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카타르 제조업분야 두자릿수 성장세
  • 트렌드
  • 카타르
  • 도하무역관 김민경
  • 2019-09-16
  • 출처 : KOTRA
Keyword #제조업

- 2018년 제조업 GDP 규모 전년대비 22% 증가 -
- 제조업 설비 및 원자재 수출, 현지 투자진출과 같은 형식의 시장진출 기회 모색 가능 -




□ 카타르 제조업 현황


  ㅇ 2018년 제조업 분야의 GDP 규모는 176억 달러로 전년대비 22% 증가
    - 제조업의 GDP 차지 비중은 9%로 주요 산업인 에너지 산업(36%) 및 건설업(15%)에 대비해 비교적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그러나, 2017년 6월 발생한 카타르 단교사태 이후 정부 및 민간 주도로 제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신규 제조기업 설립 및 기존 생산라인 확대 움직임과 함께 제조업 분야는 빠른 성장을 이뤄나가고 있음. 


카타르 제조업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

구 분

2014

2015

2016

2017

2018

GDP 중 제조업 비중

10

9

8

9

9

제조업 GDP 규모

20,916

14,420

12,861

14,501

17,634

증감률

3

31

11

13

22

전체 제조기업 수

(가동 공장 수)

-

1,080

(683)

1,173

(707)

1,335

(756)

1,408

(795)

: 가동 공장 수 이외의 제조기업은 제조업 라이선스를 발급받아 가동을 준비 중인 기업

자료원 : 카타르중앙은행(QCB), 통상산업부(MoCI)


  ㅇ 금속 및 비금속 제품,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등 산업 기자재 분야 제조업체가 대다수를 차지  

 

타르 상위 10대 제조분야

분 야

기업 수()

금속 및 비금속 (콘크리트, 시멘트, 석재, 유리, 철강 등)

188

가공금속(알루미늄 제품 및 구조물 등)

156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112

식품·음료

64

화학 및 석유화학

59

종이제품·인쇄물

55

목가공

35

전기제품

31

가구

25

정제석유제품

24

: 가동 공장 수 기준

자료원 : 통상산업부(MoCI)


□ 제조업 관련 주요 정책


  ㅇ 제조업 전략(Manufacturing Strategy)
    - 2008년 수립한 카타르국가비전(Qatar National Vision 2030)에 따른 분야별 전략 중 하나로 통상산업부(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MoCI)에서 수립 및 추진 
    - 전략산업으로 석유화학, 플라스틱, 금속(알루미늄 포함), 식품 및 식음료, 의약품 등을 선정하고, 업계 지원요소로 외국인 투자 유치, 중소기업 지원, 프로젝트 자금 지원, 수출기반 확대를 제시 


국가비전 프레임워크


자료: 카타르계획통계청(PSA), KOTRA 도하무역관 가공


  ㅇ 에너지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프로그램 
     - QP(Qatar Petroleum) 등 타우틴 참가기업이 발주하는 에너지 분야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해외기업에 현지조달, 생산, 서비스 활용정도 등 현지진출 조건을 부가함으로써 제조업 기반 확대 및 공급망 육성을 목표로 하는 현지화 프로그램
     - 타우틴은 ① 현지 재화 및 서비스의 활용 정도를 나타내는 ICV(In-Country Value) 정책 도입, ② 현지화가 유망한 6개 분야 100대 투자기회 제공, ③ 현지 에너지 분야 공급자 육성(Supplier Development) 지원 등 크게 세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
     - 특히, 현지 재화 및 서비스의 활용 정도를 나타내는 ICV는 2020년 도입 예정으로 카타르 에너지 분야 입찰 참가를 계획하는 우리 기업은 ICV 의무화에 대비 필요 
    (클릭) KOTRA 해외시장뉴스 ‘카타르,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발표’


현지화가 유망한 6개 분야(좌), ICV 산식(우) 


 자료: 타우틴(TAWTEEN), KOTRA 도하무역관 가공자료


  ㅇ 외국인 투자 유치 정책 

    - 카타르는 국제유가에 의해 좌우되는 에너지의존 경제구조에서 벗어난 안정적인 경제 환경 구축을 위해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해 경제다각화 가속화 추진
    - ① 투자유치 진흥기관(IPA, Investment Promotion Agency) 출범, ② 외국인 투자법 개정에 따른 모든 경제분야 내 100% 외국인 지분투자 허용, ③ 100% 외국인 투자가 가능한 경제자유구역(Free Zone) 조성 등을 통해 외국인 투자유치 활성화 기반 마련 중

