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스포츠 관광산업, 스포츠 투어리즘
- 트렌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도희수
- 2025-02-17
- 출처 : KOTRA
-
인도네시아 스포츠 관광시장이 성장 중으로 정부는 마라톤, MotoGP, F1 파워보트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지원 중
기업 주도의 러닝 대회도 증가, 브랜드 홍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
커지는 인도네시아 스포츠 관광시장
스포츠 투어리즘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주력사업 중 하나로, 팬데믹 이후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인도네시아 사람들의 높은 수요와 열정을 바탕으로 크게 성장했다.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외화를 벌 수 있다는 면에서 인도네시아의 관광산업은 국가 경제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투어리즘은 스포츠 이벤트를 참관하거나 참가하는 여행을 의미하는데, 행사를 중심으로 한 스포츠 투어리즘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로 분류된다. 먼저 첫 번째는 아시안게임이나 월드컵 등과 같이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스포츠 행사를 말한다. 두 번째 유형은 실생활에서의 운동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대개 러닝(running)이나 사이클(cycling)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관광과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 육성에 점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광창조경제부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인도네시아 스포츠 관광규모는 18조7900억 루피아(약 11억7000만 달러)에 이른다.
대표적인 스포츠 투어리즘 행사
인도네시아는 대표적으로 3개의 마라톤 대회가 열리는데, 발리 마라톤, 보로부두르 마라톤, 자카르타 마라톤이 대표적이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현재는 스포츠 투어리즘 행사에 대부분 국내 관광객들 위주로 참여하고 있지만, 정부는 이러한 행사에 참가하는 외국인의 규모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역별로 마라톤뿐만 아니라 다른 행사들도 새롭게 추진되고 있다. 롬복 섬의 만다리카 지역에서는 모터사이클 그랑프리(MotoGP)가 개최되기도 했으며, 북수마트라섬에 있는 토바호수에서는 제트스키 세계 챔피언십과 F1 파워보트 행사가 열리면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기도 했다.
<토바호수 내 제트스키 대회 사진>
[자료: 인도네시아 관광개발지주회사(InJourney)]
<인도네시아 내 대표적인 스포츠 투어리즘 행사>
행사명
참가인원(2024)
발리 마라톤
(Bali/Maybank Marathon)
1만2700명
보로부두르 마라톤
Borobudur Marathon
1만500명
자카르타 국제마라톤
Jakarta International Marathon
1만5000명
MotoGP Mandalika(롬복)
참관객 12만1252명
아쿠아바이크 제트스키 세계 챔피언십
Aquabike Jetski World Championship
참관객 약 20만 명
F1 파워보트 대회(북수마트라, 토바호수)
F1 Powerboat
7만 명
[자료: 개별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광 명소 중 하나인 발리 또한 스포츠 투어리즘 장소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대개 마라톤, 사이클, 철인 3종 경기 등이 개최되고 있다. 2024년의 경우 8월에 제13회 발리(메이뱅크) 마라톤이 개최됐으며, 총 1만2700여 명의 인원이 참가했다. 행사 개최를 통해 발리 경제에 1250억 루피아(780만 달러)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마라톤 참가를 위해 발리를 방문한 참가자들의 숙박, 식음료 구매, 현지 교통수단 이용, 기념품, 관광비용 등을 모두 포함한 총액이다. 현지언론 detikfinance에 따르면, 이 기간에 발리 현지업체들의 일일매출액은 48.3% 증가했고, 일일 고객수도 45.1% 증가했다. 발리 마라톤의 경우, 참가 티켓이 금방 매진될 만큼 인기 있다.
