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웰니스' 키워드로 보는 미국 스킨케어 시장 동향
  • 트렌드
  • 미국
  • 달라스무역관 이재인
  • 2024-05-08
  • 출처 : KOTRA

‘웰니스’ 소비 트렌드, 2024년 미국 뷰티·스킨케어 업계 주요 화두로 부상

시간·비용 절약을 위한 ‘멀티태스킹’ 제품, 과학적으로 효능이 검증된 '더마코스메틱’ 제품 인기

의사 인플루언서 등과의 협업을 통한 ‘임상적 신뢰성 강조’ 마케팅 필요

바야흐로 ‘웰니스(Wellness)’의 전성시대다.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깊은 피로감은 많은 미국인들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웰니스’를 삶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다. 이러한웰니스중심의 생활 방식은 미국인들의 일상적인 습관에서부터 소비 패턴에 이르기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웰니스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삶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뷰티·스킨케어 업계 또한 변화하는 소비자 수요에 맞춰 새로운 제품군을 선보이며웰니스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하나의 화장품으로 여러 가지 효과를, ‘멀티태스킹’ 화장품 전성시대


최근 미국 뷰티시장에서는 ‘스킨스트리밍(Skin Streaming)’이 새로운 트렌드로 각광받고 있다. 스킨 스트리밍이란 세안부터 보습에 이르기까지 많게는 십여단계에 이르는 과도한 스킨케어 루틴을 줄이고, 소비자 개개인의 피부 상태에 맞는 최소한의 제품 사용을 통해 효과를 극대화하는 스킨케어 방식으로, 피부로 가는 과도한 영양 공급을 제한해 피부 자극을 줄이는 동시에 스킨케어에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바쁜 현대인들에게 이상적인 스킨케어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스킨스트리밍 트렌드에 맞춰, 업계는 보다 효율적이고 간소화 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많은 브랜드들은 보습, 자외선 차단 여러 가지 기능을 포함한멀티태스킹(Multitasking)’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의 스킨케어 루틴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피부 관리에 필수적인 기능을 모두 포함해 특히 바쁜 일상 속의 현대인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멀티테스킹 스킨케어 제품>

사진

주요 기능 및 비고

가격(U$)

- 제품명: 피터토마스로스 얼티밋 솔루션 5 멀티태스킹 모이스처라이저

- 탄력, 미백, 각질 제거, 보습, 진정 5가지 효능 포함

- 주요 성분: 펩타이드, 히알루론산 등

65

- 제품명: 필로소피 호프 인어자 스무스 글로우 멀티태스킹 모이스라이저

- 보습, 피부결 개선, 항산화 작용 등

- 주요 성분: 프로비타민P, 히알루론산, 글리코릭애시드

49

- 제품명: 툴라 애크니 올스타 3-in-1 클렌저, 마스크, 스팟 트리트먼트

- 피부 정화 및 진정, 여드름 예방

38

- 제품명: 주스뷰티 프리바이오틱 SPF 45, 글로우 데일리 멀티태스킹 모이스처라이저

- 보습, 자외선 차단, 항산화

- 주요 성분: 프리바이오틱스

39.5

[자료: 각 브랜드 웹사이트, Ulta Beauty]


이러한 제품들은 기본적인 피부 관리 목적을 넘어, 불필요한 스킨케어 제품 사용과 그에 따른 포장 폐기물 발생을 줄일 있어 지속가능한 소비를 가능케 아니라, 소비자로 하여금 핵심적인 기능에 집중할 있도록 시간, 비용상의 절감 효과를 가져다 수도 있다. 멀티테스킹 스킨케어 제품들이 앞으로 웰니스를 중시하는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美 소비자들, 피부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 된 제품 선호


한편, 스킨스트리밍과 같은 스킨케어 루틴 간소화 트렌드에 맞춰, 미국 소비자들은 제한된 선택지 속에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고효능 제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앤드컴퍼니(McKinsey & Company, 이하맥킨지’) 올 초 발표한 2024 웰니스 트렌드 보고서에서 글로벌 웰니스 시장에서 두드러진 소비자 변화 하나로 '임상적인 제품(Clinical over clean) 선호하는 경향' 꼽았다. 이는 소비자들이 단순히 깨끗한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선호하는 것에서 나아가,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고효능 제품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실제로 맥킨지에서 미국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 조사에 따르면, 뷰티 제품, 일반의약품(Over the counter, OTC), 비타민, 영양제 웰니스 제품을 선택할 임상적으로 입증 효과(Clinical proven efficacy) 구매 결정 요인으로 고려하는 미국인이 절반 이상인 반면, 유기농이나 천연 성분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비중은 20% 불과한 것으로 조사된 있다.


