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요즘 인도네시아 아이들은 무엇을 먹고, 입고, 바를까
  • 트렌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허유진
  • 2017-06-26
  • 출처 : KOTRA

- 영유아동복, 식품, 화장품을 기준으로 분석해 본 인도네시아 영유아시장 -

- 우리 기업 틈새시장을 공략해 볼만 -




□ 주요 상품명 및 HS code 및 관세율(8자리 기준)


  ㅇ 영유아용품은 인도네시아 정부 당국 법령에 따라 식품, 화장품, 의류, 탈 것, 건강 장비 등으로 분류됨.


  ㅇ 관련 주요 품목에 대한 세부 분류, HS Code, 수입 규정, 관세율은 다음과 같음. 


제품명

세부 분류

HS Code

수입 규정 및

규제 관련 법령 *

일반

관세율(%)

AKFTA

관세율%


영아 및 유아용

의류와 그 부속품

티셔츠, 셔츠, 파자마, 바지, 수트, 면류합성섬유, 편물, 뜨개질로 된 의류, 기타 직물

6209.20.30,

 6209.20.40,

 6209.20.90,

6209.30.10,

 6209.30.30,

6209.30.40,

6209.30.90,

6209.90.00,

6111.20.00,

6111.30.00,

6111.90.00,

6111.90.90

MOT No 87/M-DAG/

PER/10/2015

22.5~25

0














위생 타월(패드)·탐폰, 유아용 냅킨·냅킨라이너와 이와 유사한 물품

천기저귀,
종이기저귀 등 기저귀류

9619.00.11,

9619.00.12,

9619.00.13,

9619.00.14,

9619.00.19,

9619.00.91,

9619.00.99  

MOT No 87/M-DAG/

PER/10/2015

20~25

0








영유아 가구류

보행기

9403.70.10

MOI No 55/M-IND/

PER/11/2013

20

0


유모차

8715.00.00

수입 규제 없음

10

0


영유아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식탁용품·주방용품·그 밖의 가정용품·위생용품·화장용품

영유아용 식기

3924.90.30

수입 규제 없음

20

5


젖병

3924.10.90

MOH No 1190/Menkes/

Per/VIII/2010

22.5

5


영유아 향수

및 화장수

향수 및 화장수

로션, 크림 제품

파우더

Other

3303.00.00,

3304.99.30,

3304.91.00,

3305.10.90

MOT No87/

M-DAG/PER/10/2015,
BPOM No 12/2015,

 (, HS 33030000 제품에 BPOM No13/2015 동시 적용)

10

0


15


영유아용 세정제

비누, 바스, 샴푸 등

3401.11.40,

3401.11.50

MOT No 87/M-DAG/PER/

10/2015,
BPOM No 12/2015

10

0


영유아용 유제품; 밀크와 크림(농축했거나 설탕이나 그 밖의 감미료를 첨가한 것으로 한정한다)

유제품, 중량/
형태에 따라 분류

0402.10.41,

0402.10.42,

0402.10.49,

0402.10.91,

0402.10.92,

0402.10.99, 0402.21.20, 0402.21.30, 0402.21.90, 0402.29.20, 0402.29.30, 0402.29.90,

0402.91.00

MOT No.59/M-DAG/PER/

8/2016,
MOT No.87/M-DAG/

PER/10/2015(H S code 0402.10.42 품목에만 적용),
BPOM No 12/2015(HS  0402.10.42 제외 적용), BPOM No 13/2015

5

0





영유아 식품

영유아용 코코아 함유식품(5-10%), 소매용 아님

1806.90.40

BPOM No 12/2015

(, HS 1806.90.40 품목은 해당사항 없음), MOT No 87/M-DAG/PER/10/2015, BPOM No 13/2015

5

0


소매용 식자재(맥아추출물,

대두분말), 메디컬푸드, 기타 등

1901.10.10,

1901.10.20,

1901.10.30,

1901.10.91,

1901.10.92,

1901.10.99


영유아용 식품에 첨가되는 냉동 및 식초 등으로 보존 가능 채소

2004.90.10


영유아용 수프·브로드와 수프·브로드용 조제품, 균질화한 혼합 조제 식료품

2104.10.11,

2104.10.91,

2104.20.11,

2104.20.91


영유아용 과일주스

2009.89.91

10

0


영유아용 락토제 미함유 식품

2106.90.81

BPOM No 12/2015

5

0


영유아용 건강 장비

영유아용 체중계

8423.10.10,

8423.10.20

MOH No 1190/Menkes/Per/VIII/2010

5

0


주: 1) 주요 품목이 아니거나 성인용 등과 혼재돼 애매한 상품군의 경우 생략, 2) 수입 규정 및 규제 관련 법령

자료원: 인도네시아 재무부, 세무청, 식약청(BPOM) 


수입 규정 및 규제 관련 법령

내용

MOT No 87/M-DAG/PER/10/2015

제품 검사, 수입자 인증 번호(API-P/API-U) 관련

MOI No 55/M-IND/PER/11/2013

SNI(Standar Nasional Indonesia) 인증

MOH No 1190/Menkes/Per/VIII/2010

의료기기 유통 자격증(PKRT)

MOT No 87/M-DAG/PER/10/2015

제품 검사, 수입자 인증 번호(API-P/API-U) 관련

BPOM No 12/2015

수입 자격증(SKI)

BPOM No 13/2015

수입 자격증(SKI, SKI-NOM)

Animal Quarantine of Indonesian Agricultural Quarantine Agency

인도네시아 농축산물 검역소의 동물 검역 관련

MOT No.59/M-DAG/PER/8/2016

수입 허가증(Surat Persetujuan Impor)

MOH No 1190/Menkes/Per/VIII/2010

의료기기 유통 자격증(PKRT)

자료원: 인도네시아 재무부, 세무청, 식약청(BPOM) 

 

□ 인도네시아 영유아용품 시장 진출 기회


  ㅇ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상류층 및 중산층 규모가 커지면서 인도네시아는 잠재성이 큰 시장으로 알려져 있음.

출생률이 근래 들어 감소하고 있지만, 영유아제품에 대한 수요는 전국민적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있음.