무역관이 실시한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 관광홍보국 Raisa 국장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인도네시아 관광지역(보로부두르, 토바호수, 리쿠팡, 만다리카, 라부안바조)에서 열리는 스포츠 이벤트들은 모두 정부와 민간 분야가 협력해서 주최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정책과 행사 홍보 측면에서 도움을 주고 있다. 대표적으로 IFG 마라톤이 개최되고 있는 라부안바조의 예를 들며, 스포츠 행사 참가자들이 현지에 머무는 시간을 고려하면 숙박, 식음료, 교통 등 다방면에서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강조했다. 올해는 Tour de Flores라는 사이클 행사 또한 개최 예정에 있으며, 점점 더 많은 외국인 참가자가 지역 스포츠 이벤트에 유입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주요 스포츠 행사들에 상당한 예산을 배정해 지속적으로 지원 예정이다.
기업이 주최하는 러닝 대회의 증가
최근 인도네시아 스포츠 트렌드 중 하나는 기업들이 개최하고 있는 다양한 스포츠 이벤트들로, 많은 건수의 행사가 빈번하게 개최되고 있다. 상당수가 러닝 행사인 경우가 많으며, 운동선수들이 아닌 대중들을 타겟으로 하고 있다. 2024년에만 하더라도 257개의 러닝 행사가 인도네시아에서 개최됐으며, 이는 2023년에 비해서 약 60% 이상이 증가했다.
이런 행사들은 정부 단체나 스포츠 협단체가 주최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일반 기업들의 개최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러닝 이벤트를 개최 함으로써 해당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브랜드를 알리는 좋은 방법으로 사용한다. 행사의 성격에 따라서 해당 기업에 재직 중인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한 사내 러닝 행사로 개최되는 경우도 있고, 모든 대중들을 대상으로 열리기도 한다.
스포츠 행사에 참여하는 것은 인도네시아 사람들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해당 경험을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공유하면서 즐거움을 찾고 있다. 아래는 2024년에 개최된 대표적인 행사들로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잘 알려진 기업들이 주최했다.
<2024년 인도네시아 내 대표적인 기업 개최 스포츠 행사>
행사명
주최
스포츠 종류
참가자 수(2024)
Pocari Sweat Run
Amerta Indah Otsuka
(F&B)
러닝
4만2008명
BFI Run
BFI Finance Indonesia
(금융)
러닝
6500명
MILO Activ Indonesia Race 2024
Nestle Indonesia
(F&B)
러닝
2만5000명
Astra Half Marathon
Astra International
(자동차)
러닝
5000명
Pertamina Eco RunFest
Pertamina
(석유)
러닝
1만2300명
Alfamart Run
PT Sumber Alfaria Trijaya
(유통)
러닝
2500명
Indomaret Run and Fun Bike
PT Indomarco Prismatama
(유통)
러닝, 사이클
1만8000명(러닝)
3만5000명(사이클)
[자료: 개별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자카르타의 경우에는 일요일마다 도심 중앙에 있는 수디르만 거리를 '차 없는 거리(CFD, Car Free Day)'로 운영하고 있다. 오전 6시부터 오전 11시까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으며, 이 시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이 도심 한복판에서 러닝과 걷기 등 가벼운 생활 운동을 즐긴다. '차 없는 거리'가 자카르타 내에서는 하나의 문화로서 대중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이 시간에 맞추어 기업들도 크고 작은 자체 행사를 동시에 개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산업동향 인터뷰
관련 동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이야기를 듣고자, 인도네시아 내 대표적인 마라톤 대회를 주최하고 있는 PT Indonesia Muda Kreasi의 파트너십 스페셜리스트인 Andy Faizal 씨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PT Indonesia Muda Kreasi는 2024년 IFG 라부안바조 마라톤과 2024 자카르타 마라톤을 주최했으며, 2025 자카르타 마라톤 또한 주최 예정이다.
