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필리핀 신문용지 시장 동향
  • 상품DB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안익상
  • 2022-10-26
  • 출처 : KOTRA

온라인 산업 발전으로 전자신문 구독 지속 증가 추세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 약화로 신문용지 수입액 감소

시장 동향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온 필리핀 제지류(Pulp, Paper and Paperboard) 시장 규모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수요감소로 인해 전년 대비 6.48% 감소하였으나, 2021년 약 259300만 페소로 전년 대비 10.5% 상승해 팬데믹 이전 수준 이상으로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필리핀 내 포장 가공식품, 가전제품 및 기타 소비재에 대한 수요와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향후 제지산업은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필리핀 제지류 시장 규모 변화 추이>

(단위: 백만 달러, %)

시장규모

성장률(%)

2017

2018

2019

2020

2021

2017

2018

2019

2020

2021

2,203.1

2,315.8

2,509.4

2,346.7

2,593.2

3.11

5.12

8.36

-6.48

10.50

[자료: 유로모니터]


 

 

전자신문 이용/구독자 수 증가

 

Statista의 조사에 따르면 2022년 필리핀 전자출판 부문의 매출은 약 1379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2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평균 5.02%의 지속적인 성장률을 보여 2027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1762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어 전자 구독 부문의 점유율은 202217%에 도달해 2027년 이용자가 약 21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텔레비전을 통한 뉴스 시청은 지난 202066%에서 60%감소했다. 주요 신문사들 또한 기존 종이신문과 미디어를 통한 뉴스 전달 방식에서 수익성이 확대되고 있는 소셜미디어(SNS)와 온라인 매체로 점차 전달 매체 형태를 전환해 나가는 추세이며 2020년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2%만이 종이신문을 통해 뉴스를 접하고 대다수인 55%가 온라인 매체 사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 현황

 

2021년 신문용지 전체 수입 규모는 약 527만 달러로 확인된다. 최근 3년간 수입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한국으로 2021년 전체 신문용지 수입의 61.91%3266천 달러를 기록했다. 이어 태국(11.55%), 러시아(7.17%), 일본(4.28%), 스웨덴(3.22%), 벨기에(2.56%), 인도네시아(2.35%), 오스트리아(2.16%) 순으로 수입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한국산 신문용지 수입은 약 326달러로 전체 수입국 중 1위를 기록했으나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 약화로 수입액은 과거 대비 대폭 감소했다.

 

<최근 3년간 필리핀의 신문용지 수입 상위 10개국 수입액 및 비중>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

수입금액

비중(%)

증감률(%)

‘20/’21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

전 세계

19,695

8,689

5,275

100.0

100.0

100.0

-39.29

1

한국

15,330

6,832

3,266

77.84

78.63

61.91

-52.20

2

태국

147

-

609

0.75

-

11.55

-

3

러시아

192

170

378

0.97

1.96

7.17

122.35

4

일본

127

75

226

0.64

0.86

4.28

201.33

5

스웨덴

1,360

521

170

6.91

6.00

3.22

67.37

6

벨기에

32

253

135

0.16

2.91

2.56

46.64

7

인도네시아

390

-

124

1.98

-

2.35

-

8

오스트리아

57

17

114

0.29

0.20

2.16

570.59

9

슬로베니아

-

-

103

-

-

1.95

-

10

네덜란드

109

123

88

0.55

1.42

1.67

-28.46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및 기업정보

 

<필리핀 내 주요 신문사 및 기업정보>

신문사

신문 표지

기업정보

Business Mirro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53e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5pixel, 세로 379pixel

ㅇ 설립연도 : 2005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www.businessmirror.com.ph

ㅇ 주소 : 3rd Floor, Dominga Building (Annex), 2113 Chino Roces Avenue, cor De La Rosa St. Makati, Metro Manila

 

Business Worl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7pixel, 세로 408pixel

ㅇ 설립연도 : 1967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www.bworldonline.com

ㅇ 주소 : 95 Balete Drive Extension, Brgy. Kristong Hari, New Manila, Quezon City, Metro Manila

 

Daily Tribun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6pixel, 세로 407pixel

ㅇ 설립연도 : 2000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tribune.net.ph

ㅇ 주소 : 3450 Concept Building, Florida Street, Makati, Metro Manila, Philippines.

