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 경제성장 동력 건설 프로젝트 5000억 헤알 규모
- 투자진출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최선욱
- 2009-06-19
- 출처 : KOTRA
-
[건설 플랜트 정보] 브라질 경제성장 동력 건설 프로젝트 5000억 헤알 규모
-월드컵, 주택 마련 프로그램 등으로 건설 프로젝트 수요 증가-
□ 개요
ㅇ 작년 하반기 금융위기 이후 주춤했던 건설 시장이 최근 다시 활기를 띄고 있으며, 나아가 브라질 경제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으로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보고서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음.
□ 세부 내용
ㅇ 건설 시장이 활기를 띄는 이유는 2014년 브라질 12개 도시에서 열릴 예정인 월드컵 축구대회와 브라질 정부의 서민주택 마련 프로그램인 “Minha Casa, Minha Vida(My House, My Life)”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건설 프로젝트의 전체 규모는 5000억 헤알(2500억 달러 상당)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짐.
구분
주요 투자 내용 및 규모
월드컵
- 2014년 브라질 12개 도시(Rio de Janeiro, São Paulo, Porto Alegre, Belo Horizonte e Brasília estão pré-escolhidas. Restam sete vagas que são disputadas por Belém, Campo Grande, Cuiabá, Curitiba, Florianópolis, Fortaleza, Goiânia, Maceió, Manaus, Natal, Recife, Rio Branco, Salvador)에서 개최될 예정인 월드컵으로 인해 축구 경기장 신규 건설 및 보수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진단되고 있음.
- 공사 규모: 600억~1000억 헤알
교통
- 지하철 구간 확장 및 신규노선 건설
- 공용주차장 건설
- 버스 전용 차선 신규 건설
- 공항 시설 확충
- 고속철 건설
통신
- 정보통신 인프라 및 서비스 품질 개선
전력
- 송.배전망 확대
- 안정적인 전력 공급(축구경기 중계 시 전력으로 인한 문제 발생 방지)
숙박시설
- 호텔을 비롯한 각종 숙박시설 확충
- 월드컵 기간 브라질 방문이 예상되는 관광객 수는 약 50만 명으로 관광객 1인당 평균 112달러 가량 사용할 것으로 추산됨.
Minha Casa, Minha Vida
- 2009년 3월 브라질 정부가 서민을 대상으로 만든 주택 마련 프로그램으로 2011년까지 3년간 600억 헤알의 재원이 투입될 예정임.
- 현재 브라질에는 720만 채의 주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공기업 투자
- Eletrobras는 2009-2012년 사이 4년간 300억 헤알을 투자할 예정이며, Petrobras는 2009-2013년까지 5년간 3480 헤알을 투자할 계획임.
- 주로 수력발전소, 열병합발전소, 정유공장, 가스운반용 덕트 건설에 투자할 예정임.
자료 원: 일간지 O estado de São Paulo (환율: 1달러=1.96헤알)
□ 시사점
ㅇ 작년 하반기 이후 신용경색으로 프로젝트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던 업체 다수가 올해 들어 경기가 점차 풀리면서 금융 여건이 다소 호전되어 과거에 중단했거나 계획했던 투자를 재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2014년 월드컵 경기를 주최하는 브라질은 세계축구연맹 FIFA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경기장 및 기타 인프라를 행사 개최 이전에 모두 완료해야 하기 때문에, 월드컵과 관련된 모든 공사 프로젝트는 여타 프로젝트와는 달리 지연되거나 중단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따라서 공사를 제때에 완공시키기 위해 브라질 정부는 민관협력프로그램인 “PPP(Parceria Público-Privada)”의 형식으로 발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PPP 프로젝트는 정부가 재원의 일부를 지원하고 프로젝트 수주업체에게 수익을 보장하는 등 수주업체에게 여러 가지로 유리한 입찰 조건이어서 민간기업의 많은 관심이 기대되고 있음.
자료원: 일간지 O Estado de São Paulo, 상파울루 KBC 보유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브라질 경제성장 동력 건설 프로젝트 5000억 헤알 규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17년 뉴질랜드 주요 경제 이슈
뉴질랜드 2016-12-27
-
2
대만-중국 ECFA, 서비스업 교류에 문을 열다
대만 2010-06-30
-
3
오만 전선시장, 연간 30~40% 성장세
오만 2009-12-12
-
4
[中 2009 兩會(4)] 개혁 수준의 세제 손질
중국 2009-03-05
-
5
美 하반기 경제, 느린 회복세 이어갈 전망
미국 2010-06-04
-
6
[신성장산업기술] 일본이 생각하는 신성장산업(2)
일본 201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