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고 광물자원 동향
- 투자진출
- 나이지리아
- 라고스무역관 심자용
- 2009-12-04
- 출처 : KOTRA
-
토고, 광물자원 동향
- 자원광물이 산재해 있지만, 개발은 초기 단계 -
- 유력광종의 동향 파악 및 자원개발 투자를 위한 관심 필요 -
□ 산업용 광물자원 동향
구분
자원동향
망간
(Manganese)
수도 Lome에서 670km 떨어진 Pendal 지역 Nayega에서 발견되었음. 망간 함유율은 12~35%로 다양하며, 매장량은 약 15백만톤 추정되고 있으며, 대규모 개발권(large-scale exploitation license) 취득 회사가 개발중임.
크롬
(Chromite)
Haito산 크롬 광산 : 수도 Lome에서 145km 북쪽 위치하고 있으며, 크롬 함유량은 34~38%이며, 매장량은 약 2만톤으로 추정됨. Farende 크롬(Cr2O3) 광산: 수도 Lome에서 450km 북쪽 위치하고 있음. 크롬 함유량은 22.1~28.9%이며, 매장량은 약 3만톤으로 추정됨
보크사이트
(Bauxite)
수도 Lome에서 100km 떨어진 Agou 산에서 보크사이트 광산 발견되었으며, 보크사이트 매장량은 1백만톤으로 수익성은 높지 않은 vusd.a 내수용 내화벽돌 용도로 개발 예정(대규모 개발권 신청중)
인산염
(Phosphate)
수도 Lome에서 40km 떨어진 곳에 대형 광산이 위치하며, 매장량은 35백만톤 추정(전국적으로 2.6억톤 매장 추정) 현재 연간 1백만~1.5백만톤 수준의 인산염 생산되고 있음. 토고정부는 인산염 생산 확대를 위해 2007. 5월 기존 IFG-Togo를 개편하여 Societe Nouvelle des phosphate를 설립하였음.(약 2,500명 종사)
석회석
(Limestone)
수도 Lome에서 20km 떨어진 Animabio & Gladjoe 지역의 Aveta 해안 퇴적층에서 발견되었으며, 1968년부터 최초 발견되었으며, 매장량은 약 2억톤으로 추정됨.
유리용 모래
(Glass Sand)
수도 Lome로부터 12km 떨어진 Agoenyive 및 Yogon 해안 퇴적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추정 매장량은 약 약 3백만톤임.
□ 귀금속 및 보석류(Precious Metals & Stones) 동향
구분
자원 동향
백금
(Platinum)
수도 Lome에서 430km 떨어진 Soto산맥의 Kabye산에서 발견되었음.
백금(PT) 및 팔라듐(PD)이 혼합되어 있으며, 2km×500m 규모이며, UNDP TOG 99/B05” 프로젝트로 백금과 팔라듐 조사 진행중
다이아몬드
(Diamond)
수도 Lome에서 200km 떨어진 Kable/Azafi 지역의 Akposso-Akebou 고원에서 발견되었으며, 약 5,000여개의 다이아몬드 석이 이미 채굴된 것으로 추정됨. 경제성 및 품질에 대한 검증작업이 더 필요함.
금
(Gold)
전국 150여 곳에서 금광이 발견되고 있으나 상업적으로 개발 가능한 수준의 금맥은 발견되고 있지 않음
강옥
(Corundum)
Corundum은 루비, 사파이어 등을 포함하고 있는 광석이며, 수도 Lome에서 290km 떨어진 Soutouboua에서 발견되었음. 정확한 규모 및 품질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상황임
□ 건축용 재료(Building Material)
구분
자원동향
대리석
(Marble Stone)
토고의 대리석은 석회석(limestone)과 백운암 결정체(crystalline dolomite)을 함유하고 있음
수도 Lome로부터 145km 떨어진 곳에 대리석 광산 다수 산재해 있음.