  ㅇ 도시에서 나고 자란 영유아 층을 포함한 인구 증가율은 인도네시아 영유아 시장 제품 시장의 주요 성장 요인이며 ,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구매력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


  ㅇ 아직까지는 가격 경쟁력이라든지 영미권이나 유럽 제품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 우리 제품의 수입실적이 많이 발생하지는 않으나 , 우리 기업에도 인도네시아 영유아 용품 시장은 블루오션임.


  ㅇ 기본적으로 향후 인구 수가 자츰 줄어들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으나 2015년 현재 기준 출산율은 평균 2.4명으로 가임 여성 1명 당 2명에서 3명은 기본적으로 출산하는 상황이며, 20년 후에도 평균 출산율은 2명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2010~2035년 인도네시아 출산율*

                                                                                                                                                                                    (단위: 명)

지역

2010~2015

2015~2020

2020~2025

2025~2030

2030~2035

수마트라

2.6

2.5

2.3

2.2

2.1

자바

2.2

2.1

2.0

1.9

1.8

깔리만딴

2.6

2.5

2.3

2.2

2.1

술라웨시

2.7

2.6

2.5

2.4

2.2

발리, 누사 뜽가라

2.8

2.7

2.6

2.4

2.3

말루꾸, 빠뿌아

3.0

2.9

2.8

2.6

2.3

인도네시아

2.4

2.3

2.2

2.1

2.0

주*: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자료원: Bappenas Bappenas 국가개발계획부


  ㅇ 아울러 주요 고객층인 도시에 거주하는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양질의 영유아용품을 구매할 수 있는 소비계층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


  ㅇ 최근들어 자녀에게 최고의 것만 선물하려는 부모의 심리와도 부각되면서, 인도네시아 통계청 자료에 따라 백화점에서 젊은 엄마들의 영유아 용품 지출 규모는 2014년에 월 평균 400000 루피아( 30.1 달러)를 지출 하던 것을 2015년에는 525000루피아( 39.5달러), 2016년에는 650000루피아( 48.9달러)로 연평균 27.5%씩 증가했음.


2015~2035년 도시 거주 인구 추세

external_image

: 2020-2035는 최근 도시 및 근교 인구성장률 추세에 따른 추세치

 자료원: worldmeters


□ 인도네시아 영유아용품 시장 동향


  ㅇ 분유, 영유아 조제식품, 의류, 화장품, 기저귀, 유모차 등 영유아 용품은 매우 다양하며, 유제품과 영유아식품은 인도네시아 영유아 용품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영유아 용품 중에서도 유망 품목은 영유아 식품임.


  ㅇ 영유아 식품에 이어 의류 및 화장품 또한 전체 영유아 품목에서 판매 비중이 높은 편임. 따라서, 인도네시아에서 인기가 좋은 영유아 품목은 식품, 의류, 화장품 등 총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ㅇ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2016년도 인도네시아에서의 영유아용품 판매액수가 31 3천만 달러로, 2015년 총 판매 실적보다 약 9.97%가 증가했음.


2014~2016년 인도네시아 영유아용품 판매 동향

                                                                                                                                                           (단위: 천 달러)

분류

2014년

2015년

2016년

영유아용 식품, 조제분유

2,259,092

2,501,780

2,751,763

영유아 의류

138,834

154,011

166,659

영유아 화장품

175,177

196,614

218,578

총계

2,573,102

2,852,405

3,137,000

: 2017년 6월 12일 환율(1달러 = 13290루피아)

자료원: Euromonitor


  ㅇ 영유아 식품(조제분유 포함)

    - 2016년 기준 조제분유와 영유아용 식품 판매가 전체 영유아용품 판매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7.71%이며, 전년대비 판매량이 약 10% 증가했음.

    - 이에 유로모니터는 2017년 인도네시아에서의 조제분유와 영유아용품 판매 실적은 약 286000만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전체 영유아 식품 및 조제분유 분야 실적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조제분유 판매 증가율은 둔화하는데, 그 이유는 모유수유 권장 캠페인으로 인함.


2012~2016년 인도네시아 영유아용 식품 판매실적

                                                                                                                                                                    (단위: 천 달러)

분류

2012

2013

2014

2015

2016

영유아용 건조식품

77,833

84,838

92,898

101,259

108,853

영유아용 조리식품

5,698

6,324

7,052

7,792

8,494

영유아용 기타식품

32,313

36,029

40,394

45,397

50,391

조제분유

1,623,888

1,840,633

2,118,789

2,350,041

2,584,026

총계

1,739,732

1,967,825

2,259,092

2,501,780

2,751,763

주*: 2017년 6월 12일 환율(1달러=13290루피아)

 자료원: Euromonitor


  ㅇ 영유아동복

    - 영유아동복의 경우 2016년 판매 실적은 총 16666만 달러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판매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년대비 8.21% 증가했음.

    -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2017년도 영유아 의류 판매 실적은 약 1 7302만 달러 가량 달성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 소비자들의 성향을 분석해볼 때 자녀들을 예쁘게 단장하고 싶어하는 인도네시아 부모의 열망은 갈수록 커져 가고 있는 점도 영유아동복 판매실적 증가에 한 몫 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영유아 의류는 동물이나 꽃무늬, 그리고 화려한 색채가 돋보이는 제품들의 판매 실적이 좋으며 인도네시아 건기에는 주로 면류 제품이 잘 팔리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음.


2012~2016년 인도네시아 영유아동복 판매 동향

분류

2012

2013

2014

2015

2016

판매 실적(천 달러)

113,340.9

125,237

138,833.7

154,010.5

166,659.1

판매 수량(백만 벌)

39.1

40.8

42.5

43.9

45.4

: 2017년 6월 12일 환율(1달러 = 13290루피아)

자료원: Euromonitor


  ㅇ 영유아 화장품(HS Code 33, 34 제품 포함)

    -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인도네시아에서의 영유아용 화장품 및 세정제 판매 실적이 최근 5년동안 꾸준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음. 

