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의 R&D 투자환경
- 투자진출
- 영국
- 런던무역관 이석호
- 2009-10-29
- 출처 : KOTRA
-
< 영국의 R &D투자 환경>
- 오랜 과학기술의 개발의 전통 및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의 조화-
2009. 10. 29
런던KBC
이석호 sukholee@kotra.or.kr
□ 영국의 오랜 과학기술의 전통
ㅇ 영국의 오랜기간 축적된 과학기술전통은 영국을 R &D에 있어서 다른 국가
와는 다른 특별한 위치를 부여하고 있음. 증기기관, 발전기, DNA 분자구조
발견, 인간유전자지도 잘성 작성 등 세계 최초로 발명하거나 발견한 것이
다수이며 70명에 달하는 노벨상 수상자 수 또한 이를 증명하고 있음. 현대
에는 유전자지문분석(DNA Finger Printing), 고분자(Polymer)기술, 그리고
이동통신기술, 의료영상, 재생에너지 분야에 있어서 세계적인 기술을 개발
하고 있음. 또한 켐브리지대학, 옥스퍼드대학 등 세계 10대 대학 4개가 영
국에 소재하고 있음
ㅇ 혁신적인 과학기술이 작은 실험실에서도 나오지만 오늘날에는 과학기술 클
러스터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으며 Silicon Fen(켐브리지 ICT클러
스터), 서부잉글랜드의 Wireless Corridor, 중부지방의 Motorsport Valley
등의 클러스터들은 지식과 경험의 공유 및 공동개발, 기술이전 등에 있어
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ㅇ 또한 혁신을 위한 정부의 역할도 빼 놓을 수 없는데 기술전략위원회
(Technology Strategy Board)가 매우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영국정부
의 R &D 투자를 현재의 GDP의 1.9%에서 2014년에는 2.5%가 되도록 노력하
고 있음. 지금까지 700여건의 공동R &D 프로젝트에 10파운드를 지원한 바
있음
ㅇ 이러한 뛰어난 과학기반 및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 그리고 자금지원도 빼
놓을 수 없는데 영국기업의 R &D 투자금액은2006년도에는 210억 파운드 였
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제약분야에서는 전체 자본지출액의 70%가 R &D에
대한 투자임. 민간부분이 영국 전체의 R &D 투자의 66%를 차지하고 있음
ㅇ 정부 및 민간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현재 영국은 유럽 최고의 R &D 기지로
자리메김 하고 있으며 2006년도에는 고도의 R &D 프로젝트수가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기술전략위원회(Technology Strategy Board)의 중요한 역할
ㅇ 이 위원회는 영국정부의 과학기술개발을 위한 노력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
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4개의 핵심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행하고 있음. 이 4
개는 공동R &D (Collabora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지식이전네트
워크(Knowledge Transfer Network), 혁신프렛폼(Innovation Platforms),
지식이전파트너십(Knowledge Transfer Partnership)임.
ㅇ 2004년 공동R &D 프로그램의 실시이후 40개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700여개
의 프로젝트에 10억 파운드를 지원했으며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 저비용
태양광집적기, 쓰레기를 이용한 복합건절재료 개발, 최적연소를 위한 센서
시스템 등의 수백개의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견인차가 됨. 이 프로그램은
포드, HP, Eon등의 대기업 뿐만 아니라Whitfield Solar, Qudos technology
등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에도 많은 역할을 함.
ㅇ 지식이전네트워크(KTN) 또한 기술개발투자를 증진시키는데 많은 역할을 하
였으며 기업 및 학계가 특별한 기술개발을 위하여 공동으로 일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으며 상업분야로의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있음. 현재 24개
KTN에 3만명의 회원이 있으며 주요분야는 항공우주 및 국방, 바이오, 디지
털통신, 공업수학, 나노 분야 등임
ㅇ 혁신플렛폼(Innovation Platform) 프로그램은 기업과 정부를 한층 더 가깝
게 하고 있는데 사회가 당면한 주요한 도전적인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해
결책 개발과 관련 정책 및 규제 등에 대한 조정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처음 2개의 프로그램은 노인과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거주시스템
(Assisted living), 기존 및 신축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서 환경에
적은 영향을 주기위한 빌팅시스템(Low Impact Buildings)이며 현재 3개가
추가로 실시 중에 있는데 지능형교통시스템, 저탄소차량, 네트웍보안 등임.
