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외국인 직접투자 급감
  • 투자진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권세영
  • 2009-01-31
  • 출처 : KOTRA

이집트 외국인 직접투자 급감

- 2008/9 회계연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44% 감소 -

 

보고일자 : 2009.1.31.

카이로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권세영 seyoung@kotra.or.kr

 

□ 외국인 직접투자 순유입액 급감

 

 이집트 경제성장의 동력역할을 해온 외국인투자 증가세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2009년 이집트 경제부문에서 어려운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됨.

 

 이집트 중앙은행이 발표한 2008/9 회계연도 1분기(’08년 7~9월) 외국인 직접투자 순 유입액은 16억500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44%나 감소했음.

 

 중앙은행 발표 FDI는 국제 금융위기 여파가 거의 반영되지 않은 ‘08년 7~9월까지 수치로 향후 이집트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큰 폭의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금융위기 여파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08년 10월부터 이집트의 외국인 투자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올해는 전년의 50%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됨.

 

 외국인 투자의 급감과 관광, 수에즈 운하 수입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이집트 정부의 국내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외국인 직접 투자 세부 내역

 

 2008/9 회계연도 1분기인 ‘08년 7~9월 까지 FDI 순 유입액은 약 17억 달러로 전년의 30억 달러에 비해 44% 감소세를 보였음.

  - 전체 FDI 유입액 중 그린필드(Greenfield) 투자는 4억 달러, 오일·가스부분 투자가 10억 달러, 민영화가 3억 달러인 것으로 나타났음.

 

 2008/9 회계연도 1분기 중 외국인 직접투자 회수액은 12억8000만 달러로 전년의 6억9000만 달러에 비해 86.5%가 감소해 유동성 위기극복을 위한 투자회수금액의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회계연도 1분기별 외국인직접 투자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Q1

2004/5

2005/6

2006/7

2007/8

2008/9

FDI

775

1,947

3,237

2,969

1,655

자료원 : 이집트 중앙은행

 

 지역별로는 미국과 EU가 감소세를 나타낸 반면 아랍국가로부터의 투자유입은 오히려 증가했음.

  - 미국, EU의 경우 금융위기 여파로 대이집트 투자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감소세는 더욱 커질 전망임.

  - 아랍국가의 경우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08년 10월 이후 통계가 나오지 않아 증가세를 보였으나 향후 원유가격 하락과 금융위기 여파로 감소세로 전환될 전망임.

 

주요 지역 및 국가별 외국인 투자 현황

 

회계연도

Q1

증가율

2006/07

2007/08

2007/08

2008/09

순외국인 직접투자액

11053.2

13236.5

2969.1

1655.0

-44.3%

외국인투자 유입액

13034.2

17802.2

3659.8

2943.1

-19.6%

미국

4681.3

6434.9

1633.9

1275.6

-21.9%

EU

4061.0

5114.1

1114.8

994.3

-10.8%

독일

97.2

197.3

53.7

40.6

-24.4%

프랑스

36.7

1249.9

86.2

41.9

-51.4%

영국

2209.6

3041.1

949.4

361.4

-61.9%

이탈리아

1631.4

30.9

2.6

2.0

-23.1%

그리스

22.2

108.5

11.1

23.5

111.7%

스페인

6.7

20.8

0.0

0.5

 

네덜란드

39.6

48.9

9.6

22.0

129.2%

포르투갈

0.0

0.4

0.1

0.0

-100.0%

불가리아

 

0.1

0.1

0.0

-100.0%

벨기에

8.7

326.3

0.0

457.7

 

룸셈부르크

1.0

63.3

0.2

23.6

11700.0%

덴마크

2.5

9.2

0.0

1.1

 

스웨덴

0.5

4.3

1.0

0.0

-100.0%

오스트리아

1.7

0.3

0.0

10.2

 

키프로스

2.8

9.8

0.7

1.7

142.9%

루마니아

0.1

0.0

0.0

0.0

 

라트비아

0.3

0.1

0.2

0.5

150.0%

아일랜드

0.0

0.6

0.0

1.3

 

폴란드

0.0

0.6

0.0

5.9

 

체코

0.0

0.3

0.0

0.0

 

몰타

0.0

1.3

0.0

0.0

 

에스토니아

0.0

0.0

0.0

0.3

 

헝가리

0.0

0.0

0.0

0.1

 