 

  ㅇ 타힐(Ta’heel) 이니셔티브 
    - 공공사업청(Ashghal)과 카타르개발은행(QDB)이 2017년 7월부터 함께 추진 중인 이니셔티브
    - 해당 이니셔티브 추진을 통해 현지 건설기자재 생산을 위한 신규공장 설립을 장려하고 현지 제품 사용 확대를 목표로 함.
    - 현지 제조기업이 공공사업청에 공급기업으로 등록(Approved Vendors List)하고 공공사업청의 건설 프로젝트 기자재 조달 기업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2019년 3월 기준 141개 제품 등록(가로등 및 조명제품, 도로 표지판 및 포장재, 하수관, 소방설비, 시멘트, GRP 파이프 등)
 

□ 제조업 관련 주요 이슈


  ㅇ 카타르 단교사태 
    - 2017년 6월 5일 카타르가 이란 및 무슬림 형제단을 옹호하며, 테러단체를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인근국에서 카타르와 국교단절 선언 
    - 단교선언국의 카타르에 대한 국경폐쇄(육해공 물자이동 차단) 조치는 카타르의 국내 생산기반 개선을 위한 제조업 활성화 움직임에 크게 기여
     (클릭) KOTRA 해외시장뉴스 ‘단교사태 2년,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 나가는 카타르’


  ㅇ 경제자유구역(Free Zones) 조성 
   
- 2018년 정부는 경제자유구역 조성 및 관리하는 카타르경제자유구역청(Qatar Free Zones Authority, QFZA)을 설립
    - 100% 외국인 지분 투자가 가능한 경제자유구역 두 곳을 항만 및 공항 인근에 조성 중이며 2020년 초까지 부분적으로 공식 개장 추진
    - 자유로운 영어 구사 환경, 다양한 인재풀, 편리한 운송환경, 저렴한 수도전기세 등을 강점으로 내세워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제조 및 물류, 첨단기술 분야 기업을 중점적으로 유치 희망


경제자유구역 투자인센티브 및 중점유치분야

구분

내용

투자 인센티브

100% 외국인 지분 허용

20년간 법인세 면제

수입관세 면제

중점유치분야

석유화학 다운스트림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신소재, 기타화학제품 등

첨단기술 : 사이버보안, 지능형 물류 및 교통, 인공지능, 농업 및 수자원 기술 등

물류 : 전자상거래, 식품포장, 의약품 공급 체인 등

 자료: 카타르경제자유구역청(QFZA)


  ㅇ 외국인 투자법 개정
    - 통상산업부(MoCI)는 기존의 외국인투자법을 개정하는 Law No.1 of 2019를 발표하고 2019년 1월 8일부로 시행
    - 과거 49%까지 제한이 있던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 제한 규정을 최대 100%까지 상향하여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경제 다각화 성취 추진
    - 개정 전에는 100% 투자 가능한 산업을 명시하고 있었으나, 개정법에서는 모든 경제분야에 투자 가능함을 명시   
   
- 다만, 아직 세부 시행규정이 미정비되어 개정법률에 따른 100% 외국인 투자진출 사례는 없음. ('19년 12월 기준)

       (클릭) KOTRA 해외시장뉴스 ‘카타르의 외국인 투자 유치노력과 우리기업의 유망 진출분야’


□ 제조업 진출 유망분야


  ㅇ 산업재(에너지 분야 플랜트 기자재, 건설기자재 등)
    - QP(Qatar Petroleum)의 LNG 증산계획(2018년 연 7,700만 톤→ ’24년 연 1억 1천만 톤) 발표 및 에너지 분야 현지화 정책 타우틴(TAWTEEN) 추진에 따라 관련 플랜트 기자재 수요 발생
    -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 준비 및 국가비전2030의 순조로운 이행을 위해 약 250억 달러(전체 재정지출의 40% 이상)를 프로젝트 예산으로 편성함에 따라 각종 건설기자재 수요 존재