    - 2016년 영유아 화장품 주요 품목 판매실적은 2 1858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11% 성장했으며, 2012년부터 2016년까지 판매 실적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

    - 가장 판매 실적이 높은 제품은 영유아용 세면 도구와 티슈이며 세면도구의 경우 연평균 12.5%의 판매 성장률을, 물티슈 포함 종이 수건류의 경우 약 17%의 판매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화장품 군에서도 종이 수건류와 세면 도구가 인도네시아 영유아 제품 시장에서 인기품목임을 알 수 있음.

    - 인도네시아가 덥고 해가 많이 뜨는 나라임에도 선크림 판매 실적이 다른 주요 화장품 품목보다 현저히 낮은 이유는 어른 포함 어린 아이 얼굴에 화학제품 사용을 꺼려하는 현지인들의 심리 및 자외선 차단에 대한 주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인식이 반영   


2012~2016년 인도네시아 영유아용 화장품 판매 동향

                                                                                                                                                                               (단위: 천 달러)

분류

2012

2013

2014

2015

2016

영유아용 두발제품

12,460.5

13,814.9

15,372.5

170,88.0

18,540.3

영유아용 스킨

5,357.4

6,185.1

6,975.2

7,584.7

8,073.7

영유아용 선크림

67.7

75.2

82.8

90.3

97.8

영유아용 세면 도구

577,12.6

66,802.1

77,396.5

88,291.9

98,457.5

영유아용 종이수건 (물티슈 등)

54,033.1

62,490.6

70,015.0

77,389.0

86,493.6

기저귀 발진 케어 제품

3,702.0

4,439.4

5,342.4

6,170.1

6,915.0

총계

133,333.3

153,807.4

175,176.8

196,614.0

218,577.9

: 2017년 6월 12일 환율(1달러=13290루피아)

자료원: Euromonitor


    - 전반적으로 SNS(사회관계망서비스)의 활성화와 이를 통한 활발한 광고가 어린 자녀를 키우는 인도네시아 부모들의 심리를 자극해 해를 거듭할수록 판매 액수가 증가

    - 게다가 인도네시아 부모들이 자녀들의 건강에 더욱 더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화학성분의 첨가가 적은 제품류가 최근 들어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파우더 제품에서 이러한 소비성향이 두드러지고 있음.


□ 영유아용품 수입 동향


  ㅇ 전체적으로 영유아용품은 내수용품이 압도적이나 대형 마트에서는 독일, 프랑스, 미국, 일본 등으로부터 수입된 제품도 판매됨.


  ㅇ 한국 제품의 경우 수입 실적이 저조하지만, 한-ASEAN FTA(자유무역협정)에 따라 일반 관세율이 5%~25%가 되는 품목들이 대부분 0% 로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어 한국산 영유아용품에 대한 관세 장벽은 낮음.


  ㅇ 예를 들어, 인도-ASEAN FTA가 존재함에도 22.5~25%의 높은 관세율이 매겨지나 인도네시아 시장으로 많이 유입되는 인도산 상품과 비교되고 있음.


  ㅇ 2016년에 인도네시아 영유아용품 수입 실적은 1 8577만 달러로, 2015 2 1970만 달러에 비해 18.26% 감소했는데 이는 다른 품목에 비해 기저귀 수입규모가 현저하게 줄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



인도네시아 주요 영유아용품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분류

2014

2015

2016

기저귀

128.11

89.27

46.98

영유아용 식품

86.79

110.96

115.85

유모차

9.44

8.44

11.18

영유아용 의류

6.78

6.65

7.84

영유아용 체중계

2.95

4.09

3.55

보행기

0.21

0.30

0.39

총계

234.28

219.70

185.77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기저귀

    - 기저귀 수입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인도네시아 내 기저귀 공장 수가 증가하며 인도네시아 자체 생산 능력이 올라갔기 때문이며 , 일본계 외투법인인PT Elleair International 사라는 업체가 2016년 초부터 인도네시아 현지 설립된 기저귀 공장을 통해 기저귀를 월 3000만 장씩 생산하며 내수 시장 활성화에 기여

    - 인도네시아 정부는 특히 태국과 베트남에서의 기저귀 수입을 줄이기 위해 기저귀 업종에의 투자를 장려해 내수 시장에서의 생산량을 늘리고자 함.

    - 기저귀는 주로 주 수입국인 중국, 일본을 포함 인근국가인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중국 및 동남아 제품은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이며, 일본이나 미국 제품은 일부 상류층 수요로 발생하는 수입임.

    - 특이한 사항은, 인도네시아에서는 한국으로부터의 기저귀 수입은 발생하고 있지 않아 주 수입국가 10위권에 들지 못하고 있음.


기저귀에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국가

2014

2015

2016

태국

68.32

36.22

19.37

중국

11.02

10.00

10.48

일본

12.07

9.52

8.42

베트남

17.87

23.71

6.54

필리핀

4.02

0.81

1.02

말레이시아

5.36

1.55

0.30

대만

7.72

6.70

0.22

미국

0.08

0.07

0.16

홍콩

1.16

0.55

0.15

인도네시아(FEZ)

0.00

0.14

0.14

총계

127.62

89.27

46.8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영유아 식품

    - 감소하는 기저귀 수입량에 비해 영유아용 식품군의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가 2016년에 수입한 영유아용품 규모는 1132만 달러이며, 수입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 급증으로 인해 수입량이 증가하게 됐음.

    - 영유아식품군으로 인도네시아로 가장 많이 수출하는 국가는 인도이며 2016년 수출실적이 총 317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약 49.59% 증가한 수치임.

    - 반면 인도네시아의 한국산 수입은 미미하며, 2015년에 6 2천불 가량의 실적이 발생 


영유아식품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국가

2014

2015

2016

인도

10.85

21.23

31.76

중국

12.29

17.89

18.77

말레이시아

21.8

22.56

18.01

싱가포르

13.25

10.73

11.64

네덜란드

5.68

8.17

6.67

태국

0.79

8.87

6.3

스위스

5.58

3.56

3.92

네덜란드

1.59

0.96

2.03

아일랜드

2.06

1.23

1.39

미국

0.74

0.8

0.83

총계

74.63

96

101.32

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영유아동복

    - 영유아 식품과 마찬가지로 영유아 의류제품에 대한 수입 시장 점유율은 2015년 21.49%였다가 2016년에 27.83%로 성장했으며 방글라데시 수입 실적 또한 마찬가지라 볼 수 있음. 인도와 방글라데시는 2016년 현재 기준으로 인도네시아로 영유아동복을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음.

