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2010년 경제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전망 (1)
- 투자진출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12-30
- 출처 : KOTRA
-
베트남, 2010년 경제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전망 (1)
- 2009년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 -
- 2010년 베트남 정부는 외국인 직접투자와 더불어 간접투자도 적극적으로 강화해야 -
- 재정수지의 악화와 무역수지의 적자 해소를 위한 노력 계속 -
□ 베트남 경제성과와 2010년 전망
○ 베트남은 1986년 시장경제 체제로 전환해 성공적인 경제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제조업 부문의 비중이 커지고, 중공업 부문의 육성이 강화되면서 2006년 11.7일 WTO에 가입과 미국과의 정상적인 무역관계(PNTR)를 토대로 베트남은 경제도약의 기틀을 마련하였음
○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본격화되면서, 고도성장을 지속하던 베트남 경제는 물가 상승, 주가 폭락, 무역수지 적자 확대 등의 경제 불안 요소를 베트남 정부의 강력한 긴축 정책으로 2009년 1분기 3.1%, 2분기 4.5%, 3분기5.8%, 4분기 5.9%(예상)의 비교적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하며,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몇 안되는 국가로 2010년을 맞이함
○ 지난 해 11.25일 베트남 중앙은행은 실물경제의 구조조정 및 인플레이션 억제 차원에서 동화의 평가절하(5.4%) 및 금리인상(1%) 조치를 실시하여, 지속적인 외국자본유입에 따른 물가상승과 인플레이션 압력 등의 경제 불안 요소를 해소하려 노력하였음
○ 이는 최근 베트남 경제가 수년간 급성장으로 인한 재정수지의 악화와 무역수지의 적자로 인해 계속적으로 받아온 압력임
○ 또한, 2004년 7.5%, 2005년8.25%, 2008년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중앙은행의 긴축정책으로 3차례의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14%까지 치솟았으나, 2008년 하반기부터 2009년 상반기(2월)까지 5차례에 걸친 금리 인하 조치를 단행하며, 7%의 기준금리를 유지하여 왔으나, 최근 대출 확대와 인플레이션 압력 등으로 기준금리를 8%로 인상함
연도별 무역수지 적자 현황
단위 : 억 달러
구 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11
무역수지
-50.5
-54.5
-45.4
-48.0
-124.6
-175
-104.1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연도별 환율
단위 : VND
구 분
’04년
’05년
’06년
’07년
’08년
’09년
’09년.11.25
환율(1달러)
15,777
15,916
16,054
16,030
16,835
17,840
17,961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연도별 기준금리
연도
’05년
3월
’08년,
2월
’08년,
5월
’08년,
6월
’09년,
1월
’09년,
2월
’09.
11.25
기준금리(%)
8.25
8.5
12
14
8.5
7
8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 작년 10.21일, 한국과 베트남의 정상회담을 통하여 한국과 베트남은 양국 관계의 발전을 위한 방안과 지역 및 국제사회 문제에 대하여 심도있게 의견을 교환함
○ 1992년(12.22) 한국과 베트남과의 수교 이래, 급속도로 발전해 온 양국관계가 2009년 10.21일 정상회담을 통하여 포괄적 동반자 관계에서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로 격상되며, 2010년 경제 및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함
○ 한국은 지난 20년간 베트남의 개혁과 개방정책의 실시를 통한 경제발전을 높이 평가하였고, 2010년 양국간의 무역, 투자 등의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하여 “한국-베트남 자유무역협정”의 추진가능성과 실효성등이 금년(2010년) 내에 세부적인 의견교환이 있을 것으로 보여짐
○ 베트남은 2009년 하반기부터 경제가 회복되면서 2010년 경제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가 됨
○ 환율도 어느 정도는 안정이 되고, 무역적자 폭도 최대한 정부차원에서 줄이기 위한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보여지며, 경제성장률도 6.5%~8%까지로 예상이 되고, 수출도 5~6%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 됨
