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네시아, 2010년 광업산업 전망
  • 투자진출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김관묵
  • 2009-12-29
  • 출처 : KOTRA

인도네시아, 2010년 광업산업 전망

  

 

□ 2009년 인도네시아 광업 산업 동향

     

ㅇ 인도네시아는 천연자원에서 주석은 전세계 2위 생산국가이며, 구리는 3위, 니켈은 4위를 차지하고 있고, 석탄은 전세계에서 2번째로 많은 양을 수출할 정도로 천연자원이 매우 풍부한 국가임

 

 - 또한, 금, 보오크사이트, 사철, 다이아몬드 등 다른 기타 자원들도 풍부하고, 광물관련 제품 수출이 인도네시아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임

 

 

ㅇ2009년 인도네시아의 광업부분에 대한 투자는 세계 자원가격 하락 및 자원 보유회사들의 신규 투자 기피로 10억불 이하를 기록했는데, 많은 광업관련 회사들이 신광업법의 세부 시행령 발표를 기다리면서 투자를 늦춘 것도 투자 하락의 또 다른 이유로 볼 수 있음

 

- 2008년에 인도네시아의 광업투자는 16억불을 기록하여 2007년 12억불과 비교하였을 때 상승하였음

 

ㅇ인도네시아는 지난해에 불어 닥친 전세계적인 금융위기에 따른 자원 가격 하락 및 수요 감소로 인도네시아의 광업 시장에도 여러 가지 변화가 있었음

 

- 세계 굴지의 다국적 광업회사인 호주의 BPH Billiton은 7월 인도네시아 Haju 석탄 프로젝트 지분을 매각하고, 인도네시아에서 철수하겠다고 발표하였고, 다른 4개의 회사들이 프로젝트에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발표됨

 

- 세계최대의 주석 생산회사인 PT Timah Tbk는 보유자원 고갈과 세계 주석가격 하락으로 생산량을 크게 줄인다고 발표하였고, Gem Diamonds는 인도네시아에서 사업을 철수하였음

 

- 2009년3월에 인도네시아 최대의 석탄회사인 Bumi Resources는 Darma Henwa, Fajar Bumi Sakti, Pendopo Energy 등 3개 광업 회사를 인수하였고, 5월에는 광업서비스 회사인 Buma와 광업회사인 PT. Barau가 전체 지분 매각을 위해 투자자를 찾기 시작했고, PT. Adaro는 지분의 일부분을 시장에 판매하였음

 

- 지난 4월 PT. Newmont Nusa Tengarra는 6개월 이내에 Batu Hijau 광산 보유주식의 17%를 팔아야 한다고 인도네시아 상사중재위원회로부터 명령을 받음

 

□ 2010년 전망

 

ㅇ 기업들이 2010년 1월 공표 예정인 시행령 발표 이후, 실제 법률 적용 사례를 보아가며 기다리는 짧은 기간 동안은 투자가 크게 늘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매년 10%정도의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보임

   Ex 1) 광업권 보유회사는 인도네시아에서 채취한 광물에 대해 5년 이내에 가공시설을 설치하여 광물자원에 대한 가공처리 후 수출할 수 있는 조항의 구체적이고 기술적인 사항 적용 등

   2) 외국 광업권 보유회사는 지분을 매년 5%씩 인도네시아 현지 회사 및 정부에 팔아야 하고, 5년 후에는 전체 주식의 20%를 현지 회사 또는 정부가 갖고 있어야 하는 법규정 적용

 

 

ㅇ1990년 인도네시아, 중국간 외교적인 관계 정상화 이후 두 나라는 주요 교역파트너가 되었고, 향후 수 십년간 중국이 인도네시아 광산물의 주요 구매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 현재 인도네시아는 중국에 매년 115억불 정도 제품을 수출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제품은 광물자원, 에너지관련 제품 및 팜오일들이 차지하고 있음

 

ㅇ 2010년에 국제 석탄가격은 올해 말과 같이 계속 상승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데, 전체적인 석탄에 대한공급과 수요 급격하게 변하지는 않겠지만, 석유가격이 상승하면서 석탄가격도 함께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석탄에 대한 전체적인 수요는 신규 발전소 건설에 따른 수요 증가로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생산량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여 가격은 상승할 것으로 보임

 

 - 2007년1억8천3백만톤을 기록한 석탄 생산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3억2천만톤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ㅇ 2010년에도 세계 석탄수요 증가에 따라 대부분 기업들이 높은 생산량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석탄가격 회복에 따라 매출액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임

 

인도네시아 석탄생산 주요기업   

                                                                                                                   (단위 : 백만톤)

순위

업체

 2007

생산량

2008

생산량

2009

생산목표

1

  KALTIM PRIMAL COAL.PT

38.4

46.3

70

2

  ADARO INDONESIA

36.1

38.5

45-45

3

  KIDECO JAYA AGUNG

20.5

21.9

24

4

  ARUTMIN INDONESIA

15.3

20.3

19.2

5

  BERAU COAL

11.8

14.1

15

6

  INDOMINCO MANDIRI

11.5

11.2

12-13

7

  TAMBANG BATUBARA BUKIT ASAM

9.3

10.5

12.8

8

  GUNUNG BAYAN PRATAMA COAL

4.5

9

13-14

자료원 : Indonesia Coal Book, 인니석탄업협회

 

ㅇ 금의 경우 세계 금값 상승에 따라 인도네시아에서의 생산 전만도 좋은 편인데, PT Antam은 약 6천6백만불을 투자하여 현재 호주의 Oxiana Ltd.에서 갖고 있는Martabe 프로젝트의 지분 10%를 인수할 계획임. 향후에는 Antam에서 25%까지 주식을 확보할 예정에 있임

 

- 지리적인 조사결과에 따르면 Martabe 프로젝트에 금 6백만온스, 은 6천만온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고 매년 금 20만온스, 은 2백만온스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자료원 : BMI Indonesia Information Technology Report, CIC Report, 자카르타KBC 의견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2010년 광업산업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