    - 동시에 2016년 한국으로부터의 영유아동복 수입 실적은 94000달러 정도로, 2015년에 280000달러를 기록함에 비해 약 66.4% 감소한 수준이며, 이는 현지에 외투법인 형태로 진출해 설립한 공장을 통해 현지 생산량을 증대시키거나, 단순 수출의 경우 인도와 방글라데시 제품의 가격경쟁력에 밀려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파악되고 있음.


영유아의류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국가

2014

2015

2016

인도

1.43

1.43

2.18

방글라데시

0.82

1.37

1.69

중국

1.54

1.51

1.68

필리핀

0.11

0.40

0.70

캄보디아

0.26

0.52

0.49

베트남

0.12

0.2

0.15

인도네시아(FEZ)

0.04

0.10

0.12

태국

0.17

0.09

0.12

한국

0.61

0.28

0.09

파키스탄

0.01

0.02

0.03

총계

5.09

5.83

7.27

자료원: World Trade Atlas

  ㅇ 영유아 화장품

    - 영유아 화장품 또한 꾸준히 수입실적이 발생하고 있는 제품이며, 실제로 현지 대형 마트에 가 보면, 인도네시아 국산보다도 수입산 혹은 외국 로고를 달고 직접 혹은 OEM 방식으로 생산된 제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음.

    - 그러나 화장품 수입 실적을 추산할 시, 영유아를 별도하는 방식이 아닌 HS 코드 통합방식으로 수입 통계를 집계하기 때문에 화장품 군에 해당하는 HS 코드 33, 34류 하위에는 영유아용품 뿐 아니라, 어른용품까지 포함하는 통계실적만 존재해 순수히 영유아 화장품에 대해서는 판매량에 비해 실제로 얼마가 수입돼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임.

    - 이에 영유아제품군이 속해있는 전체 화장품 관련 HS code 통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화장품 수입이 2015년에는 주춤했다가 2016년에 수출액은 3 9700만불 가량으로 전년대비 10.28% 성장했음.

    - 한국의 경우 2016년 영유아제품군이 포함된 화장품류의 인도네시아로 수출이 677만 달러가량으로 전년 대비 62.35%의 약진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화장품 수출 또한 증가했을 것으로 보임.


화장품* 수입 동향

                                                                                                                        (단위: 백만 달러) 

국가

2014

2015

2016

태국

140.07

117.41

105,09

프랑스

74.32

66.26

81,07

영국

35.26

31.27

35,68

미국

30.80

30.79

32.04

일본

21.35

24.88

26.71

이탈리아

20.97

14.26

13.82

스위스

5.81

4.32

8.85

폴란드

9.62

9.05

8.44

스페인

5.01

0.68

7.63

한국

4.69

4.17

6.77

총계

347.87

303.08

326.09

: HS code 3303, 3304, 3305, 3401 류 합산 기준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영유아용품 경쟁사 동향


  ㅇ 영유아 식품

    - 부모들이 매우 깐깐하게 고르는 아이템이어서 선진국으로부터 수입해 온 제품들이 지배할 것 같아도, 수입에 비해 판매량이 월등히 많은 영유아 식품은 주로 현지에 투자진출한 외국계 기업의 공장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밝혀짐.

    - 좋은 품질과 이미지 때문에 인도네시아 부모는 자국 브랜드 상품보다 외국브랜드 상품을 선호하는 편이며 품질이 낮을 것으로 인식되는 자국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는 않은 편임.


인도네시아 영유아식품 주요 업체 경쟁 시장점유율

                                                                                                                                                                                 (단위 : %)

회사명

2012

2013

2014

2015

2016

Nestle Indonesia PT

24.23

23.43

22.57

21.84

21.03

Sarihusada Generasi Mahardika PT

14.23

14.53

14.88

15.13

15.39

Kalbe Farma Tbk PT

12.88

13.22

13.61

13.89

14.22

Frisian Flag Indonesia PT

12.66

13.09

13.53

13.79

14.08

Nutricia Indonesia Sejahtera PT

12.25

12.66

13.06

13.32

13.42

Mead Johnson Indoonesia PT

6.55

6.13

5.66

5.33

4.94

Abbott Indonesia PT

5.27

5.25

5.15

5.08

4.93

Wyeth Indonesia PT

3.37

3.58

3.8

3.94

4.08

Fonterra Brands Indonesia PT

1.61

1.57

1.59

1.54

1.56

Indofood Sukses Makmur Tbk PT

1.72

1.46

1.23

1.1

0.97

Heinz ABC Indonesia PT

0.56

0.57

0.57

0.59

0.6

Sari Husada Tbk PT

0.06

0.07

0.07

0.07

0.07

기타

4.61

4.44

4.28

4.37

4.69

총계

100

100

100

100

100

자료원: Euromonitor


    - 글로벌 기업인 NESTLE 사의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인 PT Nestle Indonesia 2012년에서 2016년까지 영유아 식품산업 시장을 장악해 왔으며, 이는 Dancow, Lactogen, Nestle NAN 등의 브랜드로 매우 잘 알려졌기 때문으로 분석됨.

    - 특히 분유가 매우 유명하며 동시에 이유식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우 잘 알려진 Gerelac과 Gerber 브랜드 제품의 구매가 두드러지며 자 사의 영유아 식품시장에서의 입지는 매우 탄탄한 편임.

    - 인도네시아 현지 브랜드인 Promina와 SUN PT Indofood Sukses Makmur Tbk라는 대기업 브랜드로, 현지 브랜드 중에서는 가장 잘 팔리는 브랜드이나 2013년 이래 시장점유율이 1%대를 넘지 못하고 있음.

