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3D 프린터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
- 뉴델리무역관 박혜은
- 2019-05-02
- 출처 : KOTRA
-
- Make in India 정책에 따른 3D 프린터 수요 확산 -
-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해 CEPA 양허 관세율 획득 필요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3D 프린터
ㅇ HS Code: 8477.59
□ 인도 3D 프린터 시장 개요
ㅇ 간편한 제조방식과 투자대비 고효율, 3D 프린트 시장에 대한 관심 확대
- 전통적인 제조방식에 비해 3D 프린팅 기술은 투자비용 대비 고효율 및 높은 제품 완성도를 보여준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초기 투자비용을 줄이려는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들 사이에서 수요가 발생하고 있음. 복잡한 제조과정 또는 법적인 제한 없이 즉시 필요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 또한 강점으로 인식됨.
- 초기의 인도 3D 프린터 시장은 주로 중국, 미국, 독일산 제품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5~7곳 가량의 현지 제조업체도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빠르게 수가 늘어나는 추세임.
ㅇ 인도 3D 프린터 시장 규모
- 현지 시장조사업체(6W Research, 2017)는 인도 3D 프린터 시장 규모가 2021년까지 79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BIS Research는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음. 현재 자동차 부품이 가장 큰 매출을 차지하는 가운데 의료, 항공우주, 방위, 공업, 교육, 인테리어 순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음.
- 인도 3D 프린터 수요는 뉴델리, 뭄바이, 벵갈루루 등 대규모 1급지 도시(Tier-1)에 집중돼 있으며 3D 프린터 및 원재료의 가격인하, 맞춤형 주문제작, 대량 및 대형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음. 향후 산업시설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소비자들의 수요 또한 증가해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됨.
인도 내 주요 산업별 3D 프린팅 기술 활용 현황
연번
산업
활용현황
1
자동차
자동차 부품, 자동차 프로토타입
2
의료
투명교정, 티타늄 임플란트(뼈)
3
건축
소형 건축구조물
4
항공우주‧방위
엔지 벤더, 무인항공기, 소형 우주선 부품, 위성추진엔진
5
교육
3D 프린팅 연구소, 실험재료, 3D 프린터 전문가 양성
자료: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국가별 수입현황 및 한국 제품 대인도 수출현황
ㅇ 빠르게 증가하는 인도 내 수요
- 2018년 기준 HS8477.59 품목의 총 수입액은 5835만 달러로 전년대비 15.96% 증가했으며 주요 수출국은 일본, 중국, 이탈리아, 대만 등임.
- 중국산 제품의 수입점유율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일본산 제품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인도와 일본은 2011년 이래 자유무역협정인 CEPA를 체결, 발효했음.
ㅇ 한국산 제품의 수입 시장점유율 확대
- GTA에 따르면 한국산 HS8477.59 품목(기타)의 인도 시장점유율은 2018년 기준 6위로 수출액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
- 특히 2018년 한국의 HS8477.59 품목의 대인도 수출은 전년대비 2,154.38%로 급격히 증가했음.
인도의 국가별 3D 프린터 수입현황(HS Code 8477류 기준)
(단위: US$ 천)
연번
국가
수입액
점유율
17-18년
증감률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 세계
63,150
50,321
58,354
100.00
100.00
100.00
15.96
1
일본
713
1,535
16,222
1.13
3.05
27.80
957.08
2
중국
19,321
7,571
10,672
30.59
15.05
18.29
40.96
3
이탈리아
3,665
12,020
7,004
5.80
23.89
12.00
- 41.73
4
대만
3,996
8,783
5,154
6.33
17.45
8.83
- 41.32
5
스페인
51
654
3,211
0.08
1.30
5.50
390.65
6
한국
259
108
2,431
0.41
0.21
4.17
2154.38
7
벨기에
0
0
2,263
0.00
0.00
3.88
0.00
8
홍콩
219
4
2,118
0.35
0.01
3.63
∞
9
오스트리아
333
55
1,566
0.53
0.11
2.68
2762.92
10
독일
19,811
9,694
1,537
31.37
19.26
2.63
- 84.15
자료: Global Trade Atlas
□ 경쟁동향
ㅇ 해외 투자자들에게 각광받는 인도 3D 프린터 시장
- 인도의 3D 프린터 시장은 ‘블루오션’으로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으며, 해외업체들은 인도에 지사를 설립하거나 또는 설립된 지사 사업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임.
- 스트라타시스(Stratasys)와 같은 주요 해외 3D 프린터 제조업체는 이미 인도에 지사를 세워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영국에 본사를 둔 Renishaw, EOS, Voxeljet AG, Ricoh India, Flashforge 등이 주요 진출기업임.
ㅇ 저조한 인도계 3D 프린터 제조실태와 높은 수입의존도
- 인도계 3D 프린팅 업체의 절반 이상은 스타트업이며 주요 업체로 J Group Robotics, Global 3D Labs, Fracktal Works, 3Ding 등이 있음. 주요 프로토타입 제품 제작 업체로는 Altem Technologies, Imaginarium, Novabeans, Think3D, My Objectify, Stanley 3D 등이 있음.
