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자원정보] 아르헨티나, 동광 개발참여 기회분석
  • 투자진출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류재원
  • 2008-09-11
  • 출처 : KOTRA

[자원정보] 아르헨티나, 동광 개발참여 기회분석

- 탐사단계 참여로 우량 프로젝트 선점 필요 -

 

보고일자 : 2008.8.10.

유재원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jaewon@kotra.org.ar

 

 

□ 개요

 

 ○ 1990년대 초 광업법 정비로 동광개발 확대 모색

  - 1993년 투자인센티브, 외국인투자법, 관련법령 정비 등으로 광업 활성화 도모함.

  - 1990년대 말 경기침체의 영향이 겹쳐, 매장량 확인을 위한 탐사가 급감하는 현상을 초래함.

 

 ○ 관련법령

  - 광업법

   · 광물자원의 소유, 탐사, 생산에 관한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기본법

   · 1887년 제정됐으며, 현행법은 법령 25225/95호 및 대통령령 제456/97호

  - 광업투자법

   · 기본법 : 법률 제 24.196호 / 법률 제 25.429호(수정)

   · 광업에 대한 통합 투자정책수립 및 투자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1993년 제정

  - 기타 광업관련법

   · 금융 및 부가환급법(법률 제 24.402호)

   · 광업활동법(법률 제 24.498호)

   · 광업재조정법(법률 제 24.224호)

   · 환경보호법(법령 제 24.585호)

 

□ 광업투자 인센티브

 

 ○ 조세 안정

  - 투자 진출 시 30년간 조세안정 보장

  - 관련법령이 투자자에게 불리하게 개정되는 경우, 투자 당시의 법률을 적요

 

 ○ 조세 감면

  - 광산 개발을 위한 자본재 수입세금 면제

  - 관세, 부가세, 통계세, 특소세 감면

 

 ○ 비용인정 범위 확대(법령제 25161, 1999년)

  - 운송비, 운송보험료, 영업비, 관리비, 홍보비

  - 탐사비, 채굴비, 제련비, 정제비

  - 자본재에 대한 가속감가상가 허용

 

 ○ 광업권 자본 평가

  - 확인된 매장량에 대한 가치의 50%까지 자본으로 인정

  - 채굴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으며, 매장량이 확인된 경우에 한정

 

□ 광업권 획득 절차

 

 ○ 1단계) 주정부 광업국에 대한 브리핑 실시

  - 법인 및 광산에 관한 상세정보 보고

 

 ○ 2단계) 현장 실사

  - 광업국 공무원과 브리핑 내용 확인을 위한 현장 실사

 

 ○ 3단계) 서류 접수

  - 현장 실사가 완료되면 접수건 별로 서류철을 작성해 심사 시작

  - 관련서류는 기술 및 법률 검토를 위해 관련부서로 이관

 

 ○ 4단계) 프로젝트 등록(법 53조)

  - 공증, 공시, 토지소유자에 대한 통지 등을 문제확인 후 프로젝트 등록

 

 ○ 5단계) 처리비용 지불(법 224조)

  - 광업권 양허비용을 납부하면 3년간 광업권 보장

 

 ○ 6단계) 환경영향 평가

  - 광산개발에 따른 환경적 영향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보고 실시

 

 ○ 7단계) 매장광물 상세보고(광업법 68조)

  - 광산위치, 광물 종류 및 위치(깊이), 광물존재 증명 서류 등 제시

 

 ○ 8단계) 측량실시(광업법 71조)

  - 4단계에서 등록된 프로젝트 내용에 의거 광산에 대한 측량실시

  - 측량전 공시를 하며, 이해관계자의 이의제기가 있을 경우 사전해결 필요

 

 ○ 9단계) 지적부 등록

  - 측량결과를 지적부에 등록하고 광산개발에 관한 소유권을 인정

  - 광업권 유지를 위해서는 매년 정해진 유지비 납부 필요

 

 ○ 10단계) 탐사 및 채굴 시작

  - 광업권을 인정받으면 해당지역에 대한 탐사 및 채굴이 가능

 

□ 동광 탐사 및 생산 현황

 

 ○ 탐사 부족으로 2002년 이후 감소세 유지

  - 동광은 금, 은과 함께 아르헨티나가 생산하는 3대 광물의 하나

  - 개발권이 주정부로 이관된 2003년을 기점으로 탐사 및 생산량 감소세

  - 2005년 이후 국제시장에서 동광 가격인상으로 투자는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

  - 외국인 투자여건 개선을 통한 탐사활동 확대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생산은 더욱 감소 예상

