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발전설비시장 초호황 10년 간다
  • 경제·무역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최동석
  • 2010-01-04
  • 출처 : KOTRA

 

인도, 발전설비시장 초호황 10년 간다

- 인도기획위원회, 저가 중국산 품질논란 속 수입 급증 고심 -

- 국영 BHEL사 공급능력 턱없이 부족 -

 

 

 

□ 인도 만성적 발전설비 공급난 배경

 

  인도정부의 11차 5개년 계획(2007/12)에 따라 대대적인 발전소 투자확대가 이뤄져 발전기자재 메이커나 수입상들은 호황을 맞이함.

  - 지난 3년간 오더북이 지속적으로 늘었으며, 앞으로도 10여 년은 이러한 추세가 지속할 것으로 보임.

 

  인도의 1인당 연간 전력소비량은 650㎾h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낮은 국가에 속하며, 세계평균은 2429㎾h임.

  - 그나마 1인당 전력소비량이 인도 기준으로는 급증하고 있지만 이 정도에 그침.

     

 ○ 인도경제가 연평균 7~8%대로 성장하기 위해서 전력공급은 연평균 10% 이상으로 증가해야 하며, 특히 발전설비용량(현재 15만3000㎿)은 향후 30년 동안 10년마다 2배 이상으로 늘어나야 함.

     

□ 중국산 발전설비, 수입 급증 배경

     

 ○ 대대적인 발전소 증설 및 신설투자로 인도 내 발전기자재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인도 국내기업들의 발전기자재 공급여력이 한계에 달해 발전기자재 수입이 급증하고 있음.

     

 ○ 특히 품질문제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중국산 발전기자재 수입이 급증하자 인도기획위원회는 프로젝트 기한준수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인도산 발전기자재 생산능력을 증대하는 방안을 연구 중임.

 

 ○ 인도 발전소건설업체나 프로젝트 개발업자들은 같은 조건이면 인도산을 쓰는 것이 마땅하지만, 수요 폭증으로 납기준수가 어렵고 중국산에 비해 가격이 비싸며 제품군이 다양하지 않고 표준화가 떨어지는 등 문제점이 일부 있다는 점을 들어 중국산에 대한 정부의 인위적인 수입제한조치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상당함.

 

 ○ 인도기획위원회가 인도산 발전기자재 사용을 장려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까닭은 중국산 품질에 많은 문제가 있다는 점이 발견되고 있기 때문임.

     

 ○ 인도는 현재 15만3000㎿ 발전설비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2년까지 6만2000㎿ 발전설비용량을 추가 확대할 계획임. 이 중 4만2431.6㎿ 발전설비를 국영 Bharat Heavy Elecricals Ltd(BHEL www.bhel.com)에 오더한 상태임.

  - BHEL은 인도 최대 발전기자재 제작업체로 현재 이 회사의 연간 공급능력은 1만㎿임.

  - BHEL 공급능력은 향후 30년간 인도 발전설비용량 수요가 70만㎿로 늘어날 것임을 감안할 때 턱없이 부족함.

  - 인도 발전설비업체들의 공급한계 때문에 인도 전력회사들은 2만6000㎿ 발전설비를 중국기업인 상해전기(Shanghai Electric Group Co. Ltd), 동방전기(Dongfang Electric Corp), 하얼빈발전설비(Harbin Power Equipment Co. Ltd)에 오더한 상태임.

  - 이 업체들은 인도 발전소에서 2만5000㎿ 발전설비 구매의향서를 받아놓은 상태임.

     

□ 인도 중앙전력위원회 대응방안 및 한계점

     

 ○ 인도 전력기획분야 최상위 국가기관인 인도중앙전력위원회(CEA : Central Electricity Authority)는 중국산 발전장비 품질에 우려를 제기하면서 주인도 중국대사관에 이메일 문의를 했지만, 주인도 중국대사관은 답신기한까지 회신을 하지 않은 상태임.

  - 전력부, 상무부, 중공업부, 재무부, 산업정책진흥부 등에 의견조회를 요청한 상태임.