- 인도 3D 프린팅 제조업체 일부는 현지생산을 급격히 줄이고 대량으로 수입품을 들여온 다음 자사 상호명을 덧붙여 재판매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인도 3D 프린터 시장 주요 기업 및 제품현황
연번
업체명
원산지
제품
제품명
추정 소매가격(루피)
1
Flashforge
중국
Adventure 3
47,000
(세금 포함)
Inventor 2
57,000
(세금 포함)
Creator Pro
76,000
(세금 포함)
2
Makerbot
미국
미니 복제기
110,000
(세금 포함)
일반 복제기
340,300
(세금 포함)
Z18 복제기
790,600
(세금 포함)
3
Comgrow
중국
Creality Ender 3 Pro
22,300
(세금 별도)
4
Monoprice
미국
Mini Delta
13,800
(세금 별도)
5
Qidi Tech
중국
X-One2
25,500
(세금 별도)
6
Jariwala Robotics
인도
Delta Minion
94,500
(세금 포함)
Dimension Dual Delta
262,000
(세금 포함)
Delta HC250
550,000
(세금 포함)
자료: Local Distributors, Online Marketplace
□ 유통 및 관세·통관 구조
ㅇ 유통구조
- 떠오르는 인도 3D 프린터는 현재 대형유통망을 보유 중인 유통업체의 수가 제한돼 있음. 3D 프린터의 원활한 수입 및 유통을 위해 제조업체들은 자국 내 본사를 두거나 믿을만한 유통업체를 자체적으로 선별하는 반면, 대부분의 유통업체는 중간 유통단계를 생략해 소비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음.
- 세심한 3D 프린터 사후관리와 원활한 주요구성 부품 및 손쉬운 원재료 보급이 인도 3D 프린팅산업 진출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꼽힘.
인도 3D 프린터 유통과정 및 구조
자료: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ㅇ 관세·통관
- 인도의 표준국(Bureau of Indian Standards)의 강제등록제도(Compulsory Registration Scheme)에 따라 전기전자, IT제품은 제조, 판매, 유통, 수입을 위해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제품을 등록해야 하며 인도 내 대리인(AIR)을 지정해야 함.
- 실질적인 제품검사는 BIS가 지정한 인도 내 연구소에서만 이루어지며, 소요 기간은 오프라인 서류 접수 이후 20일 정도임. 최초 제품등록 시 인증은 2년간 유효하며 2년 단위로 갱신해야 함.
CRS 제품 등록 절차
1단계
서류준비 및 제출: 온라인 접수 후 15일 내로 출력해 BIS 제출
2단계
BIS서류 접수 및 심사: 접수비용 28,000루피 및 서비스세 별도 부가
3단계
제품 등록 완료: 인도 표준번호 부여 후 제품에 반드시 표기
자료: BIS 공식 홈페이지
· (참고사항) CRS는 2012년 10월 3일 발효된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Goods 및 인도 정보통신부(Ministry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에 근거해 BIS에서 인증절차를 수행 중임.
3D 프린터(HS8477.59) 관세율 적용현황
HS Code
8477.59(고무 또는 플라스틱 제조 기계:기타)
총 관세율(%)
27.735%
관세 세부사항
기본관세(BD): 7.5%
사회복지세(SWC): 10%
수입부가가치세(IGST): 18%
보상세: 0%
CEPA 양허율 적용 시
기본관세(BD): 5%, 총 관세: 24.49%
자료: Indian Customs
□ 시사점
ㅇ ’Make in India’ 정책에 탄력 받는 3D 프린터 기술
- 아직 초기 단계인 인도 3D 프린터 기술은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인 ‘Make in India’에 힘입어 자동차 부품, 스포츠 용품,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부문에 활용될 수 있는 높은 성장가능성을 가지고 있음.
- 산학협업에서 3D 프린터 기술이 접목되기도 하는데 인도 스타트업 기업 Aha 3D의 경우 인도 바르띠야(Bhartiya) 기술전문대학교와의 업무협약을 맺어 미래 3D 프린팅 전문가 양성을 위해 선발된 교육생들에게 3D 프린트 실습기회를 제공하고 있음.
ㅇ 한국 기업의 진출 사례와 주의점
- 한국 GEM 플랫폼과 파트너십을 맺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도의 스타트업 주그누(Jugnoo)는 2018년 2월 자체 온디맨드(On-Demand) 3D 프린트 매장인 Printo를 오픈, 운영 중임. Jugnoo는 원래 인도의 삼륜 택시인 릭샤의 공유 플랫폼으로 출발한 기업으로 온디멘드 사업영업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음.
- KOTRA 뉴델리 무역관과 인터뷰한 현지 수입업체 관계자는 “한국산 제품을 수입하고 있는데 한국과 인도간의 CEPA 협정으로 관세의 상당액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한국산이 중국 등 경쟁국 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싼 만큼 가격절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음.
자료: Livemint, Think 3D Magazine 등 현지 언론보도자료, 인도 간접세위원회(CBIC), Global Trade Atlas, 인도 표준국, 인터뷰 등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3D 프린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브라질, 3D 프린터시장 성장세 지속
브라질 2019-07-15
-
2
인도 특별경제구역(SEZ) 현황 및 비교분석
인도 2022-11-15
-
3
인도 그 밖의 폴리에테르 시장동향
인도 2015-01-27
-
4
일본 치실(Dental Floss) 시장 동향
일본 2020-04-23
-
5
Digital India와 인도 제조업 변화 트렌드
인도 2020-12-28
-
6
2021년 인도경제 요약 및 2022년 전망
인도 2021-12-06
-
1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2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3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4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5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
-
6
2023년 인도 전기자동차 산업 정보와 현지 동향
인도 2023-12-1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