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독일, 기업 안정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성공전략
  • 경제·무역
  • 독일
  • 프랑크푸르트무역관 조세정
  • 2008-08-20
  • 출처 : KOTRA

독일, 기업 안정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성공전략

 

보고일자 : 2008.8.18.

박소영 프랑크푸르트무역관

sypark@ktcffm.de

 

 

□ 독일 중소기업 동향

 

 ○ EU 위원회의 중소기업 규정

  - 200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유럽위원회에서 규정하는 중소기업은 250명 이하의 직원과 연간 매출 500억 유로 이하, 연간 430억 유로 이하의 이익을 내는 기업을 의미

  - 중소기업 요건 중 하나가 독립성으로, 대기업의 그룹에 속하는 기업인 경우에는 중소기업에 포함시키지 않음. 또한 유럽위원회 차원에서 의미하는 중소기업의 ‘독립성’은 기타 다른 기업이 해당 중소기업의 지분을 25% 이상 소유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함.

 

 ○ 독일 중소기업 현황

  - 독일 본 소재 중소기업 연구소(Ifm) 통계에 따르면, 2006년 12월 31일 기준 99.8%의 기업이 중소기업이며, 모든 사회보험이 적용되는 종사자의 78.7%가, 모든 직업훈련생의 81.9%가 중소기업 소속으로 나타남.

 

종사자, 직업교육 수련자 및 기업의 수로 본 중소기업 현황

주 :1) 왼쪽부터 기업(99.8%), 종사자(78.7%), 직업훈련생(81.9%)

2) 주황색 : 중소기업 비율, 파란색 : 대기업 비율

자료원 : 중소기업 연구소(Ifm), 2006년도 12월 기준

 

  - 위의 도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독일 경제구조는 중소기업 중심이며, 독일경제는 중소기업이 주도해 나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 중소기업 연구소의 또 다른 통계에 따르면, 이 기업들의 80%가 10명 이하의 사회보험이 적용되는 종사자를 가지고 있으며, 31%는 1명의 종사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남.

 

2006년 기업, 종사자 및 직업훈련생의 고용자수에 따른 분포도
                                                             (단위 : 백만 개/명)

주 : 왼쪽으로부터 기업수, 종사자, 직업훈련생

자료원 : 중소기업연구소(Ifm)

 

□ 중소기업구조 안정을 위한 독일 중소기업들의 방책

 

 ○ 기업에의 적극 참여를 통한 기업 안정화 추구 동향

  - 최근 심각해진 전문인력난으로 인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불안정한 중소기업 구조를 완화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책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음.

  - 독일 일부 중소기업들은 기업 고용자를 이사회 일원으로 기업 운영에 가담시키거나 개인적인 성과에 따른 보너스 및 기업 이익에 비례한 이윤 배분 등의 방법으로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음.

  - 독일은 다른 유럽국가와 비교해 볼 때 이러한 방책이 널리 저변화돼 있지 않고, 지난 몇 년간 근로자의 실제 임금보다 기업 이윤이 훨씬 상승한 관계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이에 따라 독일 정부도 근로자의 기업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법안 마련을 준비하고 있음. 이와 관련된 법안은 8월 말경 독일 의회에 상정될 예정임.

 

 ○ 사례 1 : 뮐러 프레찌지온

  - 연간 매출 4200만 유로를 기록하고 있는 뮐러 프레찌지온사는, 사내 커뮤니케이션 센터에서 24시간 기업의 재정 및 이윤 현황을 찾아볼 수 있게 함.

  - 이어 노무자 전원을 대상으로 기업 운영 참여 프로그램을 실시함. 기업의 순수익이 10%가 되면 개개인에게 시간당 임금 7.5%의 성과급을 지급하고, 20%가 되면 10%의 보너스를 지급함.

  - 실시 초반에는 모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2년의 테스트 기간이 지난 후 직원들은 모두 이 모델을 지속해서 운영해나가기로 합의함.

  - 현재는 이전보다 더 직접적인 방식에 의해 성과에 따른 차등지급이 실시되고 있음. 생산과정에서 하자로 인한 비용이 전체 매출의 1.5%를 넘으면 수당이 감소함. 하자로 인한 비용이 0.5% 이하일 때는 추가 수당이 지급됨.

  - 이사회 대표자인 부허 씨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직원들이 5% 정도 더 많은 수입을 얻게 돼 임금 상승을 위한 협상에서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남.

 

 ○ 사례 2 : 뮐러-BBM

  - 뮌헨 근처 플라넥에 소재한 뮐러-BBM그룹은 200여 명의 소유임. 이들은 예전과 현재 기업의 근무자임.

