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벨기에 맥주산업
- 국별 주요산업
- 벨기에
- 브뤼셀무역관 김도연
- 2020-09-10
- 출처 : KOTRA
-
가. 산업특성
□ 정책 및 규제, 문화
ㅇ (규제 1) 맥주 라벨에 영양성분 및 열량 표시 의무화 추진 중
- EU 라벨링 규정 No. 1169/2011에 의거, 식품 및 음료는 칼로리를 포함한 영양표시를 해야 하지만 알콜 도수 1.2%를 초과하는 주류 제품은 예외였음
- 벨기에 정부는 비만상승을 막기 위해 맥주의 열량정보 역시 소비자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판단, 2019.6.13. EU와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2022년 말까지 성분 및 열량을 맥주 라벨에 표시하기로 함
ㅇ (규제 2) 라디오, TV, 영화관 등 국내 맥주제품을 광고하기 위해서는 벨기에 윤리광고 위원회인 JEP(Jury d’Ethique Publicitaire)의 사전 허가 받아야 하며, 준수하지 않는 경우 1만 유로 벌금이 부과
- 법적근거 : 주류제품의 광고 및 유통 관련 협약(la Convention en matière de publicité et de commercialisation des boissons contenant de l’alcool)
- 발효일 : 2013.1.25.일
ㅇ (정책) 맥주 용기의 재활용 활성화
* 참고 : 벨기에는 플란더스(북부), 브뤼셀(중부) 및 왈로니아(남부) 등 3개의 지방정부로 구성된 연방정부로 형태로, 거의 모든 정책이 연방차원이 아닌 지방정부별로 시행
- (플란더스 지방) 2018년 6월, Plan emballages 전략 발표. 2022년까지 판매된 맥주 및 음료 용기의 90%를 재활용하고 이 재활용 비율을 2023년 95%, 2025년 10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임. 이를 위해 모든 판매처에 공병 수거제를 마련하는 방안 추진 중
- (왈로니아 지방) 2018년 Primes de retour 전략 발표. 도시 곳곳에 맥주 또는 음료캔 수거 기계를 설치하고 시민들이 버려진 캔을 주워 기계에 넣으면 캔당 5센트를 돌려줌
- (브뤼셀 지방) 관련 정책 수립 추진 중
ㅇ (문화) 생산되는 맥주의 종류만 1500여 종에 이르는 벨기에에는 각 맥주에 맞는 전용잔과 음용법이 있음. 식당과 바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맥주마다 다른 전용잔을 구비해 마시는 등 벨기에인들에게 있어 맥주는 매우 중요하고 빼놓을 수 없는 문화임
맥주 종류마다 다른 전용잔
Kwak 맥주
Corne 맥주
자료 : lesbieresbelges.be
자료 : corne사 홈페이지
- 이 밖에도, 벨기에 맥주는 트라피스트로 유명한데 트라피스트는 수도원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도사가 직접 제조·관리하는 맥주로 깊은 맛을 내는 것이 특징. 알콜 도수가 최소 4%에서 12%에 이르며 전 세계적으로 총 14종이 존재
· 이 중, 6종이 벨기에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이외 네덜란드(2종),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 스페인, 미국에서 각각 1종씩 생산 중
□ 주요 이슈 및 최신 기술동향
ㅇ (주요 이슈) 무알콜 맥주 제품 수요 급증
- 벨기에 내 웰빙 트렌드가 확산되며 맛은 일반 맥주와 거의 동일하면서도 건강까지 챙길 수 있는 무알콜 맥주가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기존 무알콜 맥주는 맥주를 표방하긴 했으나 맛에 있어서 진짜 맥주와는 차이가 커, 모유수유중인 산모 또는 임산부 위주로 소비돼왔음. 맥주 제조 기업들은 일반 맥주의 생산과정 마지막에 알콜만 제거하는 방식으로 맥주공법을 바꿔, 맛과 풍미를 진짜 맥주와 거의 동일하게 재현해냈으며 현재는 운전자, 임산부 외에 일반적으로 술을 즐기지 않는 소비자들 역시 무알콜 맥주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남