Q1. 회사 스폰서를 통한 러닝이벤트가 인도네시아에서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트렌드의 배경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1. 러닝이벤트를 주최하면 기업들에게 몇가지의 확실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러닝 이벤트는 단시간에 많은 사람들에게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마케팅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두 번째로는 장기적인 브랜드 노출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대회가 끝나더라도 대회 공식 티셔츠나 저지를 꾸준히 착용하고 있고 이를 통해 기업을 홍보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브랜드 가치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같은 브랜드가 추구하는 메시지가 있는데, 이를 대중에게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자선 달리기 같은 형태가 되기도 하지요. 마지막으로 기업들은 참가자들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데, 이 데이터가 추후 마케팅 활동이나 브랜드와 고객과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Q2. 건강이나 피트니스에 대한 관심이 스포츠투어리즘에는 어떤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A2. 대중들의 건강과 피트니스에 대한 관심은 많은 지역정부들이 지역의 관광명소들을 스포츠 이벤트와 연계해서 홍보하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동칼리만탄 지역정부는 Maratua 섬에서 Maratua Run이라는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사람들 사이에서 'Runcation' 이라는 말이 많이 쓰이는데, 'Running for Vacation'의 줄임말로 러닝을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여행지를 러닝이벤트를 중심으로 선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중상류층인 경우가 많아요. 많은 러닝이벤트들이 자카르타 이외의 지역에서 열리는 경우가 많고 고객이 중요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스폰서로 많이 들어오는 편입니다.
Q3. 스포츠 투어리즘을 위해 행사를 개최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이 무엇일까요?
A3. 스포츠 투어리즘 행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참가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특별함인데, 보통은 '지역' 자체가 특별함이 될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관광명소에서 열리는 스포츠 행사들에서 일반 도시에서 열리는 행사와는 다른 그 행사만의 특색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트렌드는 러닝뿐만 아니라 다른 스포츠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4. 장기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스포츠 투어리즘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A4. 지방정부들이 해당 지역을 관광명소로 개발하고, 인프라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류 접근성을 개선하고, 도로를 정비하고, 안정적인 인터넷 통신망을 갖추는 것이 행사를 원만하게 주최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방문객들에게도 즐거운 경험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추가로 많은 스폰서들과의 협력은 참가자들의 참가비를 낮출 수 있어서 참가인원 모집에도 효과적입니다. 이 부분을 고려하면 더 많고 넓은 범위의 사람들이 참가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Q5. 마지막으로 국제적인 참가자들의 관심을 더 높이기 위한 전략을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
A5. 현재 많은 스포츠 투어리즘 행사의 주관기관이 다릅니다. 발리 마라톤의 경우 Maybank, 자카르타 마라톤의 경우 BTN, 라부안바조의 경우 IFG 입니다. 이러한 행사를 세계 마라톤 메이저 대회의 메달수집 개념과 유사하게, 관광부 차원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점을 개선한다면, 더 많은 해외 참가자들이 인도네시아로 유입될 수 있고, 이는 장기적으로 인도네시아의 스포츠 투어리즘 부분을 성장시킬 것입니다.
스포츠 행사 연계 비즈니스 기회는?
인도네시아 청년 체육부(The Ministry of Youth and Sports) 자료에 따르면, 약 1억920만 명의 사람들이 스포츠 관련 부문에 지출하고 있다고 답했다. 2024년 기준 스포츠 지출에 유통되는 예산 규모는 약 24억7000만 달러로, 과거 2021~2022년의 규모를 회복하지는 했지만, 지난해인 2023년도에 비해 6% 증가해 증가 추세에 있다.