ㅇ 지식이전파트너십은 경쟁력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아디이어를 가지
고 있는 기업과 이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가진 뛰어난 대학졸업생들을 함
께 이어주는 사업이며 06/07기간중 참가기업들이 1,400개의 새로운 직업을
창출했으며 1억파운드의 순수익 증가를 가져옴
□ 영국정부의 R &D투자 인센티브
ㅇ 영국정부가 R &D투자를 촉진하기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인센티브로는 R&D지
출에 대한 세금공제제도, 현금보조금, EUREKA, SMART 제도 등이 있음
ㅇ R &D지출 세금공제제도(R &D Tax Credits and Allowances)
- 대기업 : R &D를 위한 지출액의 125%에 해당하는 금액을 비용으로 인정
- 중소기업 : R &D를 위한 지출액의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비용으로
인정
* 중소기업 기준: 고용인수 250명 미만이면서 연간매출액 5천만 유로이하
의 기업 (European Commission의 중소기업 정의)
ㅇ R&D 현금보조금 (Grant for R&D)
- 개인과 중소기업(SMEs)이 주된 대상이며, 기술적으로 혁신적인 제품
또는 과정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공
- 금액은 2만 파운드에서 50만 파운드 범위내에서 차등적으로 지급
▪ 마이크로 프로젝트(Micro Projects) : 12개월 미만의 작은 프로젝트
가 대상이며 20,000 파운드까지 지원
▪ 연구 프로젝트(Research Projects) : 6-18개월 정도가 소요되는R &D
프로젝트가 대상이며, 75,000 파운드까지 지원. 50명 미만을 고용하
고 있는 기업에 지원
▪ 개발 프로젝트(Development Projects) : 제품 생산 전단계인 원형
(Prototype) 개발단계의 프로젝트가 대상이며, 200,000 파운드까지
지원. 2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에 지원
▪ 특별 프로젝트(Exceptional Projects) : 광범위한 경제적 혜택을 가
져올 수 있는 전략적인 중요성이 인정되는 R &D 프로젝트가 대상이
며 500,000 파운드까지 지원. 250명 미만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에
지원
ㅇ SMART 프로그램
- 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소재의 혁신적인 제품 또는 과정을 연
구 개발하는 중소기업에 자금 지원
- 구체적인 지원조건 및 절차는 지역에 따라 다소 상이
ㅇ EUREKA
- 혁신적인 제품, 과정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범유럽 프로젝트를 수행
하는 기업, 연구기관, 대학에 제공
- 소규모의 기업에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R &D지출액의 50%까지 지원 가능
ㅇ EU 프로그램 (European Commission Framework Programme)
- EU집행위는 R &D 예산을 2007년의 350억유로에서2013년 7000억 유로로
증대. 주요 지원 R &D 프로젝트 분야는 보건, 보안, 바이오, 에너지,
환경, ICT 및 나노기술 분야임
□ 시사점
ㅇ 현재 영국내에는 삼성의 SERI연구소, LG의 디자인연구소 등이 있으며 영국 대학 및 기업과의 공동 기술개발, R&D 센터 설치 등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은 사전에 영국정부가 제공하는 R&D지원제도를 충분히 파악하여 필요시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지름길임
* 자료원 : "R&D in the UK"(UKTI) 및 KBC 보유자료 분석. 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영국의 R&D 투자환경)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자원] 中, 에너지 산업 발전현황
중국 2009-10-28
-
2
美, 2009년 상반기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
미국 2009-10-29
-
3
[신성장상품] 美 주름 치료제 보톡스, 이제 질병 치료용 명약으로
미국 2011-08-26
-
4
요르단 주요 제약회사 살펴보기
요르단 2015-01-08
-
5
사례로 본 영국의 무역사기
영국 2009-10-29
-
6
오만 주요 기관 벤더등록 목적은 제품 공급
오만 2009-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