Malaya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5pixel, 세로 452pixel

ㅇ 설립연도 : 1981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malaya.com.ph

ㅇ 주소 : Chinese Commercial Bldg., 652 Sto. Tomas Street, Intramuros, Manila

Manila Bulleti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8pixel, 세로 413pixel

ㅇ 설립연도 : 1900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mb.com.ph

ㅇ 주소 : Muralla cor Recoletos St., Intramuros, Manila

Manila Standar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1pixel, 세로 454pixel

ㅇ 설립연도 : 1987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www.manilastandard.net

ㅇ 주소 : 6/F, Universal RE Building, 106 Paseo de Roxas Avenue cor. Perea Street, Legaspi Village, Makati, Metro Manila

Philippine Daily Inquire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1pixel, 세로 403pixel

ㅇ 설립연도 : 1985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inquirer.net

ㅇ 주소 : 1098 Chino Roces Ave. cor Yague and Mascardo Sts. 1204, Makati, Metro Manila

The Manila Time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8pixel, 세로 438pixel

ㅇ 설립연도 : 1898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www.manilatimes.net

ㅇ 주소 : 2/F Sitio Grande Building, 409 A. Soriano Avenue, Intramuros, Manila.

The Philippine Star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8pixel, 세로 484pixel

ㅇ 설립연도 : 19869

ㅇ 분류 : 일간지

ㅇ 홈페이지 : philstar.com

ㅇ 주소 : 202 Roberto S. Oca St. cor Railroad St. Port Area, Manila, Philippines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 정리]

 

 

유통 채널의 변화

 

<2021년 유통채널별 신문/뉴스 구독 현황>

[자료: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장기간 지속된 팬데믹 여파로 신문/뉴스 구독 형태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Lazada, Shopee 등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가 급증하면서 주요 신문사들은 온라인 쇼핑 플랫폼 Lazada 등을 통해 디지털 구독권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2022년 필리핀 정부의 코로나19 이동제한 조치 완화 이후 치열한 대통령 선거 캠페인이 이어짐에 따라 신문사들은 장기간의 팬데믹으로 인한 광고 수익 감소 피해를 만회할 수 있었다. 팬데믹 이후 스마트폰을 이용한 온라인 뉴스 구독자 수가 증가하면서 필리핀 온라인 전자뉴스 수익은 202125% 증가해 전자뉴스 매출 성장은 19.5% 상승했다.

 

 

관세율 및 수입 규제

 

신문용지(HS Code: 4801.00.11)의 경우 기본세율(MFN) 10%, -아세안 FTA 활용 세율(AKFTA) 0%로 조회된다. 기본세율 대비 한-아세안 FTA 활용 세율이 낮으므로 원산지증명서를 구비하여 활용 시 관세 절감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단, 이는 HS Code: 4801.00.11 기준으로 HS Code 변동 시 관세율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신문용지(HS Code: 4801.00.11) 관세율 조회 결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440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0pixel, 세로 343pixel

[자료: Philippine Tariff Commission]

 

 

시사점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산업의 발전과 함께 필리핀의 종이신문 구독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으며 주 신문사들이 수익성이 뚜렷한 온라인과 모바일 플랫폼 투자 비중을 늘리면서 신문 형태의 하이브리드화가 진행되는 추세이다. 2020년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22%만이 종이신문을 통해 주로 뉴스를 접하고 있으며, 대다수인 55%가 온라인 전자신문 형태로 보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속되는 수요 약화와 글로벌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신문용지 수입량의 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향후 실수요업계와 상호 협력, 공급 방안 수립 등의 노력을 통해 산업 발전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유로모니터, Reuters Institute, Global Trade Atlas, Philippine Tariff Commission, KOTRA 마닐라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필리핀 신문용지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