 

 ○ 인도정부는  발전소 신설 프로젝트를 늦출 수 없는 상태이며, 인도 국영회사인 BHEL은 양호한 트랙레코드를 갖고 있지만 대규모 발전설비를 공급할 여력이 없다는 점이 문제임.

     

  문제 타개책의 일환으로 인도중앙전력위원회는 인도 국내에서 660㎿ 이상의 슈퍼크리티컬발전설비(supercritical power generation equipment)로,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설비를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류 수입 시 수입관세 유예조치를 취할 것을  재무부 등 관계기관에 건의했음.

     

□ 시사점 및 진출전략

     

 ○ 인도의 전력부족은 통상적으로 9%에서 피크타임에는 14%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지속적인 발전소 건설이 불가피하고 이에 따라 발전기자재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

  - 제11차 5개년 계획(2007/12)은 7만8700㎿ 발전설비용량 증대가 목표이나, 목표치의 54% 정도 달성에 그칠 것으로 전망

   · 매년 1만5740㎿ 정도 발전설비증량이 필요하며, 투자액은 10조3200억 루피 소요

  - 제12차 5개년 계획(2012/18)은 발전설비용량이 총 10만㎿ 추가가 필요할 것임.

     

 ○ 인도정부는 'Power for all by 2012' 슬로건 하에 계획된 프로젝트가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고위층이 독려하고 있음.

  - 이를 위해서는 민간자본의 발전분야 사업환경 개선을 통해 Tata Power, 아닐 디루바니 암바니그룹(ADAG)의 Reliance Power, Essar, Adani Group이 발전소 사업에 뛰어들었으며 석탄 관련업체, 도로건설업체, SEZ디벨로퍼, 건설업체들도 발전부문 참여에 관심이 있음.

 

 ○ 참고로 인도의 전력수요 급증 때문에 발전분야 투자가 유혹적이기는 하지만 화력발전소 건설은 자본집약적이며, 어림잡아서 1㎿ 발전설비를 갖추는 데 대략 5000만 루피가 소요됨.

  - 인도발전사업에 민간기업이 이제 막 거점을 확보한 상태이며, 국영발전소들이 아직은 주요 역할을 담당함.

  - 이 중 NTPC, PFC, REC, PGCIL, PTC는 상장기업들이며, 비상장기업으로는 NPCIL, NHPC, DVC, NEEPCO, THDC, SJVNL, BBMB 등이 있음. 이들은 상장하기 전에 법인화 과정을 먼저 거쳐야 함.

 

 ○ 현재 Bharat Heavy Electricals Ltd.는 연간 1만㎿의 용량을 갖고 있으나 인도 내 발전설비 수요증가를 따라잡지 못해 다른 민간발전설비 제작사들과도 연계해 인도정부가 제공하는 세제특혜 등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

  - Bharat Forge사와 프랑스 알스톰 합작사는 인도 내 SEZ(경제특구)에 위치해 SEZ 내에서 중전기를 제작하는 업체에 정부가 제공하는 모든 특혜를 누릴 수 있을 것이며, 여기에는 발전기자재 수입 시 수입관세면제도 포함됨.

 

 ○ 인도정부가 안보차원에서 저가의 중국산 발전설비 및 기자재의 수입급증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해, 인도의 일부 발전소에서 BHEL설비를 사용하는 조건으로 중국산 부품 사용을 금지하는 조항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기회로 활용해야 함.

 

  뭄바이에 위치한 민간조사기관인 인디아 인포라인사 히툴 구트카 애널리스트는 시장논리 때문에 값싼 중국산 발전설비 수입이 중단되지 않을 것이며 인도 내 발전설비 제조업체를 정부가 정책적으로 육성해야 하고, 이를 위해 인도 제작업체와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인도 내 합작생산을 위한 세제상 인센티브 부여가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생각임.

     

 ○ 이에 따라 우리 EPC업체와 발전기자재 제작업체들도 인도국영발전소, 민간EPC, 중전기 업체들과 합작해 황금시장 인도 발전시장에 진출하는 데 전력을 기울어야 할 것임.

     

     

자료원 : 인도전력부, 인도중앙전력위원회, BHEL사, BMI 인도전력산업보고서, 민트지, 관련업체, KOTRA 뭄바이KBC 자체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발전설비시장 초호황 10년 간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