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년 태국 에너지/광물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태국
  • 방콕무역관 윤장옥
  • 2021-12-02
  • 출처 : KOTRA

가. 산업특성

 

1) 정책 및 규제

 

태국 에너지부는20202월 ‘통합에너지 청사진(2015~2036)’ 개정 관련 공청회를 실시하고 전력개발계획(PDP), 에너지효율개발계획(EEDP), 대체에너지개발계획(AEDP), 천연가스 공급계획, 석유관리계획 등 5개의 통합 마스터 플랜수정안을 발표하였다.

통합에너지 청사진(2018~2037) 개정본은 아직까지 공개된 바 없으나 각 에너지 개발계획의 개정본은 이미 발표되었으며, 2015년 이후 현재까지 에너지 개발 및 사용 현황을 반영하여 새롭게 예측한 2037년 에너지수요와 자원 고갈에 대비하여 각 계획안을 수정하였다.

 

태국통합에너지청사진(2018~2037)에따른 5개통합마스터플랜의주요내용

계획명

개정주요내용

1. 전력개발계획 2018 개정본 1

(PDP 2018 revision 1)

ㅇ지속가능성(Sustainable), 에너지가격적정성(Affordable), 지역사회의 에너지 사업 참여를 통한 소득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Energy for All) 강조

- Energy for All 정책에 따라 2020~2024년 지역발전설비로부터의 전력 구매량1933MW를 감안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9.3% 축소

- PDP 2018대비, 바이오매스발전용량을546MW에서1,183MW로확대

- 북부(치앙마이, 치앙라이, 파야오, 람품지역) 전력시스템 안정성을 위한270MW 매모(Mae Moh) 석탄화력발전소 9호기 폐쇄기한 연장(2022년→2025)

- 매모(Mae Moh) 발전소12호기,  13호기 폐쇄기한 연장 (2025년→2026)

2. 에너지효율개발계획

(EEP 2018)

ㅇ지역발전/송전/배전시스템 포함 전력 공급 안정성 확보

ㅇ대체에너지 및 스마트그리드 개발로 환경보존 강화

- 2037년까지 에너지 강도 30% 감소

- 2018-2037년 4만9064ktoe 의 에너지 절약 목표

* 규제 강화를 통해 1만8416ktoe(38%), 지원정책을 통해 3만648ktoe(62%) 절약 목표

3. 대체에너지개발계획

(AEDP 2018)

ㅇ지역 자체 발전시스템 개발을 통한 에너지 자립도 향상

ㅇ2037년까지 대체에너지 사용 비중 30% 수준 확대

- 2037년까지 수력 발전용량 371MW로 확대

- 2018-2037년 재생 및 대체에너지 발전 용량 1만8696MW로 목표

4. 천연가스공급계획(Gas Plan 2018)

ㅇ4 대 핵심 목표

 - 다양한 경제 부문에서 천연 가스 사용 촉진으로 대기 오염 문제 완화

 - 천연 가스 탐사 및 생산 가속화

 - 인프라 개발 장려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및 수송 터미널 개발 등)

 - 천연가스 사업 경쟁 촉진

ㅇ 2037년까지 산업부문 천연가스 사용률5% 향상

ㅇ천연가스 공급 및 발전에 필요한LNG터미널개발

- 천연가스 배관망 구축 확대 계획에 따라 산업부문 천연가스 수요 연평균 2% 증가 예상

ㅇ 2027년까지 타이만(Gulf of Thailand) 의 모든 천연가스 가스를 라영(Rayong) 가스 처리 공장으로 수송 (타이만 천연가스 생산능력이 라영 가스 처리공장 능력보다 낮은 경우)

ㅇ 2028년 말레이시아-태국 공동 개발 계약 만료 후 천연가스 구매 협상 목표 (남부 자나 발전소 사용 목적)

5. 석유관리계획 (Oil Plan 2018)

ㅇ 바이오연료 사용 비중 20% 목표

ㅇ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

- 최소 50일의 석유 매장량 보유 목표

초미세먼지 문제 완화를 목표로 화석 연료 사용 저감

- 2024년까지 유로5 100% 전환 목표

자료: 에너지정책기획실(EPPO)

 