· 벨기에 맥주협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14명당 1명이 무알콜 맥주를 마셨다면 2019년에는 3명당 1명이 마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글로벌 맥주기업 ABInBev는 2025년 전세계 맥주 소비의 20%가 무알콜 맥주가 점유할 것으로 전망
ㅇ (최신 기술동향) 물 소비를 최소화하는 환경 친화적 생산기술
- 국내 업계는 맥주생산에 들어가는 물 자원 사용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해옴. 이러한 기술개발을 통해 2000년 당시 1L의 맥주생산을 위해 10L의 물이 필요했다면 현재는 1L당 4.5L만의 물로 맥주 생산이 가능
□ 주요 기업 현황
ㅇ 맥주산업의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세계 1위 기업인 ABInbev가 있으며 이 외에도 Duvel, Chimay, Palm사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이 다수 존재
벨기에 주요 맥주 기업
순위
기업명
내용
1
AB InBev
· 매출규모(2019년) : 18.6억 유로
· 설립년도 : 1988년
· 대표 제품 : Corona, Stella, Leffe, Hogaarden, Jupilar, Kwak, Karmeliet 등
· 홈페이지 : https://ab-inbev.be/
2
Duvel Moortgat
· 매출규모(2019년) : 2.8억 유로
· 설립년도 : 1931년
· 대표 제품 : Duvel, Duvel tripel hop 등
· 홈페이지 : http://www.duvel.com/
3
Brouwerij Martens
· 매출규모(2019년) : 1.7억 유로
· 대표 제품 : Martens, Kristoffel, 1758, Sezoens
· 설립년도 : 1994년
· 홈페이지 : http://www.martens.be/
4
Brasserie Haacht
· 매출규모(2018년) : 1억 유로
· 대표 제품 : Charles Quint, Ommegang, Tongerlo, Primus, Maltosa 등
· 설립년도 : 1898년
· 홈페이지 : https://haacht.com/
5
Palm
· 매출규모(2019년) : 5809만 유로
· 대표 제품 : Palm, Rodenbach, De Hoorn 등
· 설립년도 : 1719년
· 홈페이지 : https://swinkelsfamilybrewers.com/
6
Brouwerij Bosteels
· 매출규모(2019년) : 5340만 유로
· 대표 제품 : Kwak, Karmeliet, Deus 등
· 설립년도 : 1791년
7
Biere de Chimay
· 매출규모(2019년) : 5087만 유로
· 대표 제품 : Chimay Rouge, Chimay Bleue, Chimay Triple 등
· 설립년도 : 1989년
· 홈페이지 : http://www.chimay.com/
8
Brouwerij Vanhonsebrouck
· 매출규모(2019년) : 3605만 유로
· 대표 제품 : Kasteel, Bacchus, St louis, Filou 등
· 설립년도 : 1865년
9
Trappisten van Westmalle
· 매출규모(2019년) : 3081만 유로
· 대표 제품 : Westmalle
· 설립년도 : 1836년
· 홈페이지 : http://www.trappistwestmalle.be/
10
Brouwerij Lindermans
· 매출규모(2019년) : 3045만 유로
· 대표 제품 : Lindermans, Pecheresse, Faro 등
· 설립년도 : 1822년
· 홈페이지 : https://www.lindemans.be/
자료 : Trendstop
나. 수급 현황
□ 맥주산업 수급현황(2019년 기준)
ㅇ 개요
- (시장규모) 매출액 약 37.5억 유로(전년대비 +10.4%)
- (기업 수) 맥주 양조기업 340개사
- (고용현황) 직접고용 6551명, 간접고용 5만 명
- (생산) 2500만 hl(헥토리터), 전세계 맥주 생산의 1% 점유
· 생산되는 맥주 종류의 수 1500종 이상
<참고>
벨기에는 과일향이 첨가된 알콜 함유량 2%의 맥주부터 12%를 넘나드는 수도원 맥주(트라피스트)까지 1500종이 넘는 맥주가 생산되고 있음. 이 같이 다양한 종류의 맥주를 생산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독일과 같은 맥주 순수령(Reinheitsgebot)*이 없었기 때문
