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식탁을 K-Food로 채워라
  • 트렌드
  • 중국
  • 선양무역관
  • 2016-09-26
  • 출처 : KOTRA

- 2차 한류열풍은 K-Food가 이끈다 -

- 대중국 수출효자제품은 '조미김' -

- 중국의 1인가구를 잡아라 -


 

 

한국 식품의 중국 수출 현황

 

  ㅇ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중국은 소비자들의 소비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과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남. 또한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런닝맨등 다양한 한국 TV 프로그램도 중국 내에서 높은 인기를 끌면서 삼계탕, 라면, 치맥 등 한국 음식이 주목을 받음.

 

 external_image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ㅇ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발표한한국 농식품의 대중국 수출 동향과 마케팅 사례에 따르면, 한국산 가공식품의 대중국 수출액은 2011 29700만 달러에서 지난해 62300만 달러로 2배 이상 급증함.

    - 가공식품을 포함한 한국산 농식품의 대중국 수출액은 2011 62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83000만 달러로 증가함.

    - 중국의 가공식품 수입시장 중 한국산의 점유율은 2011년도 3.5%에서 2015년에 4.5%로 증가함.

 

□ K-Food


  ㅇ 한국산 농식품의 대중국 수출 상위 주요 품목


HS Code

구분

對한국 수입액

(천 달러)

對세계 수입액

(천 달러)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수입대상국 중

한국의 순위

04012000

생우유

(지방함량 6% 이하, 1% 초과)

17,370

307,684

5.6

4

19011010

조제분유

87,266

2,471,201

3.5

9

19023030

라면

21,806

88,784

24.6

2

20089931

조미 김

54,077

83,020

65.1

1

20099010

혼합 과일주스

13,530

33,279

40.7

1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중국통계


    -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중 조미 김은 65.1%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함. 조미 김 수출액은 2011 560만 달러에 그쳤지만, 2015년은 5408만 달러로 4년 사이 약 10배 늘었음.

    - 조제분유와 생우유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각각 3.5%(9) 5.6%(4)를 기록했으며, 혼합 과일주스 또한 성장세가 두드러졌음. 혼합 과일주스의 지난해 수출액은 1350만 달러로 전년대비 216.9% 증가함.

    - 혼합 과일주스는 한국이 지난해 처음으로 덴마크를 제치고 수입 대상국 1위를 차지하는 등 최근 5년간 연평균 57.6% 성장했음.

 

  ㅇ 조미 김

중국 조미 김 수출 실적

                                                                         (단위: 백만 달러)

external_image

자료원: 관세청, NEWSIS

 

    - 관세청에 따르면, 대중국 조미김 수출 실적은 지난 2011 1940만 달러에서 2015 6220만 달러로 급성장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나타남.

    - 지난 5년간 조미 김 전체 수출 실적은 2011 12000만 달러에서 2015 22000만 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며, 특히 같은 기간 우리나라 수출이 5.1%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조미 김의 중국 수출은 괄목할만한 성장세임.

    - 한중 FTA가 발효된 지난해 조미 김 대중국 수출은 전년 4180만 달러에서 6220만 달러로 49%가 증가했으며, 올해 1~3월도 전년동기대비 22.1%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중국에서 김은 웰빙 먹거리로 각광받고 있으며, 과거 중국에서 김은 일본 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 제품의 안전성이 의심되면서 한국산 김의 위상과 인기가 더욱 높아지게 됐음.

 

  ㅇ 라면

    - 라면의 대중국 수출액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6.9%로 크게 성장했음. 카이더소비자지수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국에서 수입 라면 점유율은 2015 6.6%를 기록했고, 전체 판매액은 전년대비 20%나 증가함.

    - 상반기 대중국 라면 수출액은 2350만 달러 규모로 전체의 19.1%를 차지했으며, 이어 미국(1810만 달러), 일본(920만 달러), 대만(830만 달러), 호주·홍콩(640만 달러) 등이 뒤를 이었음.