    - 자신의 아이에게 최고의 것을 선물해주고 싶어하는 요즘 인도네시아 부모 수가 증가하면서 고품질의 해외 유명브랜드 제품이 부모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PT Kalbe Farma Tbk사와 같은 업체의 Milna Organic 브랜드는 현미, , 우유 등으로 만들어진 유기농 건조 식품으로 매우 유명


인도네시아 영유아용품 주요 경쟁 업체 및 인지도 및 선호도 높은 브랜드

회사명

유명 브랜드

내용

PT Nestle Indonesia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Nestlé Indonesia PT는 스위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기업인 Nestlé SA의 자회사임

 -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은 1971년 3월에 설립됐으며 3개의 공장을 가동 운영 중

 - 2016년 매출(예상) : 57863만 달러

 - 사이트: www.nestle.co.id

PT Sarihusada Generasi Mahardika

external_image

- NV Saridele이란 이름으로 1954년에 설립됐으며 1965년에 설립된 SGM*의 전신임(* PT Sarihusada Generasi Mahardika)

- 이 회사는 비타민, 분유, 액상 식품, 비스켓, 각종 영양 제품을 생산하며, 이들 제품은 영유아, 어린이 및 성인까지도 복용이 가능함

- 2016년 매출(예상) : 42814만 달러

- 사이트: www.sarihusada.co.id

PT Kalbe Farma Tbk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1966년에 설립됐으며 4개의 사업 분야 보유: 의약품(24%), 건강분야(17%), 영양분야(29%), 유통물류분야(30%)

- 2016년 매출(예상) : 39127만 달러

- ASEAN, 나이지리아, 남아공 등에 수출하고 있음

- 사이트 : http://www.kalbe.co.id

PT Frisian Flag Indonesia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네덜란드 업체인의 Royal FrieslandCampina NV 자회사로 네덜란드 식민지배 시기인 1922년에 이미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 Friesche Vlag 브랜드의 유제품 및 분유가 유통되기 시작

- 2016년 매출(예상) : 38751만 달러

- 사이트: https://www.frisianflag.com/

PT Nutricia Indonesia Sejahtera

external_image

- 1987년 설립됐음

- 찌라짜스와 보고르(자카르타 동부) 2개의 생산 공장이 있음.

- 종업원 수: 600명

- 2016년 매출(예상): 36945만 달러

- 사이트 : http://nutricia.co.id

: 2017년 6월 12일 환율(1달러=13290루피아)

자료원: 해당 회사 사이트 및 공개보고서


  ㅇ 영유아동복

    - 인도네시아에는 영유아동복을 생산하는 주요 업체가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동 시장은 영유아 식품과 같이 외국계 기업이 투자진출로 인도네시아 현지에 공장을 설립해 영유아 및 아동용 의류를 생산, 유통, 판매 중임.

    - 인도네시아 산업부에 의하면 동 시장에는 약 800여개의 경쟁업체가 존재하며 이 중 58%만이 영유아 및 아동복을 생산하고 있다고 언급함.

    - 해당 시장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나 생각보다 많지 않은 브랜드가 인도네시아 영유아 의류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영유아동복 주요 업체 경쟁 시장점유율

                                                                                                                                    (단위: %)

회사명

2012

2013

2014

2015

2016

Carter's Inc

2.3

2.5

2.6

2.7

2.7

Inditex, Industria de Diseno Textil SA

2.1

2.2

2.3

2.4

2.4

Multitrend Indo PT

1.6

1.7

1.9

1.9

2

Giordano Indonesia PT

1.2

1.1

1.1

1.1

1.1

Gap Inc, The

0.4

0.5

0.6

0.6

0.6

Uniqlo Fast Retailing Indonesia PT

-

0.1

0.1

0.1

0.2

Nike Indonesia PT

0.2

0.2

0.1

0.1

0.1

Lea Sanent PT

0.1

0.1

0.1

0.1

0.1

Trigaris Sportindo PT

0.1

0.1

0.1

0.1

0.1

Adidas Group

0.1

0.1

0.1

0.1

0.1

기타

91.9

91.3

91

90.8

90.6

총계

100

100

100

100

100

: 영유아동복(연령 0-14) 판매 실적을 기반으로 조사한 통계 수치

자료원: Euromonitor


    - 대부분의 현지업체는 CMT(cut make trim) 시스템을 기반으로 가공무역 형태로 원재료를 수입해 의류를 생산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의류시장에서의 높은 경쟁 때문에 인도네시아 제조업체는 인도네시아 밖을 벗어나 해외에 진출하려 하고 있으며, World Trade Atlas 데이터에 의하면 인도네시아는 오히려 무역적자보다 흑자, 즉 영유아동복 분야로 24067만 달러로, 수출이 수입보다 더 많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함.

    - 인도네시아는 2016년 현재 기준 영유아동복을 약 24851만 달러를 수출했음.

    - 국내 주요 경쟁사는 영유아식품과 마찬가지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해외투자가들이 장악하고 있으며, Carters Inc사의 Oshkosh BGosh와 Inditex, Industria de Diseno Textil사의 Zara Kids 등이 있음.

    - Zara Kids는 평균 이상의 높은 가격의 제품임에도 어린 자녀를 둔 인도네시아 자녀 사이에서 인기가 좋은데, 이 원인은 부모들이 자신들의 자녀가 다른 이들에게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크게 생각하고 있는 심리가 한몫하는 것으로 보임.