태국 에너지부는 2020년 말 기존 전력개발계획 PDP2018의 개정본인 PDP2018 Revision 1을 발표했다.  PDP 2018 개정본 1호에서 2037년까지 총 발전설비용량 목표는 77,211MW로 PDP2018과 동일하며 신규증설 설비 발전용량 56,431MW를 확충 할 계획이다. PDP2018개정본의 핵심은 지속가능성(Sustainable), 에너지 가격 적정성(Affordable), 지역사회의 에너지 사업 참여를 통한 소득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Energy for All)이다. PDP 개정본1호에서는 Energy for All 정책에 따라 2020~2024 지역발전설비로 부터 1933MW전력을 구매 할 예정인바 이를  감안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9.3% 축소하였다. 화력/갈탄 발전 및 기타 신규증설 용량 규모는 각각 △31.03%, △16.9% 축소하고 해당 발전원 감소분 1940MW는 복합화력 발전 설비 용량에 추가하였다.

 

2) 최신 기술 동향

 

(에너지저장시스템(ESS))태국전력공사(EGAT)는 아시아 최초로 신규 에너지저장기술에 해당하는 풍수력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시범 도입하여 사용중이다. 2018 4월부터 나콘 라차시마주 럼따꽁 학습 센터에 300kW 용량의 풍수력 하이브리드 연료전지를 이용, 풍력발전을 통해 생산된 잉여 전기를 전해조에서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리해 수소가스를 저장한 뒤 전력요구량이 높은 시간대에 전력을 생산하고있다.


또한 2020 7월부터 차이야품주 밤넷나롱 고압 전류 송전탑(설치용량 16MWh), 롭부리 차이바덴 고압 전류 송전탑(설치용량 21MWh)에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BESS) 시범실시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력 생산의 변동성 문제를 해소하고 더욱 안정적인 전력 확보를 꾀할 예정이다. 현재 밤넷나롱 밤넷나롱 고압 송전탑과 차이바덴 고압 송전탑 ESS 시스템 설치 프로젝트는 2021 4월 기준 60% 진행되었고 9월에 설치를 완료하여 EGAT 전력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깐짜나부리 주 시나카린 댐 수력 발전소(4,5 360MW), 딱 주 8차 푸미폰 수력발전소(171MW), 나콘 라차시마주 람 따꽁 촐라파 와타나 수력발전소(1,000MW)에서는 ‘역순환 수력발전 펌프 저장’ 방식을 사용 중에 있다.

 

(블록체인 기술 활용)블록체인 서비스 제공기업인 아타토(Atato)사는 2019 4분기 에너지기업 반푸(Banpu)와 협력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거래 플랫폼 개발에 착수하였다. 이후 2020년 2분기 반푸 사는 태양광 에너지 산업을 위해 IoT, 마이크로그리드, ESS 기술을 활용하고 향후 AI, 블록체인 기술이 태양광 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발표했으나 구체적인 활용 방안 및 계획은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국영 재생에너지 기업 BCPG는 태양에너지 매매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최초 기업으로, 2018 T77 커뮤니티 몰에서 시범 프로젝트로 블록체인을 통해 태양에너지 매매를 시작한 이후 여러 커뮤니티 몰 및 주택 단지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태양에너지 매매를 진행해 왔다.

 

3) 주요 이슈

 

태국 최대 탄광은 북부 람빵주에 위치한 매모(Mae Moh)광산이나 2019냔 기준 매모 광산의 보유량은 약 30년 이내 고갈 될 전망인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태국 에너지부는 걸프만 지대 3 4873㎢를 아우르는 3개의 해상유전 개발을 위한 제 23차 석유탐사권 입찰을 2007년도에 실시하기로 하였으나 거듭 지연되다가 2014년 태국의 정정 불안정을 이유로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후 태국 에너지부는 지난해(2020) 4월경 제23차 석유탐사권 입찰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으나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하여 2021년 현재까지 입찰 일정이 또다시 연기되고있다. 태국 정부는 향후 제23차 석유 및 가스 시추권 낙찰 시 자본지출 규모가 약 15억 밧(484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있다.

