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르단, 홍해-사해 대수로 공사 본격 추진
- 투자진출
- 요르단
- 암만무역관 조기창
- 2009-10-08
- 출처 : KOTRA
-
요르단, 홍해-사해 파이프 설치를 통한 대수로 사업비 마련 착수
- 1단계 공사가 끝나는 2014년까지 120백만 m3 용수 공급 예상 -
- 총 100억 달러가 공급되는 5단계 공사로 공사 기간만 25-30년 -
□ 홍해 수자원 개발 프로젝트 (JRSP) 개요
ㅇ 요르단 정부는 홍해 사해간 수로 연결 프로젝트 (Red-Dead Water Conveyance Project)의1단계 사업인 요르단 국립 홍해 수자원 개발 프로젝트 (JRSP : Jordan National Red Sea Water
Development Project) 사업비 20억 달러 확보를 위해 국제 펀드 에이전트들과 협의를 시작함.
- 내년에 착수될 JRSP은 2014년까지 연간 120백만 m3의 용수를 공급하게 되고 다음 단계로
연간 700백만 m3까지 확대 공급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음.
□ 홍해-사해 대수로 연결 프로젝트 개요
ㅇ 홍해 사해 수로 연결 프로젝트는 양 바다를 파이프로 연결해 사해를 살리고 홍해 물을 담수화
하여 사용한다는 계획임.
ㅇ 동 프로젝트는 총 5단계로 실시되며 BOT (Build-Operate-Transfer) 방식으로 진행 될 예정임.
총 공사비는 100억 달러로 예상되며 공사 기간은 25-30년 소요 될 것으로 전망됨.
ㅇ 프로젝트의 목표는 요르단에 필요한 만큼의 깨끗한 용수를 공급하고 아카바 부근에
건설 예정인 홍해 담수 플랜트로 인한 사해의 고갈을 억제하는 것임.
- 요르단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3억 1천만m3의 홍해 물을 끌어나 이중 1억 9천만m3의해수를 사해로 보내고 홍해의 아카바만에 담수화공장을 세워 나머지 2억 4천만m3의 해수로
매년 1억 2천만m3의 식수를 생산할 계획임.
- 이번 플랜트로 발생된 용수는 아카바와 인근 지역으로 공급될 예정이며 현재 해저 408미터인사해의 수면을 끌어 올리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요르단은 심각한 물 부족 국가
ㅇ 요르단은 세계 10개 가뭄 국가중 하나이며 전 국토의 92%가 사막임
- 요르단 정부는 홍해 사해간 대수로 사업 추진을 이스라엘 및 팔레스타인과 협의해왔으나 그동안
이스라엘은 미온적인 입장을 취해오다 요르단의 단독 추진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임.
ㅇ 전문가들의 주요 관심사중 하나는 사해와 홍해 바닷물이 혼합했을 때 나타나는 염도임.
ㅇ 만일 환경평가 결과, 두 바닷물을 혼합하는 것이 사해의 독특한 환경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것
으로 밝혀진다면 다른 방안이 강구될 것임.
ㅇ 전문가들에 의하면 사해 수면은 매년 1미터씩 낮아지고 있는데 이는 농업 및 산업용수 확보를위해 요르단 강으로 물을 빼내기 때문이라고 함.
(사해는 해마다 1m씩 수면이 낮아지고 있다.)
- 지난 20년동안 사해는 수위가 30미터나 낮아졌으며 이런 추세라면 향후 50년안에 완전 고갈
될 것으로 우려됨.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요르단, 홍해-사해 대수로 공사 본격 추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인도 마케팅의 트렌드, 섹시코드 이해하기
인도 2009-09-28
-
2
러시아, GPS 수신기에 고율 수입관세 도입 예정
러시아연방 2009-07-31
-
3
천연가스 부국 카타르, 최근 어떤 프로젝트들이 진행 중인가?
아랍에미리트 2009-10-07
-
4
[경영마케팅] 日, 친환경상품도 예뻐야 산다
일본 2009-10-08
-
5
[정책] 美,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영성 관련 표준안 공표
미국 2009-09-28
-
6
이집트 가자 재건회의 개최, 40억 달러 복구자금 조성
이집트 2009-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