인도네시아 영유아동복 주요 경쟁 업체 및 인지도 및 선호도 높은 브랜드

회사명

브랜드

내용

Carter's Inc

external_image

- Oshkosh B’Gosh는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인기가 좋은 브랜드

- 이 브랜드는 인도네시아 현지 기업인 PT Mitra Adi Perkasa가 이 브랜드 마크가 달린 제품을 생산 중임

- 2016년 총매출 : 2410만 달러

Inditex, Industria de Diseno Textil SA

external_image

- 이 브랜드 또한 Oshkosh B’gosh와 같이 Inditex 사는 현지 기업인 PT Mitra Adi Perkasa 사를 통해 브랜드 제품 생산 판매

- 2016년 Inditex의 인도네시아 내에서의 매장 총수는 47(브랜드명 : Zara, Bershka and Stradivarius)였으며 2014 44, 2015 46개에 이어 증가

- 2016년 총 매출 : 2142만 달러

Multitrend Indo PT

external_image

- PT Multitrend Indo는 영유아동복 뿐만 아니라 유모차, 가구, 개인용품 등을 생산하고 있음  

- 2016년 의류 매출 실적 : 1785만 달러

- 사이트: http://multitrendindo.com

Giordano Indonesia PT

external_image

- 지오다노 주니어는 1998년에 지오다노가 런칭한 영유아동복 브랜드임

- 2016 매출 실적 : 982만 달러

Gap Inc, The

external_image

- 갭키즈 매장은 자카르타, 수라바야, 발리 등에 총 5개 매장이 존재

- 2016년 매출 실적 : 535만 달러

- Website: http://www.gap.co.id

: 2017년 6월 12일 환율(1달러=13290루피아)

 자료원: 해당 회사 사이트 및 공개보고서


  ㅇ 영유아용 화장품

    - 인도네시아 자국 브랜드인 Mitu는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좋아 널리 유통되고 있으며, 저소득층부터 상류층까지 다양한 소비계층이 골고루 선호하는 국민 브랜드로 평정이 나 있음.

    - 그러나 해외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인도네시아 영유아 화장품 시장을 장악하는 것은 사실이며, 그 중 Cussons, Johnson & Johnson, zwitsal 의 브랜드가 인도네시아 영유아 화장품 총 판매 실적의 49.6%를 차지하고 있음.


영유아용 화장품 업체 경쟁 시장점유율

                                                                                                                                                 (단위: %)

회사명

2012

2013

2014

2015

2016

Megasari Makmur PT

27.9

26.3

24.9

23.5

22.8

PZ Cussons Indonesia PT

20.9

21.8

22.4

22.7

21.5

Johnson & Johnson Indonesia PT

14.6

14.7

15

15.3

14.2

Unilever Body Care Indonesia Tbk PT

11.9

12.2

12.6

12.8

13.9

Kinocare Era Kosmetindo PT

10.8

10.3

10.1

10

9.3

Uni Charm Indonesia PT

4.7

5.8

6.6

7.4

8.2

Multi Indocitra Tbk PT

2.6

2.4

2.1

1.9

1.8

Tempo Scan Pacific Tbk PT

1.7

1.6

1.5

1.4

1.3

Bayer Indonesia PT

1

1.1

1.2

1.2

1.3

Joenes Ikamulya PT

1.4

1.2

1.1

0.9

0.8

기타

2.5

2.6

2.5

2.9

4.9

총계

100

100

100

100

100

자료원: Euromonitor


    - 영유아 화장품은 베이비 포토 대회 개최 등 활발한 홍보 활동을 통해 영유아용품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행사는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의 브랜드 홍보 효과가 높음.

    - 또한 요즘 인도네시아 부모가 SNS을 자주 이용하는 점도, 브랜드 노출과 홍보에 효과적임. 반면, SNS뿐 아니라 TV 채널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홍보 수단으로 실제로 TV 광고를 통해 몰랐던 제품을 알게 됐다는 AC Nielsen 측의 소비자 조사 결과도 있음.

    -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은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영유아용품 구매를 선호하나 e-commerce 시장의 대두로 영유아용품 온라인 마켓 또한 성장 중에 있음.

    - 특히 영유아용품 온라인마켓에서는 가격을 비교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자녀를 최대한 저렴한 가격으로 가장 멋지게 입히고, 건강하게 먹이고 예쁘게 꾸미고 싶은 엄마들이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 비율이 높은 인도네시아에서는 워킹맘 소비자층이 영유아용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마켓을 온라인으로 제품에 대한 가격비교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 

    - 요즘은 성인 뿐 아니라 영유아동용 헬스케어 제품이 인기를 끌면서, 성인용 화장품처럼 가급적 화학첨가물이 많이 함유돼 있지 않거나 유기농 영유아용 화장품이 인도네시아 엄마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음.


인도네시아 영유아용 화장품 주요 경쟁 업체 및 인지도 및 선호도 높은 브랜드

회사명

브랜드

내용

Megasari Makmur PT

external_image

1996년에 설립됐으며, 2010년에 자회사인 Godrej Consumer Products Limited.를 운영하기 시작

- 2016 예상 매출 : 4만9836달러

PZ Cussons Indonesia PT

external_image

- 1988년에 PT Cussons Indonesia사를 통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

- 1990년에 Cussons acquired PT사는 Jaya Makmur Raya사를 인수했으며, 2007에 양사는 PZ Cussons Indonesia 사로 합병됨

- 2016 예상 매출 : 4만6994달러

Johnson & Johnson Indonesia PT

external_image

인도네시아에 1973 설립.

- 소비재, 의료기기, 의약품 등의 분야로 사업활동 전개 중

- 2016 예상 매출 : 3만1038달러

Unilever Body Care Indonesia Tbk PT

external_image

- 1933에 인도네시아에 Lever Zeepfabrieken N.V. 명의로 설립, 이는 자카르타에서 비누공장을 운영하던 Lever Brothers사의 자회사임. 

- 2016년 예상 매출 : 3만382달러

Kinocare Era Kosmetindo PT

external_image

- 1991년에 설립됐으며, 19개 브랜드와 16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음

- 현재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등의 인근국가로 해외 판로를 넓혀가는 중

- 2016년 예상 매출 : 2만328달러

: 2017년 6월 12일 환율(1달러=13290루피아)

자료원: 해당 회사 사이트 및 공개보고서


□ 영유아용품 수입규제, 주요 절차


  ㅇ 현지로 수출 또는 투자진출 해서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무역부, 산업부, 및 보건부, 식약청 등 4개 부처의 규제사항을 준수해야 하며 품목별로 적용되는 법령 및 근거가 상이해 물품 판매 전에 법령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야 함.


