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철강업계, 중국에 대한 경계감 고조
  • 현장·인터뷰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일
  • 2014-04-17
  • 출처 : KOTRA
Keyword #철강 #고로

 

일본 철강업계, 중국에 대한 경계감 고조

- 중국산 저가 공급과잉 물량이 아시아에 쏟아져 -

- 일본 업체의 수출 감소, 수입 확대로 연결 -

 

 

 

□ 중국의 철강 생산 감소 표명에도 공급과잉 해소 역부족이라는 분석

 

  일본 철강업계에서 중국 경기감속에 대한 경계감이 고조되고 있음.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철강 생산 소비국이며, 경기 감속과 정부의 환경규제를 통한 공급능력 삭감방침에도 불구하고 현재 조강 생산은 사상 최고 수준

 

 ○ 과잉생산된 저가품이 수출돼 아시아 철강재시장 가격 하락 압박요인으로 작용

  - 일본산 철강재는 견실한 내수를 바탕으로 국제적으로도 고가를 유지하고 있으나, 수요자가 ‘홀로 고가’인 상황을 언제까지 용인할지는 미지수임.

  - 고급 철강재로의 이행을 도모하는 중국 제품과 해외 시장에서 경합하는 장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

 

  올해 3월 베이징에서 개최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2014년의 GDP 성장률을 2013년과 같은 수준인 7.5% 정도를 목표로 하며 환경대책 강화 등이 포함된 ‘정부활동보고’가 채택됨.

  - 철강 등 환경오염과 관련된 업계 생산능력 삭감을 제시함.

  - 2014년에 환경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구식 철강생산설비를 연간 생산능력 환산으로 2700만 톤 삭감함.

  - 일본 업계에서는 설비과잉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방침 표명을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 세계 조강 생산의 약 50%를 점하고, 연간 2억 톤 이상의 수급 불균형이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효과는 한정적일 것으로 분석. 즉, 삭감목표가 수급불균형 해소에 크게 역부족이라는 것임.

  - 또한, 삭감 방침이 현실에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걸려, 단기간에 삭감이 이루어질지에 대해서도 회의적임.

 

  세계철강협회에 의하면, 2013년의 세계 조강 생산량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16억722만 톤. 이 중 중국은 7억7900만 톤으로 48.5%를 점하고 있음.

  - 중국은 2006년부터 노후설비 도태를 통해 과잉능력 삭감에 노력해왔음. 다만, 한편으로는 신규 설비의 가동이 진전돼 중소철강 제조사를 중심으로 공급과잉이 지속

  - 중국의 하루 생산량은 200만 톤 전후로 안정적임. 즉, 증산기조는 둔화됐으나 생산능력 삭감효과는 나타나지 않아 생산량이 감소되고 있지는 않음.

  - 내수로 흡수할 수 없는 잉여분의 저가제품이 수출로 전환돼 아시아 철강재 시황을 압박하고 있음.

 

  중국 통관 통계에 의하면 2014년 2월의 철강재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13.2% 증가한 480만 톤으로 3개월 연속으로 증가함.

  - 부동산 투자 및 융자 규제 등에 의해 중국 내 건축용 철강재 수요 감소. 잉여 재고가 수출되는 것으로 분석됨.

  - 중국의 수출 증가가 계속되면 아시아 시황에 하락 압력이 강해져, 일본도 일부 범용제품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

 

  일본 제품은 중국산 강재와 직접 경합하는 경우가 적은 게 현실이나, 아시아 전체 시황의 영향을 피할 수 없음.

 

국가별 조강 생산량 점유율(2013)

순위

국명

점유율(%)

1

중국

48.5

2

유럽

10.3

3

일본

6.9

4

미국

5.4

5

인도

5.1

6

러시아

4.3

7

한국

4.1

8

브라질

2.1

 

기타

13.3

자료원: 세계철강협회

 

□ 일본으로의 수입은 확대, 고가의 일본 제품은 수출 부진

 

  일본은 엔저에도 철강재 수입이 증가함.

  - 지난 2월 보통강 강재 수입량은 41만1104톤으로 4개월 연속으로 40만 톤을 웃돌았음.

  - 특기할 점은 한국산과 대만산 수입이 전월 대비 감소한 가운데 중국산이 전월 대비 6.7% 증가한 3만9765톤을 기록한 점임.

 

  수출은 엔저로 경쟁력이 증가한 가운데서도 감소

  - 2월 강재 수출량은 2013년 2월 대비 11.6% 감소한 321만 톤으로 6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함.

  - 업계에서는 중국의 저가 공세로 아시아 시황이 악화, 일본 철강 제조사가 적자 출하를 피하기 위해 수출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신흥국의 경기 감속을 배경으로 대ASEAN 수출이 5개월 연속으로 감소함.

 

  일본 내 공공투자와 건설 수요 등으로 강재 수급이 타이트해져 해외공급 여력이 크지 않은 것도 현실

  - 수출 확대를 위해 ‘증산’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해외시황의 부진으로 채산이 악화될 것을 우려해 증산을 결단하기 어려운 국면임.

 

□ 시사점

 

  일본제 철강의 최대 수출지인 ASEAN에서는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음.

  - 일본에서는 중국산 철강의 수출을 덤핑 수출로 보고 있음.

 

  중국산 강재는 저가 범용제품이라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중국 정부는 자동차용 등 고급 강재의 생산비율을 높이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음.

  - 고부가가치화에 의한 수익성 개선과 각국의 반덤핑조치를 회피하려는 의도도 있음.

  - 현재 기술력 부족으로 일본의 고장력 강판 등 고성능 제품과의 경합은 없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일본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측

 

  일본 철강업계는 현재, 내수의 활황으로 호조를 보이나 세계적인 공급과잉 상황에서 가격경쟁력 강화와 고기능 제품 개발 등을 가속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

 

  2012년 10월에 신일본제철과 스미토모금속공업이 합병돼 조강 생산량 세계 2위의 철강 제조사 ‘신닛테츠수미킨’이 탄생한 바 있으며, 국제경쟁 격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자국 생산 효율화를 위한 고로 폐지 등을 포함한 합리화를 추진함. 신닛테츠수미킨은 중국과 인도에서 JFE홀딩스와 코베 제강소는 베트남에서 각각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참고로 조강생산 세계 1위는 아르세롤미탈(룩셈부르크)로 조강생산량 9360만 톤, 일본 내 1위는 신닛테츠수미킨(4603만 톤), 2위는 JFE홀딩스(3069만 톤)이며, 포스코는 3990만 톤(세계철강협회 추계)

 

 

자료원: 일본경제신문, 일간공업신문, 2014 최신업계지도, KOTRA 도쿄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철강업계, 중국에 대한 경계감 고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