* 맥주 품질 유지를 위해 1516년 독일의 빌헴름(Wilhelm) 4세가 발효한 규제로 맥주 생산에 보리, 물, 홉 이외의 원료를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
- (소비) 703.5만 hl(국내 총 소비량은 2018년 대비 0.2% 소폭 증가했으나, 1999년과 비교했을 때 31% 감소하는 등 웰빙 트렌드 추세로 맥주 수요 점진적 하락)
· 제품별 소비 형태는 병맥주(46.2%), 캔맥주(28.1%), 생맥주(23.9%), 일회용기(1.8%) 등으로 병맥주 제품이 가장 많이 소비
- (투자) 해당산업 투자 3.3억 유로 규모(전년대비 +31.9%)
최근 3년간 벨기에 맥주산업 수급 동향
(단위 : 백만유로)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전년대비)
매출규모
3363
3394
3748
+10.4%
내수
7,012,650 hl
7,022,396 hl
7,035,182 hl
+0.2%
투자
270.2
252.1
332.4
+31.9%
자료 : 벨기에 맥주 협회
ㅇ 수출현황
- 벨기에는 전체 생산의 72%를 수출하는 맥주수출 강국임. 2019년 기준 총 1814.8만 hl를 수출했으며, 이 중 역내에 1285.8만 hl를, 역외국에 528.9만 hl를 수출
- 역내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달할 만큼 매우 크나, 역외 수출규모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 2009년과 비교했을 때 역내 수출은 65.8% 증가한 반면, 역외 수출은 156.4% 증가
1990년~2019년 벨기에 맥주 수출 추이
(단위 : 1천 hl)
* 주 : 주황색은 EU 역내 수출, 파란색은 역외 수출
자료 : 벨기에 맥주협회
- 국별 수출을 살펴보면, 프랑스 수출이 504만 hl로 가장 많고 그 뒤로 네덜란드(324만 hl), 미국(236만 hl), 독일(181만 hl), 스페인(122 hl) 순. 이들 상위 5개국에 대한 수출비중은 전체의 약 75%임
- 수출 10대국 중 EU 역외국은 미국, 캐나다, 중국, 한국 등
- 대한국 수출의 경우, 총 37.7만 hl로 수출국 중 9위 기록(전년대비 5.7% 감소)
2017~2019년 국별 맥주 수출추이
(단위 : 1천 hl)
순위
국명
2017년
2018년
2019년
증감률(전년대비)
1
프랑스
4268
4798
5042
+5%
2
네덜란드
2705
2947
3244
+10%
3
미국
2666
2345
2364
+0.8%
4
독일
1551
1590
1814
+14%
5
스페인
188
335
1220
+264%
6
이탈리아
607
638
652
+2.2%
7
캐나다
496
440
486
+10.4%
8
중국
780
615
407
-33.8%
9
한국
338
400
377
-5.7%
10
영국
454
311
370
+19%
역내 수출
10,236
11,232
12,858
+14.5%
역외 수출
5604
5390
5289
-1.9%
총 수출
15,840
16,620
18,148
+9.2%
자료 : 벨기에 맥주협회
다. 진출전략
□ SWA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맥주강국으로 맥주를 즐기는 문화가 매우 발달해있어 내수시장 탄탄
- 지리적으로 유럽중심에 위치해, 인근국 시장으로의 진출 가능성
- 법인세율 인하 등 투자유치 정책 활발, 양조기업 인수 등 투자진출 고려
- 국내 존재하는 양조기업 수 340개사, 생산되는 맥주 종류만 1500종 이상인 레드오션 시장
- 우리나라 경상도 크기의 협소한 시장규모
-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등 공용어 3개이며 지방별 사용하는 언어 및 문화가 다소 달라 진출전략 수립에 다소 애로
* 왈로니아 및 브뤼셀 지방(프랑스어), 플란더스 지방(네덜란드어), 일부 왈로니아 지방(독일어)
기회 요소(Opportunities)
위협 요소(Threats)
- 국내 외국인 수 증가로 외국산 맥주를 제공하는 펍, 음식점이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추세
* 2020년 브뤼셀 지방 외국인 수 약 43만 명으로 2010년 대비 31% 증가