  ㅇ 무역부령 MOT No 87/M-DAG/PER/10/2015

    - 인도네시아는 식품, 음료, 의약품, 화장품, 가정용품, 의류, 섬유, 신발, 전자제품, 장난감 등에 수입 규제를 가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내에서 수입하려는 위 물품은 아래에 제시하는 항구를 통해서만 통관이 가능함.(괄호 안은 주재 도시명)


영유아용품 지정 통관 항구명

Belawan(Medan), Tanjung Priok(Jakarta), Tanjung Emas, Tanjung Perak(Surabaya), Soekarno Hatta(Makassar), Dumai (Dumai), Jayapura(Jayapura), Tarakan(Tarakan), Krueng Geukuh(North Aceh), Bitung(Bitung) and Cikarang Dry Port(Bekasi)


    - 또한 수입 통관이 가능한 공항도 아래와 같이 제한돼 있음(괄호 안은 주재 도시명).


 영유아용품 지정 통관 공항명

Deli Serdang, Soekarno Hatta(Jakarta), Ahmad Yani(Semarang), Juanda(Surabaya), Hasanudin(Makassar)

* 단, Dumai, Jayapura, Tarakan 공항에서는 식음료만 통관 가능하며 Bitung 공항에서는 식음료, 의류, 섬유, 전자기기 통관만 가능함


    - 모든 수입 절차는 무역부가 정하는 기관의 검증 절차를 거쳐야하며 , 수입을 하기 위해서는 수입업자가 수입 인증 번호(API)를 등록해야 함.

    - API-U로 등록된 수입업자(단순 구매 목적인 일반 수입 인증 번호)http://inatrade.kemendag.go.id을 통해 3개월 안으로 수입 행위 실현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해야 함.   


  ㅇ 무역부령 MOT No 59/M-DAG/PER/8/2016

    - 수입을 하기 위해서는 API 등록자, 즉 수입업자가 무역부로부터 공식 승인 공문(Surat Persetujuan Impor)을 획득해야 하며, 수입업자는 제품 용기에 반드시 인도네시아어로 된 라벨을 부착해야 함.

    - 라벨에는 제품명, 원료명, 순수 중량, 수입업자 소개, 할랄인증, 생산일자 및 코드, 유효기한 등이 표기돼있어야 함.


  ㅇ 산업부령 MOI No 55/M-IND/PER/11/2013

    - 인도네시아 표준규격 인증인 SNI를 수입하고자 하는 제품에 사전에 득해야 하며제품마다 SNI 마크를 부착해야 함.

    - 산업부는 품질의 성능을 검사하기 위해 특정 검증기관을 지정하고 있으나 수입업자는 MRA(MutualRecognition Arrangement)를 소지하고 인도네시아와 양자협정을 맺은 국외 기관에서의 검증 절차를 거칠 수 있음.


  ㅇ 보건부령 MOH No 1190/Menkes/Per/VIII/2010

    - 의료기기와 가정용 장비는 인도네시아 일반 시장에 유통되기 전에 품질 검증을 통과해야 하며, 수입업자는 반드시 유통업자 자격증(Izin Edar Alat Kesehatan dan Perbekalan Kesehatan Rumah Tangga (PKRT))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자격증은 보건부 장관에 신청해 발부받을 수 있음.

    - 라벨링에 대한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라벨에 반드시 포함돼야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음.


라벨 필수 포함 내용(준수 사항)

라벨에는 무역업자명, 브랜드명, 제품명, 제조업자명과 주소, 수입업자명과 주소, 제품 용도 및 사용법, 경고 및 주의사항, 생산 일자 및 유효기한, 제품생산날짜 코드(batch number), 제품 생산코드, 한가지 품목 내의 제품 일련등록번호가 공통적으로 갖춰져 있어야 하며 가정용 도구에 대해서는 제품 구성 요소 공식 및 활성 부품 함유비율 등을 추가적으로 표기해야 함.


  ㅇ 식약청(BPOM) 관련 규정 BPOM No 12/2015

    - 해당 규정은 통관 및 화물 하역 절차를 조정함으로써 인도네시아로 수입되는 식품과 의약품 등에 대한 전체 절차를 개선 및 간소화하기 위해 제정된 규정

    - 수입업자는 반드시 SKI(Surat Keterangan Impor)라 하는 수입자격증을 온라인 상으로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에 신청해야 하며, 신청 횟수는 1회임.

    - 신청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는 http://www.e-bpom.pom.go.id 또는 www.insw.go.id.이며 신청 시 구비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음.


 SKI 신청 시 필수 구비 서류(BPOM No 12/2015령 관련)

SKI신청 양식, 수입 인증 번호(API), 사업자등록증(SIUP, Surat Izin Usaha Perdagangan), 납세자 고유번호(Nomor Pokok Wajib Pajak(NPWP)), 법적책임이 언급된 레터, 수입 제품HS code 목록 및 수입 행위에 대한 위임권 등을 갖춰야 함.


    - 또한 동 규정은 다양한 수입 품목에 대한 유통기한을 수입시점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요구하고 있음.


 수입 제품에 대한 유통기한 준수 사항

- 의약품, 전통의약품, 건강보조제, 화장품에 대해 유통기한의 최대 1/3가 남아있어야 함.

- 백신, 면역 혈청, 항원, 호르몬, 혈액 관련 제품, 건강을 목적으로 한 발효 제품 등 생물학적 제품에 대해 최소 9개월 이전에 수입 요망

- 조리 식품에 대해 유통기한의 최대 2/3가 남아있어야 함.


  ㅇ 식약청(BPOM) 관련 규정 BPOM No 13/2015

    - 수입업자는 반드시 SKI(Surat Keterangan Impor) 및 SKI-NOM(Surat Keterangan Impor Non Obat dan Makanan)이라 하는 수입 자격증을 온라인 상으로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에 신청해야 하며, 신청 횟수는 1회임.

    - 신청할 수 있는 웹사이트 주소는 http://www.e-bpom.pom.go.id 또는 www.insw.go.id.이며 신청 시 구비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음.

