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2009년 핸드폰, 화면변환 '가로세로 자유'가 히트 예감
- 트렌드
- 일본
- 도쿄무역관 김준한
- 2008-12-11
- 출처 : KOTRA
-
일본 2009년 휴대폰, 가로세로 자유로운 모델이 인기
보고일자 : 2008.12.10.
도쿄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2009년 히트 키워드는 '가로세로 자유'
○ 일본 휴대폰 시장이 저가격 모델과 하이엔드 고가격 모델로 양분되는 가운데, 화면을 세로 가로로 변환 가능한 모델이 인기를 모을 것으로 예상
○ 각 통신사는 PC용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점을 앞세워 하이엔드 제품을 주력 모델로 채택하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함.
□ 표준형 휴대폰 기종은 팔리지 않아
○ 최근 1년 정도 사이에 고기능 휴대폰과 저가격 휴대폰으로 판매동향 양극화가 진행
○ 그 결과 기능과 가격이 무난한 스탠다드 모델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음.
- 판매방식 변화가 스탠다드 단말기가 팔리지 않게 된 가장 큰 이유
- 판매장려금제도로 통화료와 휴대폰 가격이 불투명했던 것을 통화료와 휴대폰 가격을 분명하게 표시하는 제도로 개선한 결과, 통화료가 내려갔으나 단말기 가격은 상승함.
- 단말기 가격 상승에 따라 스탠다드 모델을 구매하던 소비자가 저가모델을 구매하게 돼, 스탠다드 모델 판매량이 떨어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음.
□ 통신사별 전략
○ NTT도코모
- 고기능 모델 노선
- 고기능 휴대폰과 스마트폰만으로 12개 모델을 2009년 봄까지 발매할 예정임.
○ 소프트뱅크
- 고기능과 저가모델 양쪽 모두
- 최근 새롭게 발매된 모델인 830P은 사실상 0엔으로 판매 개시함.
- 소프트뱅크 사용자의 약 반수가 두 대째 이용을 중심으로 한 라이트유저이기 때문
□ 고가형 모델 인기 이유
○ 각 통신사가 새로운 요금체계로 도입한 2년 의무계약 할인플랜의 영향
- 기왕 살 거라면 2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고기능 제품을 고르겠다는 소비심리가 작용
○ PC용으로 제작된 동영상, 웹브라우징, 지도 등을 즐길 수 있는 가로화면이 제공되는 터치스크린식 휴대폰과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
□ 2009년 고가형 주력모델
○ 울 겨울 고기능 휴대전화는 과반수가 터치패널로 디스플레이를 세로로, 또 가로로도 사용가능한 지가 포인트
- 웹, 지도, 동영상, 업무상의 장문의 메일은 가로화면에 적합
-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기존의 세로형 화면을 사용한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욕구도 지속
- 유튜브 동영상, 풀브라우징 등 PC용 컨텐츠를 얼마나 구현 가능한가가 소비자가 선택하는 포인트
○ NTT도코모의 N01A
- 제조회사 : NEC
- 판매가격 : 3만8640엔
- 화면부분이 90도, 180도 2단계에 걸쳐 회전이 가능한 형태
- 터치패널, 풀브라우저는 멀티터치로 확대 축소도 가능하며 터치 조작에 의한 화면 스크롤 기능도 우수
- 가로화면에서도 본체는 세로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문자를 입력할 때 기존 유저가 전혀 변함없이 사용가능
- 웹이나 동화상 등 PC용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 현재 세로형 휴대폰과 같은 익숙함을 강점으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음.
N-01A 이미지
자료원 : NTT 도코모 홈페이지
○ 소프트뱅크의 931SH
- 제조회사 : 샤프
- 판매가격 : 5만3000엔
- 슬라이드식 단말기로 3.8인치 대형 화면 터치패널이 최대 특징으로, 화면해상도는 1024 x 480 도트
- 터치조작이 세련되다는 평을 얻고 있으며, NEC와 같이 멀티터치도 가능
- 웹사이트 상의 검색버튼에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화면상에 표시된 키보드를 사용해서 터치조작으로 입력이 가능
- 세로회면에서는 기존의 슬라이드식 휴대전화와 같이 사용할 수 있음.
- 웹 이용이 메인인 유저에게 적합한 모델이나, 약점은 도코모 단말기나 스마트폰에서 사용가능한 구글맵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없는 점
- 유튜브 동영상도 시청 가능한 것은 모바일판인 일부 동화상 뿐인 것도 아쉬운 점
931SH 이미지
자료원 : 소프트뱅크 홈페이지
□ 시사점
○ 각 통신사에서 가장 주력으로 내세우는 최신 기종에서 알 수 있듯, 2009년은 가로화면을 즐길 수 있는 5만 엔 전후 고가 휴대폰이 시장의 주력으로 떠오를 전망
○ 모바일 인터넷, 장문의 메일, 한손 조작, 휴대폰 결제, 모바일 지도 등 일본 유저가 선호하는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세계적으로 히트한 모델도 소비자의 외면을 받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 그러나 통신사 간 격한 경쟁으로 구글폰, 블랙베리, 아이폰, 옴니아 등 외국 메이커 제품이 어느 때보다 많이 시장에 소개되고 있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부품, 완성품 등과 관련된 우리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환경이 과거에 비해 유리하게 변하고 있음.
자료원 : 닛케이트렌디, NTT도코모, 소프트뱅크 홈페이지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2009년 핸드폰, 화면변환 '가로세로 자유'가 히트 예감)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2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3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4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5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6
2021년 일본의 산업 개관
일본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