 

그밖에 태국 정부는 향후 전력 부족 심화에 대응하고자 태국전력공사(EGAT)를 통하여 남부 끄라비주에 발전용량 800MW 규모의 화력발전소와 클라주 테파지역에 2000MW규모의 화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할 예정이었으나 지역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로 개발이 수 차례 지연되었다. 태국 에너지부 산하 에너지국은 2019 11 5000만 밧(161만 달러)을 투입하여 전략적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였고, 2020 3월 태국 에너지부는 환경, 지역. 경제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 설립을 발표하였다. 아울러 2020년12월9일 연구위원회와 지역주민 대표 참석하에 공청회를 개최하였으나 양측의 의견 대립으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했다. 이후 전략적환경교육평가위원회 마눈 시리탐 대표는 지역주민과의 갈등 해소를 위해 보다 세밀한 연구가 진행되도록 권고한바 있다.

 

4) 주요기업 현황

 

석유탐사 관련 분야는 태국 최대 정유그룹 PTT PTTEP(PTT Exploration and Production Plc)가 대표적인 기업이며, 전력발전 및 송전과 관련 분야는 태국전력공사(EGAT)가 대표 기업에 해당한다.

 

태국 주요 에너지기업 소개

기업명

구분

설립연도

기업소개

PTT Exploration and Production Plc (PTTEP)

천연가스, 응축액, 원유

1985

ㅇ 태국 국영 정유회사인 PTT 그룹의 자회사

ㅇ 태국 이외에도 미국, 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 지역 내 석유 및 가스 탐사 프로젝트도 수행

ㅇ 연료 판매도 수행

Chevron Thailand Exploration and Production

천연가스, 응축액, 원유

1962

ㅇ 생산된 천연가스 전량을 PTT에 판매하며 주로 전력발전에 사용

ㅇ 다수의 계열사*와 함께 프로젝트 진행

* Chevron Pattani Limited, Chevron Offshore (Thailand) Limited, Chevron Petroleum (Thailand) Limited, Chevron Thailand Holdings Limited.

임직원 1500명, 하도급 업자 1100명 보유

 

Sahakol Equipment PCL

석탄/갈탄 채굴

1983

ㅇ 메모광산 프로젝트 1(28억 밧), 2(76억 밧), 7(219억 밧), 8(228.7억 밧).

ㅇ 라오스 탄광 개발 프로젝트도 수행

Banpu PCL (1983)

석탄/갈탄 채굴

1983

ㅇ 매모 광산 프로젝트 일부 참여

Italian-Thai Development PCL

석탄/갈탄 채굴

1958

ㅇ 매모 광산 프로젝트 7기와 9기 일부 참여

ㅇ 라오스 탄광 개발 프로젝트도 수행

Electricity Generation Authority of Thailand(EGAT)

전력발전, 송전

1969

ㅇ 태국 최대 발전회사이자 태국 유일의 송전회사, 유일한 전기 구매자

ㅇ 전력생산

1) 태국 내 50개 발전소 보유(화력 3, 복합화력6,

수력 27, 신재생에너지 9, 디젤발전소 4, 기타 1)

2) 설치용량(2018): 15,789.58MW

ㅇ 전력구매(2018): 자가발전 구매, 13개의 IPPs (14,948.50MW), SPPs를 통한 구매(8,756.82MW), 라오스 및 말레이시아로부터 구매(3,877.60MW)

ㅇ 송전 전압: 500kV, 230kV, 132kV, 115kV, 69kV

Electricity Generating PCL(EGCO)

전력발전

1992

ㅇ 태국 최초 IPP로 전력 발전 및 에너지서비스 수행

- EGAT이 대주주(25.41%), TEPDIA(도쿄전력, 미쯔비시) 23.94%

- 설치용량(2018): 5,054.78MW(국내 3,314.96MW, 국외 1,739.82)

Ratchaburi Electricity Generating Holding PCL(RATCH)

전력발전

2000

ㅇ 전력 발전에 주력

ㅇ 발전소 및 광산 운영 및 관리, 전기차 프로젝트 투자

ㅇ 설치용량(2018): 7,577.01MW(국내 5,211.21MW, 국외 2,365.80)

EGAT이 대주주(45.00%)

Gulf Energy Development PCL(Gulf)

전력발전

2007

ㅇ 전력발전, 신재생에너지, 가스사업, 인프라 및 공공시설 사업 실시

ㅇ 설치용량: 11,910 MW

ㅇ 일본 J-Power 자회사

자료: 각 사 홈페이지

 

