 산업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천연 스킨케어의 부상, 네덜란드 소비자들의 선택 변화
네덜란드 2024-11-04
-
2
2024년 이집트 자동차 산업 정보
이집트 2024-11-04
-
3
필리핀 베이커리 시장동향
필리핀 2024-11-04
-
4
폴란드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동향
폴란드 2024-11-11
-
5
화장품
일본 2020-06-26
-
6
인구 고령화 및 디지털 혁신, 포르투갈 의료기기 시장 성장 주목
포르투갈 2024-10-2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