 

연도별 동광 생산현황

(단위 : 백만㎥, 천 달러)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생산량

191,667

204,027

199,020

177,143

187,317

180,144

173,246

금액

102,094

108,678

106,011

94,358

99,777

-

-

자료원 : 광업차관실

 

 ○ 동광 매장은 중서부의 안데스산맥에 집중

  - 아르헨티나의 광물은 안데스산맥과 인접과 북서부 지역과 중서부 지역에 집중 분포

  - 주별로는 Catamarca주가 금속 광물 총 생산의 80% 이상을 생산하며, 그 뒤로는 Santa Cruz주와 Jujuy주가 각각 14%와 4% 생산

  - 동광은 북서부의 Salta, Catamarca 그리고 중서부의 San Juan 지역에 집중 분포됨.

 

아르헨티나 광물 지도

 

 ㅇ 동광 매장은 중서부의 안데스산맥에 집중

  - 아르헨티나의 광물은 안데스산맥과 인접과 북서부지역과 중서부 지역에 집중 분포

  - 주별로는 Catamarca주가 금속광물 총 생산의 80% 이상을 생산하며, 그 뒤로는 Santa Cruz주와 Jujuy주가 각각 14%와 4% 생산

  - 동광은 북서부의 Salta, Catamarca 그리고 중서부의 San Juan 지역에 집중 분포됨.

 

 ㅇ 아르헨티나 정부는 광물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주별로 관리

  - 제1그룹 : Salta, San Juan, Santa Cruz, Catamarca, Jujuy

  - 제2그룹 : La Rioja, Neuquén, Mendoza

  - 제3그룹 : Chubut, RioNegro

 

 ㅇ 1그룹에 속하는 주요 동광 프로젝트

  - Salta : Rio Grande, Lindero, Taca Taca, Leon, Inca, Rio Juramento

  - San Juan : El Pachon, El Tapau, Huachi, Josemaria, Mogote, Filo del Sol, Santo Domingo

  - Santa Cruz: Pinguino

  - Catamarca: Agua rica, Bajo la Alumbrera, Cerro Atajo, Rio Colorado

  - Jujuy: Catua, Eureka

 

자료원 : 광업차관실

 

□ 동광 수출입 현황

 

 ○ 아르헨티나의 동광 수출 현황

  - 한국은 독일에 이은 아르헨티나의 제2위의 동광 수출대상국임.

  - 매년 10% 이상 수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음.

 

아르헨티나 동광 수출현황

                                                                                                           (단위 : 천 달러, %)

순위

국가

2006년

2007년

금액

비중

금액

비중

1

독일

273,979

19.6

480,348

31.46

2

한국

190,845

13.65

218,978

14.34

3

스페인

102,647

7.34

132,072

8.65

4

브라질

69,701

4.99

129,488

8.48

5

핀란드

90,640

6.48

113,400

7.43

6

일본

118,344

8.47

111,032

7.27

7

필리핀

145,378

10.4

99,941

6.54

8

인도

109,201

7.81

75,974

4.98

9

캐나다

7

 -

69,751

4.57

10

중국

150,729

10.78

58,481

3.83

11

불가리아

127,389

9.11

37,579

2.46

 

합계

1,397,903

100

1,527,044

100

자료원 : Mercosur online

 

 ○ 한국의 동광 수입 현황

  - 한국은 남미에서 칠레, 페루에 이은 제3위의 동광 수입 대상국임.

  - 매년 큰 폭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규모도 3억 달러에 달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동광(HS 2603) 수입현황

                                                              (단위 : 천 달러, 천 톤, %)

순위

국가

2006년

2007년

금액

중량

증가율

금액

중량

증가율

1

칠레

1,369,192

595,485

108.3

1,273,969

534,509

-6.9

2

인도네시아

760,495

336,823

50.4

644,249

249,587

-15.3

3

호주

314,027

112,012

178.8

343,703

132,454

9.5

4

페루

182,674

108,403

149.5

314,602

153,329

72.2

5

아르헨티나

187,766

90,443

663.6

281,067

121,324

49.7

6

미국

35,429

20,536

2.3

116,608

50,281

229.1

7

파푸아뉴기니

69,774

30,596

-

101,202

45,179

45

8

브라질

61,553

28,996

-9.5

98,075

43,231

59.3

9

캐나다

187,960

77,050

156.4

80,751

33,896

-57

10

기니

72,370

30,343

-24.3

35,660

14,948

-50.7

 

총 계

3,294,652

1,458,115

90

3,346,511

1,402,886

1.6

자료원 : Kotis

 