2024년 인도네시아 스포츠 경제 규모의 증가는 대중적인 운동 활동 참여가 가장 큰 이유로 손꼽힌다. 러닝, 사이클, 피트니스가 사람들의 삶에 일부로 자리 잡았고, 특히 도심을 중심으로 많은 젊은 사람들이 공동시설(운동장)이나 체육관에서 운동하기 시작했다. 요가나 필라테스 또한 인도네시아 여성들 사이에서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만큼, 이러한 수요를 바탕으로 스포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지출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22~2024년 인도네시아 스포츠 시장 규모>
(단위: US$ 십억)
[자료: 인도네시아 청년 체육부(The Ministry of Youth and Sports) ]
인도네시아 청년 체육부(The Ministry of Youth and Sports)의 조사에 따르면, 신발과 의류가 스포츠 관련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시장 내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브랜드는 나이키(Nike)와 아디다스(Adidas)로, 양사 모두 땅그랑, 반둥, 수카부미, 카라왕, 마자렝카지역에 여러 개의 공장을 운영한다. 아울러 미국의 호카(Hoka), 스위스 브랜드인 온(On) 과 같은 고가의 러닝화 브랜드들도 주요 몰에 입점해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로컬 브랜드들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2023년에 개최된 인도네시아 스포츠& 액티브 웨어 전시회(ISAW)에서는 30여 개의 로컬 브랜드들이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는데 그 중 특히 러닝화에 특화된 현지 로컬브랜드들이 크게 주목받았다. 대표적인 예로는 910 Nineten, League, Specs 등이 있으며, 이들은 편안한 착용감과 디자인, 합리적인 가격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증가하는 관심과 니즈에 따라, 인도네시아 내 현지 제조업체들은 새로운 기회를 발견해 자국 내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러닝 의류에 대한 수요 또한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인도네시아 내의 러닝 이벤트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대부분 마라톤, 러닝 등의 행사에는 브랜드가 스폰서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예로 2024년 인도네시아 여자 하프마라톤의 공식 의류는 Specs에서 제공했으며, Pertamina Eco Runfest에는 Diadora가 공식 의류를 제공했다.
<스포츠 제품 관련 소비자 트렌드>
(단위: %)
[자료: 인도네시아 청년 스포츠부(The Ministry of Youth and Sports) ]
시사점
인도네시아 내 최근 빈번히 개최되는 스포츠 이벤트들을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참여가 늘고 있다. 추후 인도네시아 자국 내 내국인뿐만 아니라 더 많은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행사로 다변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러닝, 피트니스, 테니스, 배드민턴, 요가, 필라테스, 파운드핏 등 다양한 운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스포츠 관련 분야에 대한 수요 또한 점점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운동에 대한 참여도가 커지는 만큼, 이와 관련해 스포츠 신발, 의류 분야뿐만 아니라, 식음료 제품, 영양보충제(프로틴) 등의 분야 또한 유망하다. 자카르타 내 'O'피트니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Angga 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최근 운동을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며 건강을 위한 식단(영양) 관리와 프로틴 등 보충제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러닝 등 대규모의 행사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만큼, 이러한 행사에 스폰서로 참여해 자사의 브랜드를 홍보하는 방식 또한 효과적일 수 있다. 소비재 등 연계가 가능한 관련 우리 기업들은 현지 마케팅의 방법으로 현지 행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사의 제품 군과 행사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행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 인도네시아 관광개발지주회사(Injourney), 인도네시아 청년 체육부(The Ministry of Youth and Sports), 각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스포츠 관광산업, 스포츠 투어리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고령화와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 한국 기업의 기회
말레이시아 2025-02-17
-
2
미국이 사랑하는 픽업트럭, ‘전동화’ 시대엔 ESS가 된다?
미국 2025-02-20
-
3
팬심을 사로잡아라! 중국에서 떠오르는 '굿즈 경제'
중국 2025-02-19
-
4
셀럽 뷰티·젠지 공략…최신 미국 뷰티 트렌드
미국 2025-02-17
-
5
미국 웰니스 열풍 속 커지는 K-푸드 스케일, 고추장부터 오이김치까지
미국 2025-02-20
-
6
'백업 발전', 미국 정전, 전력난의 해결책으로 부상
미국 2025-02-17
-
1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2
2024년 인도네시아 기초금속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24
-
3
2024년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10
-
4
2021년 인도네시아 소비재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5
2021년 인도네시아 기계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6
2021 인도네시아 건설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