태국내 민간 발전업체는 규모에 따라 독립발전(IPP), 소규모발전(SPP),초소규모발전(VSPP) 3가지로 분류된다. IPP는 90MW 이상의 발전설비용량을 갖추고 주로 천연가스와 석탄을 원료로 발전하는 대형 발전기업이 해당되고, SPP는 10~90MW의 발전설비용량을 갖추고 태국전력공사와 5~25년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소규모발전업체, VSPP는 10MW 이하의 발전설비용량 사업자로 태양광, 수력, 바이오매스등의 재생·대체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하며 발전차액지원( FiT) 단가에 따라 생잔 전력을 판매하는 초소규모 발전업체가 해당된다. 지난 10년간(2010~2020) SPP와 VSPP업체 발전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특히 VSPP 발전 비중은 2010년 0.7%에서 2020년에는 5.4%로 증가했다.

 

발전업체 규모별 발전비중비교(2010년 VS 2020년)

external_image

자료: 크룽시은행연구소

 

태국주요에너지기업

규모

기업명

구분

설립년도

기업소개

IPP

Global Power Synergy PCL

전력발전, 응축액, ESS 저장

2014

ㅇ PTT 및 PTTGC 지분율각각 31.7%, 22.7%

IPP

Glow Energy PCL

전력발전, 응축액

1995

ㅇ계열사 16 개

ㅇ설비용량 3,094MW

ㅇ태국 외에 라오스에서 수력발전 프로젝트 수행

IPP

Eastern Power Group PCL

전력발전

1993

ㅇ열병합, 태양에너지발전

ㅇ태국 외에 일본에서 전력 프로젝트 수행

SPP

Rojana Power

전력발전

1996

ㅇ설비용량 275MW (90MW는 EGAT에 판매, 180MW는 로자나 산업단지내 판매)

SPP

National Power Supply PCL

전력발전

2010

ㅇ Double A Power 그룹의 자회사

ㅇ석탄전력발전용량 380MW

ㅇ재생에너지전력발전용량 726MW (10개발전소)

SPP

Khaokor Wind Power

전력발전

2009

ㅇ풍력발전설비용량 60MW

IPP

Bangchak Solar Energy

전력발전

2011

ㅇ Bangchak 그룹의자회사

ㅇ태양전력발전 설비용량 95MW (13개의태양광발전소)

IPP

Inter Far East Wind International

전력발전

2009

ㅇ Inter Far East Energy Corporation PCL의자회사

ㅇ풍력발전 설비용량 30MW

IPP

Songkhla Biomass

전력발전

2009

ㅇ바이오매스발전 설비용량 18MW

자료: 각회사홈페이지, 태국사업개발국, 크룽시은행연구소

 

. 산업의 수급 현황

 

태국의 1차 에너지 공급량은 2016년 14만 ktoe(석유환산톤) 이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2017년 감소했다가 2018년 증가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2020년에는 전년 대비 8.4% 감소한 12만 9182ktoe를기록했다.

 

태국의 1차에너지공급현황

(단위: ktoe)

external_image

자료: 태국에너지부산하대체에너지개발효율국자료를바탕으로 KOTRA 방콕무역관작성

 

2020년 태국의 에너지 생산량은 전년 대비66821ktoe으로 13.3% 감소했다. 태국의 에너지원별 생산량은 2020년 기준 천연가스가 2 8865ktoe으로 전체의 43.9%의 비중을 차지하여 가장 높은 생산비중을 기록했으며, 이어서 신재생에너지(27.9%), 석유(8.9%), 재생에너지(7.9%) 등의 순이다.

 

에너지원별 생산량

(단위: ktoe, %)

구분

생산량(Ktoe)

비중

증감률(%)

2018

2019

2020

2020

19-20

합계

73,222

74,550

65,821

100

-13.3%

석유

6,452

6,144

5,860

8.9%

-4.8%

석탄

3,702

3,546

3,282

5.0%

-8.0%

천연가스

31,113

31,450

28,865

43.9%

-9.0%

응축액

4,497

4,596

3,864

5.9%

-18.9%

신재생에너지

18,488

21,493

18,363

27.9%

-17.0%

재생에너지

8,312

6,772

5,179

7.9%

-30.8%

기타

658

549

408

0.6%

-34.6%

자료: 태국에너지부대체에너지개발효율국

 

에너지 수입량은 2018년에 8 3066ktoe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후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2020년 총 에너지 수입량은 전년 대비 1.3% 감소했고 석유제품, 재생에너지, 석유 수입 제외한 부분 수입이 증가했다. 에너지원별로는 석유수입량이 4 2291ktoe으로 전체의 54.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석탄(19.3%), 천연가스(18.2%) 순으로 수입이 활발했다.

