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메룬 광물/에너지 산업_에너지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카메룬
  • 최용안
  • 2018-12-24
  • 출처 : KOTRA

에너지


카메룬 지방 소재 가구의 5%만이 전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목재와 숯이 카메룬의 주요 에너지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카메룬 국영 Société nationale defaffinage(SONARA)는 하루 42,000배럴의 석유를 생산하지만, 카메룬 원유의 진한 성분 때문에 대부분의 원유를 나이지리아 또는 적도기니로부터 수입ㆍ사용하고 있다카메룬 수력발전의 잠재력은 풍부하나 단지 1%의 수자원만이 개발ㆍ활용되고 있다. Sanaga강에 있는 384메가와트급 Song Loulou 댐과 263메가와트급 Eda 댐은 카메룬 전기 공급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Bénoué강 유역 Garoua 인근 Lagdo에 있는 소규모 수력시설의 건설사업은 일부 중국정부의 자금 지원으로 1970년대 시행된 바 있다.


2000년 국영전기회사 Société nationale d'éléctricité (SONEL)을 미국회사 AES에 매각한 것은 전력분야 대량투자 유입을 촉진했다. AES는 카메룬 전력사업에 2001-2007년간 총 1,500억 세파프랑(미화 35,000만 달러 상당)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 투자로 인해 11개 발전소의 전력 생산 능력이 927 메가와트로 증가으며, 송배전시설도 개선.


해당 사는 연간 6%씩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Kribi 가스발전소(150MW)와 Dibimaba 화력발전소(88MW)를 2010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이나, 동 완공 후에도 카메룬의 전력수요를 모두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카메룬 정부는 전력공급 부족에 대응 카메룬의 수력발전 잠재력을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장기 계획을 입안. 이 계획은 Long Pangar, Nachtigal, Memve'ele 댐 등을 건설하자는 것이다이와 같은 수력발전댐의 건설은 카메룬에 풍부한 알루미늄 제련 시설의 확장 등과 같이, 광업 및 산업 프로젝트의 개발ㆍ추진을 위해 중요하다.


카메룬은 에너지에 대한 전국적 수요를 충족시키고 에너지를 차드, 적도기니, 나이지리아 동부 등지에 수출하기 위해 정부는 향후 10년간 5 8,530억 세파프랑을 투자할 계획


      ㅇ Lom Pangar : 동부 연결 네트워크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25MW 발전소

      ㅇ Natchigal 수력발전 댐: 280MW 용량 (Alucam 프로젝트)

      ㅇ Memve'ele 수력발전 댐: 140MW 용량

      ㅇ Mekim 수력발전 댐: 10MW 용량

      ㅇ Colomine 수력발전 댐: 12MW 용량

      ㅇ Bini a Warak 수력발전 댐: 75MW 용량 


(참고)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infrastructure) 현황 및 개발 계획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은 매우 부족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기 어렵다. 카메룬 내 도로망은 대부분 비포장 상태로 느리고 위험하며, 특히 우기에는 통과 자체가 불가능한 곳이 많아 카메룬 안팎으로 상품을 수송하는 데 엄청난 경제적, 시간적 비용부담을 초래하고 있다카메룬의 상업중심지인 Douala는 중서부 아프리카의 주요 항구이며, Douala와 수도인 Yaoundé에는 국제항공사들이 취항하고 있어 외부와 비교적 잘 연결 있다.


철도


카메룬의 철도망은 총 1,009㎞에 불과하나, 국내 화물운송에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철도는 또한 카메룬 북부,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및 차드와 연결되는 주요 교통수단이다. 주요 노선은 Douala-Yaoundé, Yaoundé-Ngaoundéré, Douala-Mbanga-Nkongdamba와 Otélé-Mbalmayo 간이다. 1999년 프랑스 기업 Bolloré와 남아공의 Comazar가 포함된 컨소시엄이 20년간 카메룬 철도망 운영ㆍ관리권을 인수해 현재 Camrail이라는 명칭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후에 화물운송은 급증했으나, 여객운송은 아직도 부진한 상태이다. 


항공


카메룬에는 Douala, Yaoundé, Garoua 등 3개 국제공항을 포함해 15개 공항이 있다. 공항의 운영은 민영화돼 있다. Douala와 Yaoundé 공항에는 Air France, Swiss International Air, Brussels Airline, Air Maroc, Kenya Airline 등 항공사가 취항해 유럽, 미국, 중동, 아시아 등으로의 연결이 원활한 편이다. 국적항공사 Cameroon Airline의 매각에 실패한 후 정부는 쌓여가는 적자 때문에 청산 절차를 밟았다. 2006년 10월 해당 항공사의 자산을 인수하기 위해 새로운 회사 Camair가 설립됐으나 동 회사도 2008년 5월 영업을 중단했다. 2009년에 국영항공사 Camair-Co를 재설립, 독일의 Lufthansa와 자문용역계약을 체결해 취항 준비를 걸쳐 2011년 3월 28일부터 두알라-야운데-파리 간 운항을 개시했다.


