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알제리 농기계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알제리
  • 알제무역관 김희경
  • 2020-09-19
  • 출처 : KOTRA

 

가.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ㅇ 알제리 농업은 알제리의 주요 핵심산업 중 하나로 알제리 정부는 농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전개

    - 원유 수출에 의존한 국가 경제 성장이 지속하는 가운데 식량마저 수입 의존도가 높아 우려가 커짐에 따라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식량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농업 발전을 국가 정책 우선과제로 삼아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전개

    - 2000년 국가 농업 및 농촌 발전계획(PNDAR, Plan National pour le développement Agricole et Rural)을 수립한 이래 평균적으로 연 5.9% 성장

    - 2018년 기준, 알제리 전체 GD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약 비중은 약 12.3%로 총생산액은 250억 달러 규모

    - 국토의 17.4%가 농지이며 이 중 농사가 가능한 농경지는 전체의 3.1%

    - 전체 인구의 약 30%가 농촌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350만 명 정도가 농업에 종사

 

  ㅇ 2020년 알제리 정부 예산 중 2,596억 디나르(한화 2조3,940억 원 상당) 농식품 산업 보조금으로 배정

    - 정부 지출의 약 3.3%를 차지하는 상당한 비중의 예산

    - 알제리 정부는 식량 안보를 강화하고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농기계 산업의 발전이 필수라는 인식을 갖고 농가의 농기계 구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적극 농업생산량 증대를 위한 유인책을 전개

    - 그러나 농기계 수입이 증가함과 동시에 일부 농기계의 경우 알제리 내에서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국내 농기계 생산 업계를 보호하기 위해 일부 농기계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를 시행

 

□ 최신 동향

 

  ㅇ 2018년 초, 알제리 정부는 무역적자 억제를 위한 수입 금지 품목을 발표하며 트랙터를 수입 금지 품목 리스트에 포함함.

    - 2018년 1월 7일 행정령 18-02호를 통해 수입금지 품목 리스트를 발표하며 HS Code 8709에 포함되는 트랙터 트럭을 제외한 트랙터 품목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

    - 미국, 브라질,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등 국가에서 수입해오던 트랙터 등이 알제리 정부의 현지 생산 촉진 정책에 따라 외국 기업과 알제리 파트너사의 협력으로 현지에서 조립 생산되기 시작하며, 국내 생산제품 보호를 위해 완제품 수입을 전면 금지

 

  ㅇ 2019년 초, 수입금지 조치를 전면 해제하고 임시 추가 수입관세(DAPS: Droit Additionnel Provisoire de Sauvegarde)제도를 도입하며 농기계 품목에 대해 120%의 임시추가수입관세를 부과

    - 완제품 수입에 대해서는 높은 관세를 부과해 국내 생산제품을 보호하는 한편, 외국 파트너사와 협력해 생산된 알제리산 농기계를 인근 아프리카 주변국 시장에 수출

    - 현재까지 수출 물량이 많지는 않으나 최종적으로는 유럽 등 선진시장에도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주요 이슈: 농기계 보조금 지급

 

  ㅇ 알제리 정부는 농산업 투자발전기금(FNDIA: Fonds National de Développement de l’investissement Agricole)으로 알제리 현지 생산 농기계 구매에 대한 보조금 지급

    - 알제리에서 생산하는 농기계에 대해 판매가의 30~50%에 해당하는 보조금 지급

    - 현지 생산 농기계 이외에도 현지 생산이 불가능한 품목에 대해서도 사용 필요성이 입증된다면 보조금 지급

    - 콤바인에 대해서는 40%, 소형 트랙터는 25%, 중형 트랙터 30%, 대형 트랙터 35%, 기타 농기계에 대해 25% 보조금 지급

    - 그 밖에도 콤바인을 최신 기술의 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경우 60%의 보조금 지급

 

  ㅇ 알제리 생산의 의미에 대한 논란과 외국계 기업의 참여가 지배적인 시장에서 보조금 지급에 대한 논란이 지속

    - 대부분의 외국계 기업들이 알제리 파트너와 합작하여 현지에서 완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나 이는 해외에서 이미 완성된 완제품을 조립 키트 형태로 분해하여 (DKD) 알제리로 수입하여 현지에서는 이를 다시 재조립하는 과정에 불과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당초 정책을 입안하였을 당시 기대했던 기술 이전 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이렇게 생산된 제품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

    - 게다가 해외에서 이미 완성된 제품을 분해하는 비용까지 추가되어 알제리에서 생산되는 농기계의 가격은 완제품을 직접 수입하는 것보다 높은 수준이 밖에 없어 판매가에 따라 책정되는 보조금 지급이 예산 낭비가 심하다는 지적 또한 제기된 있음.