 

에너지원별 수입량

(단위: ktoe, %)

구분

수입량(Ktoe)

비중

증감률(%)

2018

2019

2020

2020

19-20

합계

83,055

78,233

77,199

100

-1.3%

석유

47,467

43,497

42,291

54.8%

-2.9%

석탄

15,556

13,479

14,908

19.3%

9.6%

석유제품

2,570

4,595

1,862

2.4%

-146.8%

천연가스

13,800

13,666

14,064

18.2%

2.8%

응축액

1,308

754

1,512

2.0%

50.1%

전기

2,273

2,176

2,518

3.3%

13.6%

재생에너지

81

66

44

0.1%

-50.0%

자료: 태국에너지부대체에너지개발효율

 

태국의 석유와 역청유(HS 2709) 양대 수입국은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로 2020년 기준 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각각24.6%17.0%를 차지했다. 2020년 나이지리아 및 앙골라로부터의 수입은 각각 167.0%, 150.1% 대폭 증가한 반면 카타르로부터의 수입은 65.2%로 대폭 감소했다. 2013년 이후 한국으로부터의 석유 수입은 없거나 매우 소량이었으나 2020년 수입량은 2896.9만 달러로 22위를 차지했다.

 

태국의석유와 역청유(HS 2709) 수입현황

(단위: 백만달러, %)

순위

국가명

금액

비중

증감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19/20

세계

27,028

21,429

17,672

100.0

100.0

100.0

-17.5

1

UAE

8,171

5,851

4,348

30.2

27.3

24.6

-25.7

2

사우디아라비아

5,504

4,442

3,008

20.4

20.7

17.0

-32.3

3

미국

1,125

1,927

1,706

4.2

9.0

9.7

-11.5

4

앙골라

903

499

1,249

3.3

2.3

7.1

150.1

5

말레이시아

1,693

1,672

1,050

6.3

7.8

6.0

-37.2

6

러시아

1,347

1,074

1,035

5.0

5.0

5.9

-3.6

7

나이지리아

409

375

1,003

1.5

1.8

5.7

167.0

8

호주

1,603

782

941

5.9

3.7

5.3

20.4

9

인도네시아

1,145

713

631

4.2

3.3

3.6

-11.5

10

카타르

1,642

1,426

497

6.1

6.7

2.8

-65.2

자료: Global Trade Atlas

 

태국의 석유제품 수입은 2020년에들어 수입규모가 전년 대비 42.5% 급감했고 상위 10개 수입대상국으로부터 수입이 모두 감소했다.

2020년 기준 싱가포르, UAE, 쿠웨이트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각각 25.0%, 19.8%, 8.2%로 전체 수입 규모의 절반을 차지했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억1719만달러로, 전체 수입의 6.3% 비중을 차지하며 5위에 올랐다.

 

태국의 석유제품(HS 2710)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금액

비중

증감

2018

2019

2020

2018

2019

2020

19/20

세계

5,341

5,960

3,429

100.0

100.0

100.0

-42.5

1

싱가포르

898

1,228

857

16.8

20.6

25.0

-30.2

2

UAE

1,368

790

677

25.6

13.3

19.8

-14.3

3

쿠웨이트

626

418

281

11.7

7.0

8.2

-32.7

4

카타르

54

365

242

1.0

6.1

7.1

-33.6

5

한국

344

307

217

6.5

5.2

6.3

-29.4

6

말레이시아

628

481

206

11.8

8.1

6.0

-57.1

7

사우디 아라비아

765

400

200

14.3

6.7

5.9

-49.9

8

중국

169

923

162

3.2

15.5

4.7

-82.4

9

일본

196

190

129

3.67

3.19

3.78

-31.78

10

알제리

354

77

5.94

2.27

-78.05

자료: Global Trade Atlas

 

태국의 에너지 수출은 2020 1812ktoe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으며, 석유제품과 석유 수출이 각각 전체의 85.6%, 11.4%를 차지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에너지원별 수출량