  SKI 및 SKI-NOM 신청 시 필수 구비 서류(BPOM No 13/2015령 관련)

신청 양식, 수입 인증 번호(API), 사업자등록증(SIUP, Surat Izin Usaha Perdagangan), 납세자 고유번호(Nomor Pokok Wajib Pajak(NPWP)), 법적책임이 언급된 레터, 수입 제품HS code 목록 및 수입 행위에 대한 위임권 등을 갖춰야 함.


    - BPOM의 검증 절차를 통과한 식품이나 의약품이 아니거나 , SKI-NOM  관련 HS Code 리스트에 등재된 일부 특정 제품은 SKI-NOM 형태의 수입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음.


    - SKI-NOM 자격증의 경우, 2년간 유효하며 원자재, HS Code, 수출 및 수입업자에 변동이 없을 시 그대로 별도 절차 없이 유효하며 SKI 자격증을 소지한 업자는 수입 행위 실현에 대해 동 청에 보고해야 함.


□ 시장 진출 관련 유의 및 참고사항


  ㅇ 인도네시아 정부는 출산 통제 제도를 지속하고 있으며 , 피임법에 대한 안내도 정부 차원에서 무료로 해주고 있는 실정으로 인도네시아 인구 수의 빠른 증가를 억제하고 있음.


  ㅇ 유기농으로 된 영유아용 식품은 아직까지는 큰 규모로 유통되지 않는 등 , 일반화돼있지 않아 제품 가격이 다른 일반 식품보다 높은 편이며 예를 들어 영유아 건조식품으로 분류되는 "Happy Baby" "Healthy Times organic baby rice cereals"(영유아용 시리얼)는 대도시의 럭셔리 마트인 "Kemchicks" "Ranch Market"에서만 판매되고 있음.


  ㅇ 보건부는 모유수유의 권장을 위해 분유에 대한 홍보활동을 금지하고 있으며, 제조업자는 영아용 분유가 아닌 이유기를 지난 유아 및 아동에 대한 분유 및 우유에 대해서만 홍보할 수 있도록 제지를 가하고 있어 최근 들어 업체들은 우유 선전을 할 때 두뇌 성장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적극 강조하면서 자녀가 똑똑해지기를 바라는 인도네시아 부모의 심리를 공략해 성공적인 마케팅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함.


  ㅇ 자녀의 수는 산아제한 정책으로 출산율 증가가 둔화되거나 감소가 예정돼 있지만, 좀 더 적은 수의 자녀에게 최고의 선물을 주고 싶은 부모의 마음이 반영돼 2017년 이후에도 영유아용품 시장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식품분야가 유망함.


  ㅇ 동시에 이 산업분야로의 진입 업체 간의 경쟁 및 새로 진입하려는 업체와의 경쟁이 가속화될 전망으로 제품에 대한 가격 상승도 둔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ㅇ 영유아용 화장품의 경우 인도네시아 소비자 성향 및 제품 선호도의 잦은 변화과 가격 경쟁력에 의해 새로운 브랜드에 대해서는 수요를 예측하기 어려운 부분을 유의해야 함.


  ㅇ 소위 '짝퉁'으로 표현되는 모조 영유아용 의류 및 분유 등이 인도네시아 온 오프라인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다는 점도 인도네시아 시장 진입에 위협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오프라인 시장은 아직까지는 gray zone(회색지대)로 정부의 규제가 체계적이지 않아 온라인 시장에서의 모조제품 판매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


  ㅇ 이에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업체는 자사 제품에 대한 기술, 특허, 브랜드 도용에 대해 철저히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음.


  ㅇ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시장에는 우리 제품의 수출이 많이 이뤄지지 않으며 기저귀 같은 수요가 많은 품목 시장에는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큰 인도네시아 수요시장에 비해 우리 기업에 주어진 기회가 아직까지는 크지 않은 편임.


  ㅇ 특히 이미 진입한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는 인도네시아 부모뿐만 아니라 한국 부모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는 제품으로, 새로 수출을 하거나 진출해 브랜드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기는 어려울 것


  ㅇ 또한 정부 당국의 소비재 내수산업 보호, 투자유치 장려 및 수입 제품에 대한 품질 향상 등의 이유로 SNI마크, BPOM인증, 할랄인증 등의 제품 인증 절차 및 규정이 까다로워지고 있어 인도네시아로 영유아제품을 적법하게 수출하는 데에는 생각보다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


  ㅇ 그럼에도 영유아용품에 대한 AKFTA(한 아세안자유무역협정) 관련 관세 장벽은 거의 없으며, 관련 자사 제품을 가지고 진출 가능성, 관세율 및 법규 제도에 관해 자카르타 무역관에 꾸준한 문의가 들어옴.


  ㅇ 한류가 반영된 한국 소비재 제품은 대체로 세련되고, 중국산에 비해 품질이 좋으며, 미국 및 유럽산에 비해 저렴하다는 인식이 특히 온라인 유통업자들 사이에 강하며, 생활소비재를 유통하는 바이어들의 한국 영유아용품에 대한 문의 또한 있으므로 우리 기업에 대한 영유아용품 틈새시장은 반드시 존재

 

 자카르타 무역관 앞 현지 편의점(Indomaret)에서 발견된 뽀로로 음료수 

자료원: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촬영


  ㅇ 마지막으로 경공업으로 분류되는 소비재의 경우 건설, 기계 등 중공업과는 달리 제품 규모가 작고, 매출 결과가 다양한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에 매우 민감하며, 다량을 판매해야만 판매 수익이 나는 수익구조를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해외투자진출보다는 온라인 마켓 시장 진출로 소규모로 사업 진출을 시도해 본 후 소비자 반응 및 판매 실적에 따라 대인도네시아 수출 규모를 결정하는 것을 권장함.


  ㅇ 차후 인도네시아 영유아용품 틈새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해 수출이 꾸준히 이뤄지면 인증 관련 각종 비관세 장벽을 피해 현지 진출도 고려 가능성도 존재  



자료원: Euromontior, 무역협회, 대한민국 관세청, 인도네시아 산업부, 인도네시아 무역부,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 인도네시아 재무부(세무청), 기업 홈페이지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요즘 인도네시아 아이들은 무엇을 먹고, 입고, 바를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