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케냐, 신재생에너지 투자 기회 열린다
  • 투자진출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유성원
  • 2009-11-30
  • 출처 : KOTRA

케냐, 신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주요 프로젝트

- 국제사회의 원조 지원 합의를 통해 프로젝트 추진 재원 마련 -

- 지열 분야에 대한 투자 기회 확대 예상됨에 따라 한국 CDM 업계의 주목 필요 -

     

□ 케냐, Green Electricity Conference에서 에너지 펀드 조성 계획 및 운영 계획 발표

     

 ㅇ 11월 28일, 케냐 나이로비에서 개최된 Conference에서 케냐 재정부는 World Bank, France

      Development Agency, 독일의 부흥금융기구(KfW), 아프리카 개발은행 등이 20억불 규모의 대

      케냐 에너지 펀드 원조에 합의했다고 발표함

     

  - 케냐 재정부 차관 Joseph Kinyua는 상기 국제원조기관들이 2010년부터 케냐에 대해 단계적으로

     해당 원조 예산이 지원될 것이며, 해당 원조 예산들은 지열, 태양열, 풍력 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

     지 분야의 민간 기업들에 대해 우선 투자될 것이라 언급

     

  - Kinyua 차관은 2009년, US$ 7백만불 규모의 예산이 우선적으로 관련 분야 기업 지원 용도로

    배정될 것이라는 계획을 공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케냐 유관 기업들이 해당 예산 확보를 위한 경쟁

    에 돌입할 것으로 판단됨

     

 ㅇ 케냐 에너지부, 추가 발전 설비 확충 구상중

     

  - 케냐 에너지부 Patrick Nyoike는 동 Conference에서 2013년 이후 가동을 목표로 총 2000MW

     규모의 발전 설비 프로젝트를 계획중이며, 해당 계획의 일환으로 현재 풍력 발전과 소형 수력

     발전 설비 가능 지역으로 각각 33개 지역과 14개 지역에 대한 타당성 조사 실시중임을 발표함

     

 ㅇ 국제 기구들의 원조 계획 합의를 통해, 오랫동안 논의되어오던 케냐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관련

     계획들이 가시화 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이며, 해당 분야에 대한 프로젝트 발표, 투자유치, 투자

     계획 문의 들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됨

     

□ KenGen(케냐 전력청), 500MW 규모 지열 발전 설비 확대 프로젝트 추진중

     

 ㅇ KenGen은 상기 2,000MW 발전설비 확충 프로젝트 중 500MW 규모의 지열발전 설비 확대 프로

     젝트 준비중

     

 ㅇ 해당 프로젝트는 현재 지열 발전 설비가 운영되고 있는 Olkaria 지역의 발전소 설비 확대 및 신규

     설비 건설 프로젝트를 주축으로 하고 있으며, 추가 2~3개 지역에 대한 타당성 조사 작업이 동시

     에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케냐 올카리아 지열발전소 전경

     

 ㅇ KenGen은 Annual Report를 통해 2018년까지 1,500MW 규모의 추가 발전 설비 증축 공사 완료

     를 계획하고 있으며, 해당 증축 공사 완료시 케냐의 전력 공급난이 전면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ㅇ 특히, 케냐는 2009년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현재의 수력발전 중심의 전력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에너지원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2018년 완료 예정인 추가 발전 계획에는 전술한 지열, 풍력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원이 포함되어 있음

         

□ 현재 추진중인 주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ㅇ 케냐 에너지부는 현재 에너지분야 6대 우선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중 5개 프로젝트가

     신재생에너지 분야 프로젝트임

     

  - 이중 4개 프로젝트가 지열, 1개 프로젝트가 수력 발전으로 향후 지열을 유력 대체 에너지원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케냐 정부의 계획을 볼 수 있음

  - 또한 수력 발전의 경우, 대형 수력 발전소 추가 건설보다는 30~40MW급의 중소형 수력발전 설비

     를 다수 지역에 건설하여 가뭄 등 발전 여건 악화시 전력 발전의 유연성 확대를 모색하고자 하는

     계획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판단됨

  - 상기 5대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개요는 다음과 같음

     

케냐 5대 신재생에너지 우선 추진 프로젝트

No

프로젝트명

에너지원

용량(MW)

예정 가동 시점

소요 예산

(US$ 백만)

1

OLKARIA IV기 발전소 설립

지열

140

2012.12월

676

2

OLKARIA I UNIT 4

지열

70

2013.12월

329

3

OLKARIA I UNIT 5

지열

70

2013.12월

269

4

EBURRU 지열발전소

지열

2.5

2011.11월

12

5

KINDARUMA 수력발전소 복원

수력

32

2012.12월

75

 

□ 시사점

     

 ㅇ 케냐의 전력공급원 불안정에 의한 공급난은 자국 제조업 발전,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등 케냐

     산업 선진화를 위한 “Vision 2030”의 안정적 추진에 큰 애로사항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인프라

     사업 중 조속한 해결을 필요로 최고 우선 과제라 할 수 있음

     

  - 현지 언론의 발표에 의하면, 인도, 중국 제조업 분야의 평균 전력 비용이 1Kw당 미화 0.04cent임

     에 반해 케냐의 경우, 0.17cent로 4배 이상의 차이가 나고 있음

  - 이러한 전력 요금 격차는 생산 비용에 고스란히 반영되어, 자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 강화와 외국

    인 투자유치 확대를 크게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나고 있으며, 서비스업 및 타 산업 분야의

    비용 상승으로도 전이되는 악순환을 낳고 있음

  - 더욱이, 2009년에는 가뭄으로 인한 수력발전량 감소로 약 2개월간 전력 배급제를 시행하는 등 더

     이상 방관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됨

     

 ㅇ 현재 케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전력 분야 확대 계획은 비록 늦은 감은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케냐의 전력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재원 마련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의를 도출해내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계기로 평가할 수 있음

     

 ㅇ 특히 나이로비에 소재한 유엔환경계획(UNPE)의 A. Steiner 사무총장은 “국제사회가 케냐에의

     지원을 약속한 만큼, 공은 케냐 정부에게 넘어갔으며 정부의 강력한 추진 의지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케냐 정부의 실천을 촉구함

     

 ㅇ 또한 케냐의 지열 발전을 담당하고 있는 케냐 지열발전공사(Geothermal Development

     Company)는 2009 Global Powertech Autumn에도 참가하여, 한국 전력 기자재 분야에 대한 인

     지도를 제고할 수 있었음

     

  - 기존 케냐의 지열발전 프로젝트 들은 대부분 일본, 네덜란드 등이 주 시공자로 참여해왔으며,

     해당국의 탄소 배출권 확보에도 일정 부분 기여한 바 있음

  - 현재 한국의 주 CDM 대상 지역은 중국, 동남아 등이었으나, 경쟁이 치열하고 5년 이상의 추진으

    로 인해 핵심 사업 분야들은 대부분 추진이 완료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이에 케냐 등 동아프리카 지역으로의 관심 지역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이며, 비교적 타국과의 경쟁

    수준도 낮은 관계로 프로젝트 참여 및 투자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현지 주요 언론, Green Electricity Conference 발표자료 및 관계자 면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케냐, 신재생에너지 투자 기회 열린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