 

□ 주요 기업 현황

 

  ㅇ 대부분의 외국 농기계 기업들은 알제리 현지 파트너와 합작을 통해 진출해 KD 방식으로 조립 키트를 수입해서 알제리 현지에서 조립 생산

 

외국 농기계기업 알제리 진출 현황

합작기업명

외국기업명(국가)

참고사항

Algerian Tractors Company (ATC)

AGCO-Ferguson Industrial(미국)

2012년 알제리 공기업인 ETRAG(Entreprise publique économique des Tracteurs Agricoles ), PMAT(Entreprise Nationale de Commercialisation de Matériels Agricoles)과 합작법인 설립. Massey Ferguson 브랜드로 농업용트랙터 생산.

CMA-Sampo

Sampo Rosenlew

(핀란드)

2010년 설립. Sampo 브랜드로 콤바인 수확기 생산. Sampo Rosenlew에서 38%, 알제리 공기업 CMA(Construction de Matériels Agricoles)이 35%, PMAT가 27% 지분 보유

Galucho-Algérie

Galucho

(포르투갈)

2015년 설립. Galucho 브랜드로 트랙터 및 농업용 트레일러 등 생산. CMA에서 34%, PMAT에서 17%, Galucho에서 49% 지분 보유

Groupe Kherbouch

Same Deutz-Fahr

(독일)

2013년 설립. Deutz-Fahr 브랜드로 트랙터 생산

자료: KOTRA 알제무역관 자체 조사

 

  ㅇ 그 외에도 외국기업과 파트너쉽을 통해 현지 독점 생산을 하거나 현지 독점 수입 판매를 하는 알제리 기업도 다수

 

농기계 업계 주요 국내 기업

기업명

해외 파트너 기업명(국가)

참고사항

Mixtrade

Claas (독일)

농기계 및 건설기계 전문 수입유통상. 독일 Claas 브랜드 농기계 독점 파트너

TIRSAM

Tafe (인도)

Tafe사 독점 파트너로 바트나에 생산시설 보유. Tafe 트랙터 조립 생산

Belarus Motors Algerie Bouguerra

Minsk Tractor Works

 (벨라루스)

2010년 파트너쉽 체결. Minsk Tractor Works의 독점 파트너로 동 기업 Belarus 브랜드 트랙터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생산 공급

FAMAG

Sonalika (인도)

1996년 파트너쉽 체결. Sonalika 브랜드 트랙터 공급

자료: KOTRA 알제 무역관 자체 조사

 

나. 산업의 수급 현황

 

  ㅇ 정확한 통계자료가 발표된 바가 없어 세부적으로 알제리의 농기계 보급 현황에 대해 파악하기는 어려우나 알제리 통계청(ONS: Office National des Statistiques)의 알제리 차량 등록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알제리에는 164,477대의 농업용 트랙터, 15만4,243대의 트레일러 및 7293대의 특수 차량이 등록돼 있음.

    - 알제리 농산업 전문지 Agroline에 의하면 농업용 트랙터의 연간 수요는 약 1만2000대로 추산되고 있음.

 

  ㅇ 2019년 알제리의 농업설비 수입은 4억5,770만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18.96% 감소

    - 전체 수입 농업설비 중 트랙터의 비중이 가장 높아 48.34%의 비중을 차지

 

알제리 농업설비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품목

2018

2019

증감률

금액

비중

금액

비중

전체

564.76

100

457.70

100

-18.9

트랙터*

266.16

47.1

221.24

48.3

-16.8

기타 농기계

66.47

11.7

71.04

15.5

6.8

농업용 관거

69.93

12.3

65.73

14.3

-6.0

수확기, 탈곡기

10.89

1.9

21.92

4.7

101.3

곡물세척, 분류기

67.59

11.9

21.07

4.6

-68.8

기타

83.72

14.8

56.71

12.3

-32.2

* : KD 조립 키트 형태로 수입된 것을 의미

자료: 알제리 관세청(2020.9.10.)

 

다. 진출전략

 

□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한국산 제품 품질에 대한 높은 신뢰

- 빈약한 현지 제조업 기반

Opportunities

Threats

-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성장시장

- 정부의 농산업 육성 정책

- 글로벌 농기계 기업 다수 기 진출

- 수입 규제 정책 (관세 등)

 

□ 유망분야

 

  ㅇ 트랙터 및 농기계 부품

    - 조사 과정에서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 알제리 농기계 업계 동향에 따르면 알제리 농기계 산업에서 트랙터에 대한 수요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트랙터의 경우 완제품은 수입이 불가한 상황을 고려하여 현지 유력 파트너를 발굴해 협력을 통해 우선적으로는 현지 조립 생산을 통한 제품 공급에 주력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기술 이전 등 현지화를 통해 아프리카, 유럽 등 주변국 시장 공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자료: 알제리통계청, 알제리관세청, 일간지 El Watan, 관영통신 APS, 농산업 전문지 Agroline, KOTRA 알제 무역관 자체 조사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알제리 농기계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