아랍국가

3351.4

3059.0

125.1

277.0

121.4%

사우디아라비아

204.0

217.7

36.5

137.5

276.7%

UAE

3049.5

718.1

63.3

51.2

-19.1%

튀니지

0.6

1.3

1.3

0.2

-84.6%

쿠웨이트

24.8

1587.8

13.8

47.9

247.1%

카타르

2.5

184.7

1.3

2.8

115.4%

리비아

20.6

137.2

1.2

1.3

8.3%

요르단

3.5

39.0

1.8

2.9

61.1%

바레인

18.6

34.7

2.7

5.8

114.8%

레바논

11.4

118.2

0.3

15.0

4900.0%

오만

1.2

4.9

0.3

0.8

166.7%

예멘

2.8

6.3

0.0

8.2

 

수단

1.5

1.7

0.1

0.6

500.0%

기타

10.4

7.4

2.5

2.8

12.0%

기타 국가

990.6

3194.2

786.0

395.2

-49.7%

싱가포르

0.2

0.0

0.0

0.0

 

스위스

49.4

235.8

32.1

48.2

50.2%

일본

0.6

15.4

0.1

25.4

25300.0%

캐나다

4.8

37.5

0.2

1.0

400.0%

중국

8.4

17.5

0.7

16.6

2271.4%

대만

0.0

0.0

0.0

0.0

 

터키

8.6

14.3

5.9

2.0

-66.1%

버뮤다

3.0

7.1

0.4

0.0

-100.0%

인도

4.1

3.3

0.1

9.4

9300.0%

한국

0.0

0.0

0.0

0.0

 

호주

9.3

4.7

0.1

1.7

1600.0%

노르웨이

0.2

2.1

0.0

0.2

 

기타

902.0

2856.5

746.4

290.7

-61.1%

투자회수액

-2,031.1

-4,565.7

-690.7

-1,288.1

86.5%

자료원 : 이집트 중앙은행

 

□ 국내 투자현황

 

 2008/9 회계연도 정부 및 민간기업의 국내 투자는 전년동기대비 투자 증가율이 2006/7 회계연도 1분기 35.6%에서 다소 감소한 29.7%의 증가율을 보여 증가세 흐름은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부분별로 전기·수도 등의 인프라와 제조업 부분에서 실행된 투자의 증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외국인의 투자 유치를 위한 인프라 투자에 이집트 정부가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국내 투자현황

            (단위 : 백만 이집트 파운드)

 

2007/8 1분기

2008/9 1분기

증가율

민간부분

전체

민간부분

전체

전체 투자액

22851.8

33530.0

30594.0

43482.3

29.7%

농업 개간업

1078.0

1696.9

951.0

1585.2

-6.6%

원유

1700.0

1899.3

2000.0

2227.7

17.3%

천연가스

4900.0

5956.6

8800.0

9826.2

65.0%

정유

1400.0

1798.0

1200.0

1333.4

-25.8%

제조업

1325.0

2023.3

5500.0

6041.1

198.6%

전기

0.0

1503.5

0.0

2073.7

37.9%

수도

0.0

681.8

0.0

1573.0

130.7%

건설빌딩

555.0

733.7

650.0

844.3

15.1%

교통창고

3450.0

5131.5

1503.0

3343.9

-34.8%

통신

2095.7

2185.3

3130.0

3232.7

47.9%

수에즈운하

0.0

52.8

0.0

75.4

42.8%

도소매

1000.0

1032.7

1000.0

1021.6

-1.1%

금융

0.0

142.0

0.0

83.2

-41.4%

보험

0.0

4.0

0.0

0.0

-100.0%

식당호텔

600.0

769.2

1100.0

1255.7

63.2%

부동산

2000.0

2009.7

2500.0

2518.7

25.3%

교육

700.0

1118.5

800.0

1520.2

35.9%

의료

500.0

889.7

500.0

711.5

-20.0%

하수

0.0

1612.0

0.0

2076.6

28.8%

기타 제조

1548.1

2289.5

960.0

2138.2

-6.6%

자료원 : 이집트 중앙은행

 

□ 전망

 

 전체적으로 대이집트 최대 투자국인 미국과 EU의 경기 침체, 유가 하락에 따른 걸프 국가의 투자 감소세로 2008/9 회계연도 대이집트 외국인 투자액은 전년의 130억 달러에서 크게 감소한 65억 달러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됨.

 

 외국인 투자 감소에 따라 이집트 정부는 급격한 경기하강을 막고 투자환경 개선을 위해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추진할 것으로 보임.

 

 

정보원 : 이집트 중앙은행, CIB(Commercial Int’l Brokerage Co.)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외국인 직접투자 급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