  - 최소 3만 유로로 연간 6680만 매출을 올리고 있는 지주회사에 참여가 가능함. 또한 이 기업은 젊은 근로자에게는 회사 지분의 반 정도를 이윤이 저렴한 회사 대출을 통해 재정적으로 지원을 해주고 있음.

  - 이 모델은 유능한 고급 인력을 회사에 결속시키기 위한 의도에서 이미 1962년에 실시돼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음.

  - 1999년 100여 명 이하였던 이사회의 인원수가 2004년에서 150명으로 증가했고, 현재는 회사 지분을 사고자 하는 희망자가 많아 대기 리스트가 있을 정도임.

  - 회사의 이윤 중 1/10은 10년 이후 지급되며, 퇴직 후 연금을 받게 되는 직원도 그들의 지분을 연금과 함께 받게 됨. 단, 스스로 퇴사한 경우에는 지급되지 않음.

  - 최소 지분의 3/4은 현 직원에게, 그 나머지는 이전에 근무했던 직원에게 배분되는 규정이 있음.

  - 이사회 구성원이 현 직원이어서 기업 회의 시 의견이 상이한 관계로 때로는 논쟁도 불가피한 실정이나, 현 노무 직원의 80%가 대졸 직원일 정도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 사례 3 : 아우코팀

  - 예전에 전자제품 회사인 Elektro-Apparate-Werke(EAW)의 한 직원의 아이디어로 39명의 다른 직원이 함께 100만 유로의 창업자본을 마련해 1990년 자동차 및 컴퓨터기술 엔지니어 회사인Aucoteam을 세움.

  - 현재 160여 명의 직원이 있으며, 이전의 40여 명의 이사회 임원 중 17명은 여전히 활동 중임.

  - 다른 노무직원들도 연간 6%의 융자조건으로 기업에 대출을 해주는 방식으로 기업에 출자가 가능함. 이러한 방식으로 몇 백만 유로가 모임.

  - 이러한 대출을 통해 자금의 유동성과 함께 기업 운영이 용이해짐. 또한 모든 참여자에 대한 이윤 배당이 이뤄져 연간 한 달 월급 상당의 보너스가 지급되고 있음.

 

□ 중소기업의 직원 참여모델을 통한 효과

 

 ○ 직원들의 동기 유발 및 근로자 간의 결속력 강화

  - 기업 운영에 재정적으로나 비재정적으로 직원 참여를 유도해 직원들에게 동기 부여 효과를 보고 있음. 또한 이는 직원들의 기업 운영에 대한 참여의 기회가 되므로 함께 기업을 위해 기업적으로 사고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기업에의 결속력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음.

 

 ○ 생산률 상승효과 및 기업 효율 향상

  - 기업의 재정적인 성공을 근로자들과 함께 하는 모델을 채택한 기업주들은 한결같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효율성 증가를 인정하고 있음.

  - 1인당 성과에서뿐만 아니라 전체 기업 능률의 상승으로, Aucoteam사의 경우 근로자당 평균 10만 유로, 전년대비 12%의 매출 상승효과를 봄.

 

 ○ 자금 유동성을 통한 기업 운영의 원활화

  - 위에서 소개한 뮐러-BBM그룹의 모델에 따르면, 기업들은 이윤의 1/10이 지급되기 전까지 이익 배분금을 10년간 소유하게 됨.

  - 이는 기업 근로자의 장기 고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연금과 함께 추가로 이익 배당금이 주어지게 되므로, 근로자들도 선호하고 있음.

  - 또한 이사회 구성원이 함께 출자한 자본이나 근로자의 대출금이 기업 운영에 쓰이게 되므로, 기업 자금 조달이 용이함.

 

□ 시사점

 

 ○ 한국과 마찬가지로 독일 대기업에서의 근로자의 기업 운영 참여 모델은 보편화돼 있는 편이지만, 중소기업에서는 아직 널리 보급돼 있지 않고,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임.

  - 소규모의 기업일수록 이 방식을 채책하는 데는 관료적인 절차가 복잡한 이유로 이를 꺼리는 경우가 많은 편이나, 도입 초기에 회의적이었던 독일 중소기업들이 이러한 과감한 발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는 사례가 증가하자 이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음.

 

 ○ 한국의 경우에도 다른 방식으로나마 근로자의 동기유발과 함께 기업에의 결속력을 다지고 생산성 증가 및 기업 운영의 원활화를 꾀하는 차원에서, 이러한 모델 개발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더 나아가 장기 고용 안정을 통한 중소기업 구조의 안정을 가져올 수 있는 하나의 자구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독일연방 통계청, 중소기업 연구소(Ifm), 독일 경제일간지 Handelsblatt 및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기업 안정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성공전략)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