(단위: ktoe, %)

구분

수출량(Ktoe)

비중

증감률(%)

2018

2019

2020

2020

19-20

합계

     12,587

     10,179

     10,812

      100

6.2%

석유제품

        10,903

          8,556

          9,253

85.6%

8.1%

석유

          1,494

          1,278

          1,230

11.4%

-3.8%

전기

               95

             242

             222

2.1%

-8.3%

천연가솔린

               28

               49

               51

0.5%

4.1%

석탄

               53

               41

               44

0.4%

7.3%

재생에너지

               14

               13

               12

0.1%

-7.7%

자료: 태국 에너지부대체에너지개발효율국

 

태국의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꾸준히 증가했으나, 2020년에는 코로나19에 따른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량 감소로 전체 에너지 소비량이 전년 대비 9.9% 감소하여 77340ktoe를 기록했다. 에너지원별로는 석유제품 소비량이 3 7124ktoe으로 전체의 48.0%를 차지하였고, 전기 소비는 16761ktoe 21.7%, 석탄 소비는 7983ktoe으로 10.3% 비중을 차지했다. 경제부문별로는 수송 부문에 38.4%로 가장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었으며, 산업용 37.0%, 주거용 13.1%, 상업용 8.2%, 농업용 3.0%, 건설용 0.2%, 광업용 0.1% 순이다.

 

에너지원별 최종에너지 소비량

(단위: ktoe, %)

구분

소비량(Ktoe)

비중

증감률(%)

2018

2019

2020

2020

19-20

합계

     83,691

     85,829

   77,340

100

-9.9%

석유제품

        41,384

        42,118

      37,124

48.0%

-11.9%

전기

        16,793

        17,296

      16,761

21.7%

-3.1%

석탄 등

          6,865

          7,083

       7,983

10.3%

12.7%

천연가스

          5,769

          5,565

       4,953

6.4%

-11.0%

신재생에너지

          7,669

          8,774

       6,717

8.7%

-23.4%

재생에너지

          5,211

          4,993

       3,802

4.9%

-23.9%

자료:태국 에너지부대체에너지개발효율국

 

. 진출 전략


1) SWOT 분석

 

S(Strengths)

W(Weaknesses)

ㅇ 비교적 큰 시장 규모(인구 6800만 명)

ㅇ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송배전 손실률이 낮은 수준

ㅇ 정정불안

ㅇ 정책변동성 및 입찰 실시 지연

ㅇ 천연자원 고갈

O(Opportunities)

T(Threats)

ㅇ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발전원료 다양화 정책 추진

ㅇ 민간부문에 의한 전력 발전 기회 확대추세

ㅇ 투자 및 민간 소비 부진으로 에너지 수요 하락 가능성

ㅇ 글로벌 경기 침체 등 경제 상황

 

2) 유망분야

 

태국 정부의 전력개발계획과 환경 문제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바 태국 내 신재생에너지 개발 관련 동향 및 정책을 주시하면서 사업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태국 정부는 태양광 이외에도 팜유, 사탕수수, 카사바 등을 주원료로 하는 바이오 연료의 개발 및 소비 진흥에도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관련 사기 사례 또는 사기 의심 사례가 자주 접수되는 분야인 만큼 계약체결 또는 사업 수행에 앞서 프로젝트와 관련된 사항을 철저하게 확인하고 조사해야 할 것이다.

 

그밖에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개발, 송유관 확장 및 교체, 태양광패널, 전력기자재에 해당하는 변압기, 전선, 케이블, 차단기, 배전기 등의 보급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자료: 태국 에너지부, 에너지정책기획실(EPPO), 대체에너지개발효율국(DEDE), 현지 언론보도(방콕포스트, 방콕비즈뉴스, 그린뉴스), 태국전력공사(EGAT), 태국 에너지기업 홈페이지(PTT Exploration and Production Plc (PTTEP), Chevron Thailand Exploration and Production, Sahakol Equipment PCL, Banpu PCL (1983), Italian-Thai Development PCL, Electricity Generating PCL, Ratchaburi Electricity Generating Holding PCL, Gulf Energy Development PCL, BCPG), Global Trade Atlas, 타이스마트그리드 및 방콕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태국 에너지/광물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