  ㅇ 소비재(식품 및 음료 등)
    - 2016년 단교 주도국(UAE, 사우디, 이집트)에서 생산된 식료품은 카타르 전체 식품 수입시장의 30%수준으로 높은 수입 비중을 차지
    - 단교 이후 신규 수입노선 구축과 동시에 유제품 분야를 시작으로 식량자급률 증대를 위한 식량생산 확대를 추진 중임에 따라 식품 및 음료 분야 진출 유망


  ㅇ 보건의료분야(의료 소모품 및 의약품 등) 

    - 카타르의 인구는 2019년 10월 기준 277만 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5% 증가

    - 인구증가와 함께 정부 주도의 의료시설 확충이 진행 중으로 의료 소모품, 의약품, 의료기기 등 보건의료분야 물품 수요 발생

    - 현재 가동 중인 의료 소모품 및 의약품 생산 기업은 3개사에 불과해 여전히 해외 수입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일부 제품군에 대한 현지화 수요 존재


□ 시사점


  ㅇ 현지 제조업 유망분야 투자진출 및 관련 기자재 수출 유망  

  •     - 제조업 분야 100% 투자진출 및 현지인과 파트너십을 통한 합작공장(JV) 설립을 모색해 볼 수 있으며, 타우틴(TAWTEEN)에서 선정한 100대 투자분야와 경제자유구역(QFZA) 사업허용분야 등을 참고해 진출 고려 가능
        - 한편 제조업의 성장세와 함께 제조시설과 관련된 산업 기자재류(생산설비, 원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수요가 동반되고 있음. 기존에 운영 중이던 생산시설 확대 계획이나 신규 제조시설 설립 수요 발굴을 통해 수출 기회 모색 필요  

        (클릭) 타우틴 유망투자분야, (클릭) 경제자유구역 사업허용분야

  ㅇ 현지 제조사의 애로사항에 빠르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자세 필요  
    - 현지 제조업 분야 투자자들은 제조 공장을 설립할 자본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공장 운영 노하우나 기술적인 배경지식이 부족해 실무분야에서 애로를 겪고 있음.
    - 의료기기 공장 설립을 계획 중인 A사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공장 운영 경험이 없어 생산설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르게 대처하지 못 해 제품 생산에 차질이 생기는 것이 가장 우려되는 점이라고 함. 단순히 설비를 수출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계 설치 후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이나 부품 교체 등에 적시에 대처하고, 현지 노동자 대상 인력교육이나 기술교육 등을 함께 제공해줄 수 있는 기업과의 거래를 선호한다고 응답 


(참고) 현지 제조업 분야 주요기업


주요분야

기업명

생산품목

홈페이지

건설기자재

ITAG International

플랜트 기자재(밸브류) 제조

www.itagqatar.com

Qatar National Aluminium Panel

알루미늄 판넬 제조

www.q-nap.com

Qatar National Plastic Factory

파이프 및 피팅류 제조

www.qnplast.com

Doha Cables Manufacturing Company

전력 케이블 제조

www.dohacables.com

식음료

Coca-Cola Almana

Coca-Cola, Fanta, Sprite 등 탄산음료 제조

www.almanagroup.com

Korean Bakeries

제과제빵

www.koreanbakeriesqatar.com

Al Raed Fresh Foods Processing Company

채소·과일 가공 및 포장

www.alraedfresh.com

Qatar Industrial Manufacturing Company(QIMC)

Lipton, Red Label, Tea 포장

www.qimc.com.qa

의약품 및 의료용품

Qatar German Medical Devices

의료용 주사기 제조

www.qgmd.com/en

Qatar Pharma

의약품 제조(항생제, 연고, 투석액, 점안액 등)

www.qatarpharma.org

QLife Pharma

의약품 제조(크림, 연고, 소독제 등)

www.qlifepharma.com

자료원 : KOTRA 도하무역관 자체 조사 및 각 사 홈페이지   
 


자료: 카타르 계획통계청(PSA), 타우틴(TAWTEEN), 카타르경제자유구역(QFZA), 카타르개발은행(QDB), 통상산업부(MoCI) KOTRA 도하무역관 조사 자료 전반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제조업분야 두자릿수 성장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