○ 또한, 증권시장이 크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나, 거품현상에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2010년 베트남 정부는 외국인의 직접투자와 더불어 간접투자도 적극적으로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며, 정부 정책의 미비로 물가상승의 우려는 2010년에도 여전히 존재함
대 베트남 국별 외국인투자
(단위 : US$백만)
구분
2009. 11.21 현재 누계
2009. 1 ~ 11.21
국가명
건수
투자금액
실행금액
건수
신규
투자금액
증자금액
대 만
2,013
21,336
8,618
46
1,417
3,855
한 국
2,294
20,490
6,896
184
1,518
64
말레이시아
339
18,063
3,870
27
150
18
일 본
1,158
17,811
5,157
75
137
235
싱가폴
766
16,991
5,437
88
457
249
버진아일랜드(영)
451
13,195
4,347
34
1,076
34
미 국
485
12,810
2,259
38
4,261
3,855
홍 콩
562
7,700
2,650
39
742
155
케이만 아일랜드
44
6,630
1,226
3
2,016
2
태 국
216
5,750
2,449
16
54
13
캐나다
92
4,796
1,009
13
30
-
전체 합계
10,854
175,017
56,639
776
14,656
5,090
* 실행금액은 정관자본금(Legal capital)액수임
자료원 : 베트남 기획투자부(MPI : Ministry of Planning & Investment)
대 베트남 산업별 외국인투자
(단위 : US$백만)
구분
2009.11.21 현재 누계
2009. 1 ~ 11.21
연번
산업
건수
투자금액
실행금액
건수
신규
투자금액
증자금액
1
제조, 가공
6,718
88,655
29,516
211
2,092
751
2
부동산경영
312
38,384
9,640
38
5,748
186
3
호텔, 외식서비스
255
14,959
2,431
31
4,980
3,812
4
건설
490
9,075
3,242
71
367
99
5
정보통신
545
4,654
2,901
60
67
26
6
예술 오락
119
3,679
1,046
12
360
-
7
채광
65
3,078
2,385
5
396
-
8
농,임,수산
479
3,002
1,466
15
61
23
9
물류운송
284
2,323
843
21
108
75
10
전력,가스, 용수제조 공급
48
2,153
673
14
46
28
11
도소매,유지보수
296
1,188
537
109
303
47
12
금융, 은행, 보험
72
1,182
1,084
1
0.02
13
의료와 사회복지
64
956
238
5
6
0.8
14
기타서비스
79
626
141
22
15
10
15
기술과학전문
794
595
272
142
89
10
16
교육, 양성
127
269
105
10
6
24
17
행정, 지원 서비스
89
180
81
4
3
-
18
용수공급, 폐기물처리
18
59
37
5
8
-
합계
10,854
175,017
56,639
776
14,656
5,090
자료원 : Vietnam Investment Review (Dec, 2009)
○ 200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국제금융 위기에 따라 외국 기업들의 투자 여력 감소 및 파이낸싱 애로에 따른 투자 시기 조정에 기인하여, 2009년 말(11월말) 현재, 베트남의 외국인투자는 신규투자금액 146억 달러, 증자금액 50억 달러로 총 외국인투자 합계가 196억 달러를 기록함
○ 2009년 말(11월말) 기준으로 국가별 투자(누계) 합계는 대만이 213억 달러(실행금액 86억달러, 투자건수 2,013건)로 1위, 한국이 204억 달러(실행금액 67억달러, 투자건수 2,294건)으로 2위를 기록하며, 대베트남 최고의 투자국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음
○ 2009년 한 해 신규투자만 놓고 본다면, 미국이 42억 달러(38건)로 1위, 한국이 15억 달러(184건)로 2위를 차지하고 있음
○ 작년, 베트남의 산업별 외국인 투자는 부동산 프로젝트 부문이 57억 달러(38건)로 가장 많았으며, 호텔, 외식서비스업종의 투자가 49억 달러(31건)로 뒤를 이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2010년 경제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과 전망 (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이라크, 인터넷 쇼핑사이트 오픈
이라크 2009-06-21
-
2
베트남, 2018년 결산 및 2019 경제전망
베트남 2019-01-30
-
3
토고 광물자원 동향
나이지리아 2009-12-04
-
4
'20년 새로 적용되는 콜롬비아 세금개혁안
콜롬비아 2020-02-18
-
5
베트남의 물가 잡기 위한 긴축정책 실효성
베트남 2011-05-31
-
6
[기고] 미얀마 봉제공장에서 발생하는 노동쟁의 사례
미얀마 20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