항구


카메룬에는 4개의 항구가 있으며, 그 가운데 Douala항이 가장 중요한 항구이다. 두알라는 전체 항구 물동량의 95%에 달하는 연간 600만 톤의 화물을 취급하고 있다. Douala항에는 11개의 선석이 있으며, 창고와 화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상당한 편이다. Douala는 카메룬뿐만 아니라 내륙국가인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및 차드를 위한 물류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Kienkém강 하구 대서양 해변에 위치한 Kribi항은 통나무와 코코아 수출을 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Kribi 심해항 건설 사업이 국책사업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Kribi 심해항 건설은 Mbalam 철광석 광상을 포함한 카메룬 남부의 대규모 광물 광산을 상업화하는데 필수적이다. Limbé항은 Douala항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물량을 일부 처리하고 있다. Limbé항을 심해항으로 본격 개발하려는 계획은 Kribi 심해항을 우선적으로 개발한 이후 단계에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로


철도망이 충분하지 정비되지 못한 카메룬에서 도로운송은 주요 육상운송수단이다. 카메룬의 도로망은 50,000㎞이며, 그 가운데 56%가 주요 간선도로로 분류된다. 그러나, 주요 간선도로 중 불과 4,300㎞만이 포장됐으며, 나머지 도로의 경우에는 우기에는 통행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악한 도로 여건으로 교통사고가 빈발하며, 연간 2,500명 이상의 교통사고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톨게이트에서의 합법ㆍ비합법적 통행료 징수는 심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운송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열악한 도로 여건은 국가경쟁력을 저해하는 주 요인으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최근 카메룬 정부는 외국의 개발 원조 지원을 받아 도로망을 정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2년 6월 카메룬 정부는 야운데와 두알라 간 250km에 이르는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4.8억 달러를 중국의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는 것에 합의한 상황이다.


    석유, 가스


      ㅇ 석유

    영국의 Sterling Energy Kribi-Campo 분지 근해의 Ntem 블록을 갖고 있으며, 이곳에서 총 매장추정량 15억 배럴 이상 되는 4개의 시굴지역을 발견했다. Sterling사는 시굴작업에 동참할 파트너를 구하고 있다. 중국의 Yang Chang Logone Development Holding Co. Ltd.는 카메룬 북부 소재 내륙 Zina, Makary 블록에서 석유를 탐사하기 위한 6,200만 달러 상당의 생산공유 계약에 서명했다. 말레이시아의 Petronas와 Noble Energy는 4,000~7,000만 배럴의 석유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Douala/ Kribi - Campo 분지의 근해 Tilapia 블록에서 석유를 탐사하기 위한 1억 1,900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 프랑스의 Total-E&P와 스위스의 Glencore Rio del Rey 분지의 근해 유전에서 활동하고 있다. Glencore와 남아공에 근거를 둔 Afex Global Ltd. Douala/Kribi-Campo 분지의 근해 Matanda 블록에서 석유를 탐사하기 위한 3,800만 달러 상당의 계약에 서명했다.


      ㅇ 가스

    카메룬은 5,000억㎥ 이상으로 추정되는 천연가스 매장량을 갖고 있으며, 프랑스-벨기에계 Suez Global LNG Ltd. LNG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위해 카메룬 정부와 양해각서에 서명했다Victoria Oil & Gas Plc Douala 소재 Logbaba 가스 및 응축 프로젝트에 60%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이 회사는 4개의 探査井을 갖고 있으며 35년 기한의 탐사 및 개발면허를 신청할 계획이며, 200911월 해당 지역에서 다량의 가스 부존 가능성을 나타내 주는 가스가 함유된 모래를 발견했다고 발표한다.


      ㅇ 여타 부문에 대한 외국인투자 유치

MINEPAT이 선정한 여타 주요 부문으로는 외국인과 국내 투자자를 유치하는 것이다정부는 광업, 광물자원 가공, 농산물 가공산업, 에너지, 도로건설, 인프라 건설 분야 등 한 마디로 상당 수준의 자본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좀 더 원대한 정책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 SOC 개발을 위한 카메룬 정부의 VISION 2035


비전

Cameroon, An Emerging, Democratic and United Country in Diversity


총괄 목표


  ㅇ 빈곤 수준 최소화

    2001년도 빈곤층 40.2%의 수준을 2015년도에는 20~25% 수준으로 감소


      ㅇ 중등 소득 국가 건설

    카메룬은 2007년도 기준 1인당 소득 1,050달러로, 낮은 중산소득국가에 해당하고 있어 이를 World Bank의 소득 분류 기준에 따라 3,706~1만 1,455달러에 해당하는 3,800달러의 중등 소득 국가로 변화하고자 한다.


      ㅇ 신 산업국가 건설

    제조분야와 서비스분야의 개발을 통해 새로이 산업화 국가로 전환하는 것으로서 성장 소스의 다양화, 제조성 육성을 통한 생산품 확대, 금융산업의 확대를 목표 달성을 통해 제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3% 수준으로 향상 


      ㅇ 민주화 및 국가 단합

    표현의 자유, 국가기구의 안정성, 야당의 존립, 신뢰성있는 헌법기구 구성 등을 통해 민주화 수준 향상


    세부 목표


      ㅇ 거시경제 목표

    생산성향상, 생산구조개선, 고용확대, 투자 및 기술수준 향상을 통해 연간 7% 이상의 고성장을 통해 신흥산업국으로 부상 


      ㅇ 사회 및 민주화 목표


      ㅇ 분야별 목표

    인프라 확충, 지역 개발, 산업화 및 서비스 확충


    정부는 국가 예산에 있어서 공공투자의 비중을 2019년까지 20%에서 50%로 점진적으로 증가시켜서 가시적인 인프라 건설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메룬 광물/에너지 산업_에너지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