□ 주요 프로젝트

 

 ○ 프로젝트 정보처

  - 광업차관실 Secretaria de Mineria

   · 아르헨티나의 광물 자원 탐사 및 개발을 총괄하는 연방정부 부처

   · 홈페이지: http://www.mineria.gov.ar/

  - 광업위원회 Comision de Mineria

   · 광산업과 관련된 법령, 프로젝트 현황, 관련기업 현황 등 정보 제공

   · 홈페이지 http://www1.hcdn.gov.ar/dependencias/cmineria/index.html

  - 광업지질서비스

   · 광업차관실 산하기관으로 광물관련 지질조사 정보 제공

   · 홈페이지 http://www.segemar.gov.ar/db/

  - 광산정보 Systema Unificade de Catastro

   · 광물별 광산위치 정보 제공

   · 홈페이지 http://www.mineria.gov.ar/f_mineria.asp

  - 광업협회 Camara Argentina de Emapresario Mineros

   · 광산업자, 서비스업체, 납품업체 등 광업관련 기업 연합

   · 홈페이지 www.caem.com.ar

  - 광업전문지 Panorama Minero

   · 광업동향, 법령개정, 관련기술, 기업동향 등 정보를 제공하는 월간지

   · 홈페이지www.panoramaminero.com.ar

 

  주요 발주기관

  - XtrataCopper사 www.xstratacopper.com.ar

  - Yamana Gold사 www.yamana.com

  - Suramina Resources사 www.suramina.com

  - Catamarca주정부 광업부www.mineriacatamarca.gov.ar/

  - San juan 주정부 www.santacruz.gov.ar

  - Salta 주정부 www.salta.gov.ar

  - Santa Cruz 주정부 www.santacruz.gov.ar

  - Jujuy주정부 생산환경부 http://mpyma.jujuy.gov.ar:85/

 

  주요 프로젝트 현황

 

주요 지역별 동 광산 현황

광산명

(소재지역)

개발단계

투자기업

(국적)

투자금액

(백만 달러)

비고

Bajo Alumbrera

(Catamarta)

생산

Xstrata

(스위스)

3,720

연 180톤 생산

품위 0.51%

Agua rica

(Catamarta)

건설

Yamana Gold

(캐나다)

2,000

연 18만 톤 생산

품위 0.61%

El Pachon

(San Juan)

건설

Xstrata

(스위스)

6,500

예상매장량 6억8700만 톤

품위 0.63%

San Jorge

(Mendoza)

탐사

Aconcagua

(아르헨티나)

-

예상매장량 3000만 톤

품위 0.80%

Paramillos Sur

(Mendoza)

탐사

Tenke Mining

(캐나다)

100

예상매장량 1억5000만 톤

품위 0.58%

Las Aguilas

(San Luis)

탐사

Castilian

(캐나다)

-

예상매장량 220만 톤

품위 0.50%

Campana Mahuida

(Neuquen)

탐사

주정부

-

예상매장량 3300만 톤

품위 0.61%

Arroyo Correntoso

(Santa Cruz)

탐사

주정부

-

예상매장량 300만 톤

품위 0.50%

Lago Fontana

(Chubut)

탐사

주정부

-

예상매장량 15만 톤

품위 0.60%

Papamono

(San Juan)

건설

Vale do Rico Doce

(브라질)

100

연 1만8000톤

Las Flechas

(San Juan)

탐사

Tenke Mining

(칠레)

37

동, 금 광산

El Salto

(San Juan)

탐사

TNR Gold

(카나다)

-

동, 금, 몰리브덴 광산

Filo del Sol

(San Juan)

탐사

Suramina

(캐나다)

-

동, 금 광산

Huachi

(San Juan)

탐사

La Mancha

(캐나다)

-

동, 금 광산

Los Azules

(San Juan)

탐사

Minera Andes

(캐나다)

-

동, 금 광산

Cerro Bonete

(La Rioja)

탐사

Yamiri Gold

(캐나다)

-

동 광산

El Potro

(La Rioja)

탐사

Suramina

(캐나다)

-

동, 금 광산

Lindero

(Salta)

타당성조사

Mansfield

(캐나다)

-

동, 금 광산

Rio Grande

(Salta)

탐사

Antares Minerals

(캐나다)

-

동, 금 광산

Cerro Atajo

(Catamarta)

탐사

Somica

(아르헨티나)

-

동, 금 광산

Taca Taca

(Salta)

탐사

Rio Tinto

(영국)

-

동, 금 광산

Leon

(Salta)

타당성조사

Alexzander

(영국)