장식용 석재
(Ornamental Stones)
화강함, 편마암, 혼성암, 석영암 등 장식용 석재가 전국에 산재
특히, 수도 Lome 인근 바닷가에 혼성암, 편마암이 광범위하게 존재
점토류
(Clays)
점토암(attapulgitey) : Aveta 지역에 약 20백만톤 매장
고령토(kaolinitic clay) : Afangnan 등에 1.5백만톤~125백만톤 매장
일라이트 점토(illitic clay) : Bassar 지역에 상당량 매장
□ 토고 광물자원 개발법
○ 광물 분야 투자를 촉진함으로써 광업 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광물법(Minining Code)을 제정함(법률 96-004/PR, 1996. 2월) 이 법은 토고 영토내 광물 자원, 석유, 광천수 등의 탐사, 조사연구, 개발, 소유, 처리, 수송, 무역 등의 분야에 적용됨. 아울러 광물, 석유, 광천수, 온천수 등의 광물 소유권은 토지 소유권과 구분됨.
○ 광물부장관의 허가를 받지 않고는 탐사, 조사연구, 개발, 상업화 등 광물자원 관련 어떠한 활동도 할 수 없으며, 토고 정부는 특정 지역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특정한 광물의 개발을 제한할 수 있음
○ 탐사권(prospecting license)은 광물부장관이 허가하며, 탐사권 허가 지역은 10,000Km2를 넘을 수 없으며, 탐사권 부여기간은 2년으로, 1년씩 최대 2회까지 연장 가능함. 탐사권 연장을 하고자 할 경우 적어도 기간 만료 1개월 전에 연장 신청을 하여야 함
○ 광물자원 조사연구(research)는 광물부장관이 허가하며, 조사연구(research) 허가지역은 1,000Km2를 넘을 수 없음. 조사연구 허가기간은 3년이며, 2년씩 최대 2회까지 연장 가능함.
○ 광물자원 개발권은 광물부장관이 허가하며, 개발권 허가면적은 10Km2를 넘을 수 없음
○ 유형별 개발권 유효기간 및 연장
- 건축용 재료 : 최대 3년 유효, 1년 단위 연장
- 소규모 개발권(3억 CFA 미만 투자) : 5년 유효, 3년 단위 연장
- 대규모 개발권: 20년 유효, 10년 단위 연장
○ 상업화권은 탐사권/조사연구권/개발권을 가지지 않는 자가 광물을 판매, 보관, 처리, 수송, 수출․수입하는 활동을 말함. 상업화권의 유효기간은 2년이며, 2년 단위로 연장 가능함
□ 허가비용, 세금 등 제비용
○ 허가 비용
구분
비용(CFA Francs)
탐사(prospecting)
150,000
조사연구(research)
300,000
건축 재료 개발(building material exploitation)
300,000
소규모 개발(small-scale exploitation)
600,000
대규모 개발권(large-scale exploitation)
7,500,000
상업화권
15,000
* 각 권리에 대한 연장 허가비용도 최초 허가비용과 동일함
○ 연도별 추가세(annual superficiary tax)
구분
Km2당 세금(CFA)
탐사(prospecting)
150
조사연구(research)
2,250
건축 재료 개발(building material exploitation)
37,500
소규모 개발(small-scale exploitation)
75,000
대규모 개발권(large-scale exploitation)
150,000
□ 광업세(mining tax)
구분
세율
건축 재료(buding material)
100 CFA/m3
산업용 광물(industrial mineral) - 인산염 제외
시장가치의 1%
철 및 비철 금속(ferrous & non-ferrous mineral)
시장가치의 2%
귀금속(Precious metal)
시장가치의 3%
보석(Precious & Semi-precious stone)
시장가치의 5%
전략 광물(strategic mineral) 및 석유
내각에서 별도 고시
기타 광물(other minerals)
시장가치의 2%
인산염(phosphates)
매출액의 5%
자료원 : 주 가나 한국대사관, The Mining Code of the Republic of Togo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토고 광물자원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포스코, 인도네시아의 Krakatau Steel과 60억불 규모 종합제철소 건설 합의
인도네시아 2009-12-04
-
2
대 오만 투자진출시 최대 애로사항은 오마니제이션 비율 및 합작투자 의무
오만 2009-12-04
-
3
오만, 최저임금 대폭 인상으로 외국인 투자진출시 부담 증가
오만 2011-05-06
-
4
인도네시아, 2010년 건설 프로젝트 발주 넘친다
인도네시아 2009-12-04
-
5
호주 세계 최초로 전기차 도로세 도입
호주 2020-12-01
-
6
바이에른 주 진출 성공 키워드는 네트워킹
독일 201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