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 포장기기 시장동향
- 경제·무역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9-24
- 출처 : KOTRA
-
멕시코, 포장기기 시장동향
- 경기침체에도 성장세 보이고 있어 -
- 한국산 제품 어중간한 시장 위치로 고전 -
보고일자 : 2008.9.23.
황정한 멕시코시티무역관
□ 멕시코, 포장기기 시장동향
○ 멕시코 포장기기시장은 여전히 투자진출에 잠재력이 큰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 포장기기의 80~85% 정도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그리고 올 들어 전반기까지를 기준으로 기계 등 자본재 투자가 전년대비 19.4%가 증가했다고 함. 이는 신설된 세금인 단일세율 법인세 체계에서 절세를 위해 설비투자를 증가시킨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멕시코는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포장기기에 대한 수입이 증가했음. 전년도에는 4억5000만 달러 정도가 수입됐으며, 부품은 6770만 달러 정도 수입됐음. 멕시코 시장에서는 여전히 유럽산 제품이 강력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음. 유럽제품들은 응용범위가 넓고 품질이 우수하며, AS가 가능하고 기타 금융지원이 원활함과 동시에 가격도 적정하다는 평을 받고 있음.
○ 지난 몇 년간 멕시코의 포장기기 제조업체들도 점차 고성능의 제품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몇몇 기업들은 유럽의 기업들과 기술 제휴 또는 합작투자를 통해 점차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 포장기기 관련 국가별 경쟁동향
○ 멕시코 포장기기 시장에 관한 ‘미국 포장기계류제조업협회(PMMI)’의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이나 멕시코 진출 다국적기업들은 유럽이나 미국산 포장기기를 선호하고 있으나, 점차 많은 중소기업에서 국산 포장기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멕시코 시장은 크게 3개 정도로 나눌 수 있음. 첫 번째로는 이탈리아·독일·미국 3국을 들 수 있는데, 이 3개국이 멕시코시장에서 약 69%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음. 이 국가들의 제품은 특히 대기업이나 다국적 기업에서 수요하는 대형·고품질 제품임. 이전에는 미국 제품이 가장 큰 점유율을 보였으나, 멕시코가 유럽연합과 FTA를 체결한 이후 점차 유럽산 제품의 수입량이 증가했으며, 2000년대 초기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였을 때 급격히 유럽산 제품의 점유율이 증가했음. 이후 적극적인 홍보과 AS, 그리고 장기 금융지원을 계기도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게 됐음.
○ 두 번째로는 프랑스·스페인·일본 등 높은 기술력으로 틈새시장을 점차 넓혀가고 있으며, 브라질·중국·멕시코 등은 주로 중소기업들을 타깃으로 해 저가의 제품으로 시장 진출을 꾀하고 있음.
○ 이외에 2% 미만의 적은 점유율을 보이는 대만·태국·도미니카 공화국을 들 수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가격이 높으면서(관세율의 영향도 큼. 10~20%) 품질이나 인지도면에서 떨어져 시장에서 적절한 위치를 점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국가별 수입시장 점유율
자료원 : 미 상무부
□ 멕시코 포장기기시장 진출 전략
○ 전시회 참여
- 매년 중남미 최대규모의 포장기기 전시회가 개최됨. 전시회 참가 업체와 인터뷰 결과, 이 제품의 은 대부분 이 전시회를 통해 거래선을 발굴한다고 함. 이는 이 제품에 관심이 있는 실질적인 잠재고객이 방문하기 때문임.
○ 2008년 멕시코 포장기기 전시회 개요(ExpoPack Mexico 2008)
- 전시회 홈페이지 : www.expopack.com.mx
- 전시장소: Centro Banamex, Mexico City
- 전시업체수: 875개 이상
- 참가국가수: 25개국
- 전시회 주관사 : EJ Krause
- 담당자 : Ms. Guadalupe Olvera
- 담당자 연락처 : golvera@ejkrause.com
- 전화번호 : 52 (55) 1087-1650
- 2009년 전시회 일정 : 6월 23~26일
○ 인터넷 페이지 이용
- 이외에 멕시코 바이어들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포장기기 관련 정보를 습득한다고 함. 주로 검색하는 사이트는 멕시코 포장기기협회(AMEE)와 미국포장기계류제조업협회(PMMI)사이트라고 함.
- 멕시코포장기기협회 : www.amee.org.mx
- 미국 포장기계류제조업협회 : www.pmmi.org
○ 위의 2가지가 현재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포장기기 관련 제품을 홍보하는 주요 수단이라고 함. 수요자들도 전시회와 관련 협회의 사이트를 통해 필요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고 함.
□ 향후 전망 및 시사점
○ 미국 경제침체가 결국 멕시코 포장기기 산업 및 포장기기 수입추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음. 그러나 미국 내의 히스패닉 인구의 증가가 멕시코 제품의 미국 수출에 영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특히 식품과 음료 등에서 크게 멕시코 제품의 대미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돼 관련 업체의 포장기기 구매가 증가할 것으로 보임. 현재 미국의 히스패닉 인구의 70%가 멕시코계라고 함.
○ 멕시코 제조업체의 포장기기 생산투자 증가를 비롯해 멕시코 진출 해외 포장기기생산업체로 인해 멕시코산 포장기기의 비중이 현재 15%이나 2010년까지 최고 2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유럽의 기업 중에 멕시코 현지 포장기기 제조업체를 인수해 멕시코를 멕시코 시장뿐 아니라 미국과 중남미 시장을 위한 생산거점으로 이용하기도 함. 그리고 유로화 강세로 인해 유럽산 제품보다는 미국산과 타국 제품에 대한 수요로 전환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음.
○ 멕시코 포장기기시장은 규모 면에서나 잠재력 측면에서 중요한 시장임은 분명하지만, 한국산 제품의 어정쩡한 시장에서의 위치와 높은 관세율(10~20%)로 인한 가격경쟁력 저하로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그러므로 품질을 기반으로 한 적극적인 홍보 및 진행 중인 FTA체결 여부 및 시기가 한국상품의 성공적 진출 여부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임.
자료원 : 멕시코 포장기기협회(AMEE: Asociación Mexicana de Envase y Embalaje), 미국포장기계류제조업협회(PMMI: Packaging Machinery Manufacturers Institute), Expo Pack 2008, 미 상무부 자료,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멕시코, 포장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中, 외상투자 관리 및 심사 한층 강화
중국 2008-08-29
-
2
[녹색경영마케팅] 美 풍력시장을 진단한다(하)
미국 2011-12-10
-
3
태국사태 단기속보 및 비즈니스 유의사항
태국 2010-05-20
-
4
그루지야 사태에 대한 영국의 시각
영국 2008-08-13
-
5
[녹색산업기술] 러시아 신재생에너지산업 현황(1)
러시아연방 2011-11-30
-
6
日 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분석(下)
일본 2011-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