-

동, 은 광산

자료원 : 에너지차관실, Panorama Minero

 

 ○ 주요 프로젝트

  - Agua Rica(금·동·몰리브덴 광산 프로젝트)

   · Catamarca에 위치한 금·동·몰리브덴 광산으로 캐나다의 Yamana Gold사가 소유주임. 채광부존매장량은 7억5000만 톤(Cutoff Grade Cu 0.62%, Au 0.23g/t, Ag 3.0g/t)으로 연간 동 14만 톤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2003년까지 총 투자금은 6000만 달러이며, 2008년 현재 최종 환경영향보고서를 작성 중임. 2009년부터 건축공사를 시작해 2011년부터 생산을 예정임. 총 투자예상금액은 30억 달러이며 광산 수명은 25년으로 예상됨.

  - El Pachon(동·몰리브덴 광산 프로젝트)

   · San Juan주 소재의 동·몰리브덴 광산으로, 스위스의 Xtratatk 가 소유권을 보유하고 있음. 부존량은 약 7억 톤(Cu 0.63%, Mo 0.035%, Au 0.02g/t, Ag 2.4g/t)으로 채광은 20년으로 예상됨.

   · 타당성 조사는 전 소유주인 Falconbridges사가 마쳤으나, 새 소유주인 Xtrata사는 칠레지역에 대한 환경평가를 실시하고 있음. 기후와 막대한 인프라 구축이 단점으로 꼽힘. 개발 투자비는 20달러로 예상되며, 2010년 건축공사를 시작해 2013년 생산계획임.

  - Bajo de la Alumbrera(동 및 금 광산)

   · Catamarca주에 소재한 세계 9위, 금 생산 세계 14위의 대규모 광산으로 1949년도에 발견됨. 1997년 스위스 Xstrata사가 주정부로부터 채굴권을 받아 생산을 시작함. 현재 Xstrata사가 지분을 투자한 Minera Alumbrera사가 광산을 운영하고 있음. 광산에 대한 탐사 및 개발권은 Catamarca 주정부가 투자한 YMAD사가 보유하고 있음.

   · 투자에 소요된 금액은 12억 달러이며, 1998년 2월부터 생산을 시작함. 현재 채광속도로는 2015년까지 채광할 수 있으나, 채광연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계획을 확장하고 있음.

 

□ 광산개발 참여방안

 

 ○ 조기 참가 결정이 투자 비용 최소화

  - 탐사단계의 경우 자본참가, 생산참가, 기술참가 등 다양한 방법의 프로젝트 참여가 가능

  - 생산단계의 경우 제한적인 자본참가와 구매계약에 의한 참가만 가능

 

 ○ 개발회사를 통해 참여의사 파악

  - 탐사단계의 프로젝트의 경우 개발회사는 수시로 참가업체를 모집

  - 개발회사에 회사소개서와 참가방법 등을 명시해 서면 제출

  - 생산참가의 경우 보유기술, 과거경험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 제시 필요

 

□ 평가 및 시사점

 

 ○ 기회의 땅, 그러나 보이지 않은 위험 요소 상존

  - 아르헨티나는 세계 8위의 광대한 국토와 자원의 보고로 알려지고 있는 안데스 산맥을 끼고 있어, 무한한 자원개발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음.

  - 그러나 2008년 세계 경기침체와 국내 정치불안으로 개발투자가 축소되면서, 생산량 역시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음.

 

 ○ 많은 시간을 갖고 진출 준비 필수

  - 아르헨티나 광업차관실 국장은 한국기업이 탐사가 완료된 광구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 아쉽다며, 기업이윤을 높이기 위해 탐사단계의 참여를 요청함.

  - 아르헨티나 최대 동 광산의 하나인 Bajo la Alumbrera 사장 겸 광업협회 회장은 한국기업의 현지진출을 확대할 시점이라고 지적하고, 한국기업의 현지정보 제공에 적극 협조하기로 함.

  - 주재 대사관 경제서기관은 우리기업이 현지 진출시 무엇보다도 관련된 법령의 변경에 주의할 것으로 요청함.

 

 ○ 광업산업에 대한 관심 필요

  - 광산개발뿐만 아니라 탐사 및 채굴을 위한 측정기 및 중장비시장은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과 더불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주재국 광업협회 회장은 10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국제자원협력 심포지엄에 참석해, 우리기업의 효과적인 현지 진출방안과 주요 프로젝트를 설명 예정임.

 

 

자료원 : 광업차관실, 남미자원센터, 광업협회, 경제신문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정보] 아르헨티나, 동광 개발참여 기회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