<미국 소비자들의 웰니스 제품군별 구매 결정 요인 비중 설문조사>

[자료: McKinsey & Company 2024.1.]


소비자들이 과학적 근거와 고효능을 바탕으로 제품을 선호하면서, 많은 스킨케어 브랜드들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레티놀(Retinol), 비타민C 구체적인 성분명을 피부 효능과 함께 제품 포장 라벨링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이 정보에 근거한 선택을 하는데 도움을 아니라, 제품의 투명성을 높이고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구체적인 성분명을 포장 전면에 표기한 미국 스킨케어 제품>

[자료: Paula’s Choice]


전망 및 시사점

 

글로벌 수출입 통계 조사기관 글로벌트레이드아틀라스(Global Trade Atlas)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스킨케어 제품으로 79200 달러를 수출하며, 미국의 3 스킨케어 제품 공급국 지위를 굳건히 유지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미국 이커머스 시장의 대폭 성장과 맞물려, 아마존(Amazon)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 다수의 한국 스킨케어 제품이 입점하면서 한국 제품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된 데다, 소비자들이 브랜드에만 치중하던 과거와 달리 스킨케어 제품 선택 성분, 효능 등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고려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가성비 높은 한국 제품들이 선전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 스킨케어 화장품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3304.99 기준)>

(단위: US$ 백만, %)

국가

2021

2022

2023

점유율

증감률

-

전체

3,735

4,167

4534

100

8.8

1

프랑스

700

813

890

19.6

9.5

2

캐나다

620

694

810

17.9

16.7

3

한국

522

558

792

17.5

42.0

4

이탈리아

214

309

335

7.4

8.4

5

중국

200

223

289

6.4

29.8

6

영국

238

228

238

5.2

4.4

7

멕시코

124

158

184

4.0

16.3

8

스웨덴

275

235

152

3.4

-35.1

9

일본

128

152

119

2.6

-22.0

10

스위스

77

101

102

2.2

1.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4.]


웰니스 트렌드와 같은 미국 내 새로운 수요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 많은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텍사스 지역에서 뷰티제품 유통업을 영위하는 B사 대표는 KOTRA 달라스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최근 피부 내면 건강 향상을 위한 유효 성분이 함유된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한국에서 새롭게 인기를 얻고 있는 PDRN 성분 등이 포함된 세럼, 에센스 제품에 관심을 전한 바 있다. 이에, 미국 진출을 고려하는 스킨케어 기업들은 앞서 언급한 멀티테스킹 스킨케어 제품과 같은 신규 트렌드를 정확히 파악하고,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웰니스 지향적인 미국 소비자들의 관심과 구매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스킨케어 제품 선택에 있어 구체적인 성분과 입증된 효능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제품의 임상적 신뢰성을 전면에 내세우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략은 제품의 효과와 안정성을 명확히 드러내 소비자들과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게 하고, 최종적으로 구매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3기관의 인증을 받거나 의사 인플루언서들과의 협업 등을 통해 제품의 임상적 신뢰성을 부각시키는 마케팅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KOTRA 달라스 무역관은 우리 기업들의 성공적인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미국 대형 유통망과 협업 수출상담회와 신규 벤더 등록을 지원하고 있으며, 다채롭고 새로운 제품 공급을 필요로 하는 현지 바이어들에게 매년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우리 뷰티제품을 포함한 다양한 소비재 기업을 대상으로 한 미국 유통망 진출 지원사업은 올해도 진행 중이며, 미국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은 신청 접수 및 세부 사항 관련 KOTRA 달라스 무역관에 직접 문의 가능하다.



자료: Tiktok.com, Ulta Beauty, Peter Thomas Roth, Philosophy, Tula Skincare, Paula’s Choice, McKinsey & Company, Global Trade Atlas,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웰니스' 키워드로 보는 미국 스킨케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