- 벨기에인들의 자국산 맥주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크고 외국산 맥주를 거부하는 경향
- 코로나에 따른 전반적 경기 침체. 특히 펍, 음식점 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코로나 감염 우려로 소비자들의 외출 자제
□ 진출 유망분야
ㅇ 벨기에 내 인기몰이중인 K-드라마의 여파로 K-Food가 확산 중인 바, 벨기에에는 없는 소맥·녹차·유자 맛 등 보다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 진출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다고 판단됨
- 벨기에에 한식이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드라마에서 봤던 소주 또는 막걸리를 호기심으로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음. 또한, 이전에는 아시아 마트에서만 찾을 수 있었던 라면, 음료 등 한국 식품은 이제 일반 마트에서도 쉽게 구매가 가능
- 여기에 올해부터 시행된 한국의 주세개편(종가세→종량세)에 따라, 다양한 맛과 품질 등 경쟁력을 갖춘 우리 소규모 수제맥주 양조기업이 최근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
- 이에, 벨기에 시장에 관심 있는 우리 양조기업들은 국내 개최되는 다양한 맥주 품평회 참가를 통해 수제맥주를 홍보하고 시장동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임
벨기에 맥주 품평회 관련 정보
품평회명
홈페이지
몽드 셀렉션
(Monde selection)
브뤼셀 비어 챌린지
(Brussels beer challenge)
국제 식음료 품평회(iTQi)
ㅇ 이 밖에도, 벨기에 내 340여개의 다양한 양조기업(브루어리)이 존재하는 바 소규모 양조기업 인수를 통한 투자진출 역시 고려해 봄직 함. 벨기에는 3개 지방정부에서 각각 전담기관을 두고 해외투자 유치를 위한 다양한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 중
지방별 투자 전담기관 정보
지방
내용
플란더스 지방
· 기관명 : FIT(Flanders Investment &Trade)
· 전화번호 : +32.2504.8711
· 홈페이지 : www.flandersinvestmentandtrade.com
브뤼셀 지방
· 기관명 : Hub.brussels
· 전화번호 : +32.2422.0020
왈로니아 지방
· 기관명 : AWEX(Walloon Export and Foreign Investment Agency)
· 전화번호 : +32.2421.8211
· 홈페이지 : https://www.awex.be/
자료 : 기관별 홈페이지
* 자료 : 벨기에 맥주협회, 벨기에 통계청, 플란더스 및 왈로니아 지방정부 홈페이지, FIT, AWEX, Hub.brussels, Trendstop, 현지언론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벨기에 맥주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2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3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4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동향
중국 2022-01-14
-
5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6
2021년 중국 정보통신(ICT) 산업 동향
중국 2022-01-11
-
1
2024년 벨기에 제약산업 정보
벨기에 2024-09-23
-
2
2021년 벨기에 자동차 산업 정보
벨기에 2021-11-27
-
3
2021년 벨기에 산업 개관
벨기에 2021-11-17
-
4
2021년 벨기에 제약 산업 정보
벨기에 2021-11-17
-
5
2021년 벨기에 물류산업 정보
벨기에 2021-11-12
-
6
2021년 벨기에 화학산업 정보
벨기에 2021-11-1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