 

  ㅇ 생우유

    - 한국 유제품의 국가별 수출현황을 살펴보면 생우유 수출액은 2011년까지 621000달러로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이듬해인 2012 405만 달러로 6배 이상 급성장함.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물량이 늘어나 2015년에는 17902000달러의 생우유를 수출했으며, 생우유의 97%는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음.

    - 2016년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1∼6월 유제품 수출액은 12014,000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2.8% 증가했음. 이 가운데 대중국 수출액은 63134000달러로 40.1%나 급증함. 현재 생우유는 중국의 수입시장에서 5.6%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 글로벌 유제품 강국들이 중국 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고 있음을 감안할 때 비교적 선전하고 있다고 보여짐.

 

유망제품

 

  ㅇ 고추장

    - 2015 8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부인 펑리위안 여사가 고추장을 구입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중국인을 비롯한 국내외 소비자의 한국 고추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 2015 1 1일부터 11 30일까지 고추장 수출은 972톤으로 전년동기대비 100% 급증함.

    - 2015년 농촌진흥청이 25~29세 중국 남녀 1600명을 대상으로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서된장, 고추장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한 결과, '고추장 하면 떠올리는 국가'로 한국(53.0%)을 꼽았다고 함. 특히 이들은 고추장 맛에 대한 평가점수를 100점 만점에 평균 87.5점을 주며, 한국 고추장은 매운맛과 단맛, 짠맛 등 다양한 맛이 나 계속 먹고 싶어지는 중독성이 있다고 말함.

 

  ㅇ 1인가구를 위한 즉석식품

    -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 2014 6600만 명이었던 중국의 1인가구는 최근 약 8300만 명으로 약 2년간 26%(1700만 명)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남. 미혼, 이혼, 이촌향도, 노령화 등의 이유로 중국 1인가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오는 2025 1억 가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함.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원: 블룸버그통신, 유로모니터                 자료원: 블룸버그통신

 

    - 중국 1인가구 중 청년 싱글족이 크게 늘면서, 이들의 지갑을 타깃으로 한솔로이코노미(solo economy)’가 크게 부상함. 약 8300만 명에 달하는 중국 1인가구 가운데 36%를 차지하는 2950만 명이 15~34세의 젊은 싱글족으로 나타남.

    - 중국의 1인가구의 급성장에 따라, 2012 2000억 위안에 머물렀던 중국 즉석식품 시장은 지난해 5300억 위안으로 성장해 3년 사이 165%나 증가했음.

 

시사점 및 전망

 

  ㅇ 농식품 수출 여건은 브렉시트(Brexit) 및 향후 EU 탈퇴절차 진행에 따른 금융시장과 불안과 사드 배치에 따른 동북아 긴장 고조 등 대외 리스크가 확대돼 어려울 전망임.

    - 중국 내 인프라 강화 및 마케팅 확대를 위해 항공운임 할인 확대 적용과 함께, K-Food fair 개최를 늘릴 것이라 함.

    - 또한, 가공식품 수출대책으로는 신 유통망, 포장·디자인 개선 등 기존 유망제품 개선과 신규 프리미엄 상품 개발 지원, 국산원료 사용 확대 방안, 한류 마케팅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짐.

 

  ㅇ 중국 진출 성공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현지화된 맛과 마케팅, 안전성이 손꼽힘.

    - 중국에서도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식품 검역 등 식품 안전정책이 강화되면서 양질의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자국산에 대한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안전성 강조 마케팅 및 맞춤형 제품 개발을 통해 중국시장 점유율을 확대해야 함.

 

  ㅇ 중국에서 한국산 먹거리들이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아직 중국 내 농식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0.84%에 불과함.

    - 한국의 높은 농식품 가공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현지 입맛을 고려한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한다면, 최근의 수출부진을 극복하는 데 농식품이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됨.

 

 

자료원: 서울신문, 한국무역협회, 동아닷컴, NEWSIS, 농수산축산신문, 바이두 및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식탁을 K-Food로 채워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