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한국-모잠비크 교역 확대
  • 트렌드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박강욱
  • 2014-11-17
  • 출처 : KOTRA

 

한국-모잠비크 교역 확대

- 모잠비크 신정부, 현정부 정책 계승할 전망 -

 

 

 

 

□ 모잠비크 대통령 선거, 집권당 후보 당선

 

 ○ 모잠비크선거위원회(Comissão Nacional de Eleições(CNE))는 제5대 대통령선거(2014.10.15.(목))의 결과, 집권당 모잠비크해방전선(FRELIMO) 필립뉴지(Filipe Nhusy) 후보가 총 유효투표인 533만3665명 중 57.03%의 득표율로 다음 대통령(2015~2019년)에 당선됐다고 공식 발표했음.

 

 ○ 위원회에 따르면 전통야당 모잠비크국민저항(Resistência Nacional Moçambicana(Renamo))의 아폰수들라카마(Afonso Dhlakama) 후보는 36.61%, 신야당 모잠비크민주운동(Movimento Democrático de Moçambique(MDM)) 다비슈시망구(Daviz Simango) 후보는 6.36%를 득표했음.

 

 ○ 필립뉴지 대통령 당선자는 엔지니어 출신으로서 이전에는 모잠비크 철도항만공사(CJM)에서 일한 적도 있어서 특히 사회간접자본, 건설 프로젝트 방면에 지식과 전문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짐.

 

 ○ 집권당의 후보로서 당선됐으므로 현정부의 정책을 그대로 이어 받을 것으로 보이며 현정부가 추구하는 성장, 안정, 개방, 투자촉진, 기업우대 정책을 더욱 강력히 추진할 것으로 예상됨.

 

□ 한국과의 교역 지속 확대

 

 ○ 한국과의 무역관계는 계속 확대될 것이며 엔지니어 출신으로 한국을 비롯한 외국 기업의 진출을 더욱 받아들여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고 기술이전 등의 효과를 더욱 크게 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옴.

 

 ○ 한국의 대모잠비크 수출은 2014년 9월 말 현재 7600만 달러로 2013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으며, 최근 국내 업계의 관심 증대에 따라 대모잠비크 수출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한국의 대모잠비크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품목명

2013

2014(1~9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92

109.8

76

4.3

레일 및 철구조물

1

-

9

1,399.70

표면활성제

10

100.4

8

-1.7

기타 석유화학제품

6

299

7

92.6

자동차

9

29.6

7

11.4

건설광산기계

4

7.3

6

92.8

알루미늄

0

1,077.00

5

16,182.60

합성수지

11

-20.2

5

-41.9

정전(static electric) 기기

5

4,467.60

4

37.2

기타 섬유제품

4

67.6

2

-16.8

서적

0

51.3

2

2,041.00

기타 정밀화학제품

4

216.6

2

-34.5

원동기 및 펌프

0

2.6

2

984.2

전선

7

5,818.80

2

-74.4

시멘트

0

-

2

-

기타 기계류

0

135

1

2,053.50

인조섬유 장섬유사

2

39.8

1

-40.5

어류

1

67.1

1

18.7

기타 중전(heavy electric)기기

2

1,408,001.40

1

-54.9

컴퓨터

3

5,824.60

1

-72.8

건전지 및 축전지

7

770.7

1

-89.5

고무제품

1

42.1

1

-40.4

회전(rotary electric)기기

0

46.4

1

5,319.30

인조섬유

0

58.5

1

72.6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통계(http://www.kita.net)

 

 ○ 한편 수입은 2900만 달러로서 2013년 동기 대비 110.7% 증가했으며 주요 수입 품목은 석탄임.

 

한국의 대모잠비크 주요 수입품목

(단위: 백만 달러, %)

품목명

2013

2014(1~9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총계

15

-78.1

29

110.7

석탄

6

-88.2

27

330.9

기호식품

4

36.3

1

-71.7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통계(http://www.kita.net)

 

□ 실리 위주의 개방정책 지속

 

 ○ 모잠비크 정부는 최근 그 천연자원의 풍부함을 이용해 전통적인 원조공여국과의 집중적인 외교관계에서 벗어나 그 관계를 다원화하고 전향적인 자세를 취하는 등 국제사회에서의 지위 개선을 노림.

 

 ○ 광업분야 외국인투자 로열티 수입이 많아지면서 원조 의존을 줄일 태세를 보이며, 특히 전통적인 원조 공여국인 미국이나 유럽 등 국가가 경제위기로 긴축정책을 펴 원조가 침체되면서 이러한 태도는 더욱 분명히 드러남.

 

 ○ 구식민지 종주국 포르투갈과의 관계는 지속적인 긴밀성을 보이며 투자 및 교역을 활발히 유지함.

 

 ○ 남아공과의 관계도 역시 무역 및 투자 분야에서 가장 강력하며 중국, 브라질, 인도, 호주 등과의 관계도 강화함.

