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녹색시장] 美 고무제품의 혁명을 이끄는 바이오이소프렌
  • 경제·무역
  • 미국
  • 마이애미무역관 슈퍼관리자
  • 2010-03-30
  • 출처 : KOTRA

 

[녹색시장] 美 고무제품의 혁명을 이끈다. 바이오 이소프렌

- 친환경 타이어의 개념 재창조, 바이오 이소프렌 그린타이어 –

- 바이오이소프렌을 이용한 다양한 생활용품 개발 가능 -

 

 

 

□ 합성고무의 원료물질 폴리 이소프렌

 

 ㅇ 현재 합성고무는 천연고무를 대체하기 위해 전 세계에서 대규모로 생산됨. 생산된 대부분은 타이어에 사용됨.

 

 ㅇ 합성고무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전구체는 이소프렌이라는 휘발성이 강한 탄소화물 물질. 석유 정제의 부산물로 얻어짐.

 

 ㅇ 보통 타이어 1개가 만들어지는데 7갤론의 정제된 석유가 필요함. 때문에 타이어를 만드는 데에 있어 석유의 가격변동에 따라 원재료 가격변동이 심해 안정적인 공급에 영향을 끼침.

 

 ㅇ또한, 타이어 제조과정의 다른 이슈는 제조시 발생하는 매연 등으로 인한 환경 파괴 요인 등임.

 

□ 미국의 타이어 공급현황

 

 ㅇ 먼저 센서스국의 전수조사(2007, 가장 최근 자료)에 따른 타이어 시장을 살펴보면, 미국시장의 타이어 제조업체 규모는 이전 자료 대비 줄었으나 수입타이어 규모는 3배가 증가함.

 

 

기업수

직원수(명)

제품 운반비용(US$)

타이어 제조

91

49,759

16,896,094

재생타이어

381

8,424

1,640,483

자료원 : 센서스국

 

  - 반면 재생타이어 기업수가 많음에도 직원수나 제품운반 비용은 타이어 제조에 미치지 못함. 하지만 재생타이어 시장과 친환경 타이어시장은 2012년까지 1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있음.

 

□ 바이오 이소프렌 타이어 제조과정

 

자료원 : Genencor

 

 ㅇ 위 표는 바이오 이소프렌 타이어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며, 이 기술은 제넨코사의 조세프 멕얼리프 박사가 개발함. 기본적으로 사탕수수대, 옥수수대, 스위치그래스, 기타 바이오매스 자원들로부터 추출된 다당류들을 이소프렌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을 말함.

 

 ㅇ 다당류의 이소프렌 전환을 위한 하나의 수단은 탄소화물 원료물질들을 바이오이소프렌 제품으로 전환시키도록 설계된 개조된 박테리아 종에 기초한 발효공정을 이용하는 것임.

 

 ㅇ 바이오이소프렌 공정과정을 통해 타이어뿐만 아니라 기존 합성고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에도 사용 가능

 

자료원 : Genencor

 

  - 예시로는 수술용 장갑, 고무파이프, 의료기기 등 실생활에서 쓰이는 고무원료 제품임.

  -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의 관심도 향상에 부합해 그 수요에도 적극 부응할 것으로 전망

 

□ 굿이어, 제네코사와 바이오이소프렌 기술 협약

 

 ○ 제네코사는 바이오 이소프렌에 대한 기술을 세계 최대 타이어 제조회사인 굿이어에 이전하기로 하고 굿이어는 바이오 이소프렌을 이용한 타이어 개발에 박차를 가해 2013년까지 상용화할 계획을 발표함.

 

 ○ 최종 목표는 상용화 이후 2018년까지 친환경 타이어의 생산량을 3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이며 석유자원의 부족과 가격 상승과 맞물려 이 제품의 시장성을 유망하게 봄.

 

□ 시사점

 

 ○ 현재 미국시장에서 바이오 산업은 큰 성장을 보이며 다양한 친환경제품들이 시장을 점령해가고 있는 가운데 가장 큰 제조업 시장 중 하나인 타이어산업도 친환경의 흐름에 동참

 

 ○ 중국산 저가 타이어에 대해 반덤핑 제소까지 한 미국의 타이어 업체들은 친환경 타이어로 인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수요 충족과 더불어 새로운 소비시장 개척을 기대

 

 

자료원 : msnbc보도자료, Genencor, KOTRA 마이애미KBC 자체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시장] 美 고무제품의 혁명을 이끄는 바이오이소프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