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英, 전자악기제품시장 전략적 진출 아쉬워
  • 경제·무역
  • 영국
  • 런던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7-31
  • 출처 : KOTRA

英, 전자악기제품 시장 전략적 진출 아쉬워

- 수요 증가 불구 자국생산 없어 큰 수입시장 형성 -

 

보고일자 : 2008.7.30.

박윤홍 런던무역관

y.park@kotra.or.kr

 

 

□ 시장 개요

 

 ○ 전 세계적인 레저 및 개인생활 중심의 가치관 변화에 맞춰 영국에서는 전자악기제품의 수입액이 1999년 1800만 파운드에서 2005년 4000만 파운드까지 증가했으나, 소비지수의 감소로 2007년에는 약간 감소한 3900만 파운드를 기록함.

 

 ○ 해당 품목의 영국 내 생산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2007년 영국의 해당품목 전체 수입액 중 EU국가에서의 수입량이 22%이고, 아시아에서의 수입량은 약 55% 정도로, 선정 품목 중 유일하게 유럽 외에서의 수입 비중이 큰 품목임.

 

 ○ 한국에서의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4%로, 향후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시장점유율 증가가 예상됨.

 

영국의 전자악기 시장규모(2006)

            (단위 : 천 파운드)

품목

지역

수입

수출

영국 내 판매

전자 기타

EU지역

9,323

3,603

26,903

EU 외 지역

21,802

619

그 외 전자악기

EU지역

284

415

4,374

EU 외 지역

5,622

1,117

자료원 : 영국 통계청

 

□ 최근 소비 트렌드

 

 ○ 어쿠스틱 악기의 소비는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편리성과 휴대성을 더한 전자악기는 점점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전자기타의 수입은 영국의 전체 악기 수입의 1/6을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음.

 

 ○ 전자기타 등의 전자악기 시장은 전통적으로 브랜드 중심의 시장으로, Marshall·Gibson 등의 고가품이 잘 알려져 있으나, 일본의 Yamaha가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 한국 제품의 경우 가격대비 품질은 인정받고 있으나, 아직까지 브랜드 인지도는 거의 없는 상황임.

 

 ○ 전자악기 부분은 전통적으로 일본·미국·네덜란드의 제품이 인기를 끌었으며, 한국은 주요 OEM 대상국이었으나, 현재는 OEM 생산의 많은 부분을 중국에 빼앗긴 상황임. 특히 2000~07년 사이 영국 해당상품의 중국에서의 수입량은 130만~1200만 파운드를 기록해 10배 가까이 증가했음.

 

 ○ 한국에서의 수입량이 2004년 590만 파운드에서 2007년 180만 파운드로 1/3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이는 기존 OEM 생산량은 상당부분 중국에 넘겨줬기 때문으로 분석됨.

 

영국 전자악기 수입 주요 대상국

          (단위 : 백만 파운드)

순위

국가

2005

2006

2007

2006/07 변동(%)

1

중국

8.10

10.21

12.07

18.26

2

네덜란드

10.75

8.35

7.67

-8.2

3

미국

8.23

7.05

7.47

6.02

4

일본

2.26

1.81

3.59

98.24

5

한국

4.78

2.65

1.85

-30.21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향후 전망 및 시사점

 

 ○ 한국에서의 수입량이 2004~07년 사이 1/3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한편으로 주요 브랜드의 생산지가 중국으로 이동하면서 기존 경쟁품의 브랜드 파워는 많이 약해진 상황으로 보임.

 

 ○ 한국의 중소기업 제품이 한국 브랜드로 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예가 많아지고 있고, 품질과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유럽 시장 내에서도 점진적인 성장이 예상됨.

 

 

자료원 : 통계청, Mintel, World Trade Atlas, 무역관 자료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英, 전자악기제품시장 전략적 진출 아쉬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