 

 ○ 막대한 가스 매장량이 있어서 외국인투자가 활발히 이뤄지며 특히 천연가스를 수입하는 아시아 국가와의 관계를 확대하고 있음.

 

□ 자원개발 위주의 경제성장

 

 ○ 모잠비크경제는 광업 분야 투자 및 천연가스 개발 붐에 따라 2015~2019년에도 꾸준히 성장할 전망이나 중국 등 신흥시장의 성장세둔화 및 원자재 수요침체가 있을 경우 모잠비크의 성장세도 강해질 전망임.

 

 ○ 이러한 문제가 생길 경우 기업이 자원개발 투자 계획을 연기하거나 취소해 잠재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하도록 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Rio Tinto(영국, 호주 합작의 석탄 개발 투자업체)가 3년 전에 구입한 광업 지분을 헐값에 팔아 버린 것이나 브라질 Vale(석탄 개발)가 그 석탄 지분의 일부를 팔 것이라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 그 일례임.

 

 ○ 최근 세계은행(World Bank) 총재가 말했듯이 자원부국인 중남미제국이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저조한 경제성장률을 보이는 것과 같은 현상이 모잠비크에도 나타날 경우 정치불안 우려와 함께 천연자원 개발 분야에 대한 투자 위축을 야기할 것이며 잠재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하도록 할 것으로 보임.

 

 ○ 외부세계의 천연자원 수요 감소만 없다면 2014년 7.3%, 2015년 7.6%, 2016년 7.8%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보임.

 

 ○ 석탄 개발 및 새로운 사회간접자본 분야 투자가 경제성장을 주도할 것이며 2016년 이후에는 새로운 액화천연가스(LNG) 생산시설 건설로 운송, 통신, 제조업, 금융서비스 등 분야에 파급효과를 주면서 성장률이 올라갈 것으로 전망됨.

 

□ 천연가스 개발에 불확실성도 존재

 

 ○ 2017~2019년 석탄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다소 주춤하면서 경제성장도 역시 주춤할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모잠비크 정부가 목표로 정한 대로 2018년까지 천연가스 생산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전망에 근거함.

 

 ○ 아직까지 구체적인 LNG 공급계약은 하나도 체결되지 못했으며 서방기업은 모잠비크 자체의 입법 불확실성 및 전 세계 LNG 공급 초과(미국의 셰일가스, 호주 및 중동 LNG 프로젝트 개발) 우려로 인해 추가 투자를 늦추는 형편임.

 

 ○ 행정 관료주의 만연 및 사회간접자본 개발 지연으로 LNG 생산은 2020년경에 이루어질 가능성마저도 있음.

 

 ○ 동태적이고 자본집약적인 천연가스분야와는 대조적으로 고용이나 빈곤 감소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통산업 분야(예컨대 농업)는 취약한 모습을 보임.

 

□ 일반 산업분야는 더딘 성장

 

 ○ 농업분야에서는 일부 상업 작물 위주로 투자가 이루어지는 등 기업화의 모습이 있으나 농민의 자금 취득이 곤란하고 기술 및 시장 접근이 힘든 소농 분야에서는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음.

 

 ○ 모잠비크 정부가 국내 산업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매우 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노동시장의 경직성, 숙련인력 부족 등의 문제로 제조업 발전이 매우 더딘 편임.

 

 ○ 세계경제의 잠재적 취약성(특히 유럽과 남아공), 모잠비크 자체의 비호의적인 비즈니스환경, 인프라 부족으로 모잠비크 광업은 언제든지 방해를 받을 수 있다는 데에 문제가 있음.

 

모잠비크의 경제성장 전망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GDP

7.3

7.6

7.8

7.7

7.5

7.2

소비

2.6

10.1

5.8

4.6

3.5

4.5

정부지출

28.2

-3.0

7.7

7.3

11.2

12.2

총고정투자

11.0

10.0

19.0

16.0

15.0

11.0

재화서비스 수출(FOB)

7.4

17.0

13.3

10.9

10.3

9.6

재화서비스 수입(FOB)

8.0

15.4

14.4

10.5

10.0

9.4

내수

7.6

8.3

9.3

8.0

7.8

7.5

농업

6.0

5.0

4.0

3.5

4.0

4.2

산업

9.0

10.0

14.5

12.0

11.5

12.0

서비스

7.2

7.8

6.3

7.4

6.9

6.9

자료원: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4.10

 

□ 앞으로 진출 노력 강화 필요

 

 ○ 모잠비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 중 앙골라, 나이지리아와 함께 가장 활발히 성장하는 국가로 앞으로 한국의 수출 및 투자에 있어 유망한 시장이라 할 수 있음.

 

 ○ 한국은 중소기업 우수 상품 위주의 수출시장 진출 노력이 필요함.

 

 

정보원: Noticia, EIU Country Report(2014년 10월)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국-모잠비크 교역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