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막스 앤 스펜서, 14개월만에 대만 지점 접는 이유
  • 경제·무역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08-07-15
  • 출처 : KOTRA

막스 앤 스펜서, 14개월만에 대만 지점 접는 이유

- 브랜드, 자기 연출∙포장술을 발휘해야 -

 

보고일자 : 2008.7.15.

유기자 타이베이무역관

kotra.tpe@msa.hinet.net

 

 

□ 글로벌 소매유통기업 Marks & Spencer, 대만시장 진출 14개월만에 철수

 

 ○ Marks & Spencer(이하 M&S)는 120여 년의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영국의 소매유통기업으로, 전 세계 39개 국가 및 지역에 총 282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음.

  - 최근에는 그리스·중유럽 및 동유럽·인도 등지로 세계 시장을 확대해나갈 것으로 표명한 바 있으며, 영국 외 시장에서는 과거 5년간 15~20%의 성장률을 보인 바 있음.

 

 ○ 한편, M &S 대만점은 2007년 9월 타이베이 지점을 1호점으로 대만시장에 진출해 대만 전역에 총 3개 지점을 설립한 바 있으나, 예상 외로 매출 부진이 지속됨에 따라 14개월만에 돌연 철수를 결정, 2008년 7월 말에 대만 지점 운영을 접게 됨.

  - M &S 대만 지점의 매출실적은 낮게는 1개월간 매출실적이 목표치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30~40% 정도에 달하는 수준에 불과했던 것으로 파악됨.

 

타이베이 시내 주요 쇼핑가에 위치한 M &S 대만 1호점

자료원 : 聯合報

 

□ M &S 의 대만시장 진출 실패요인

 

 ○ 생소한 매장운영 방식

  - M &S의 경우 대만의 전통 일본계 백화점 매장 경영방식과 달리 개방식 디스플레이·소비자 셀프쇼핑방식으로 대만 소비유통시장에 진출

  - M &S의 이러한 매장운영방식은 기존의 일본계 백화점 매장 이용방식에 익숙한 현지 소비자에게는 다소 생소한 감이 있음.

 

 ○ 매장 인테리어 및 상품 진열 방식상의 이질감

  - 현지 소비자들은 규모는 작지만 세심한 감의 현지 백화점 매장내부 인테리어에 익숙한 반면, M &S 대만지점의 경우 대규모 매장 면적에 더해 화이트 계열의 바닥재 및 조명 등 전반적으로 차가운 톤의 색감 등으로, 현지 소비자에게 포근함이나 친근감을 어필하는데 다소 괴리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

  - 또한 M &S의 의류제품은 분기별로 수백여 종의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나, 연령층의 구분이 불확실하고 디스플레이 방식에도 테마성이 다소 결여된 것으로 지적됨.

 

 ○ 현지 유행감각과의 괴리

  - M &S 제품 스타일은 전반적으로 보수적이면서 베이직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주류로, 유행에 민감하고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하는 데 과감한 편인 현지 소비자들의 패션감각에 다소 부합하지 않았음.

  - 또한 베이직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에게는 M &S 상품의 판매가격대가 다소 비싼 것으로 인식돼, 같은 값이면 오히려 브랜드 인지도가 더 높은 제품을 구입하는 편을 선택하게 되는 요인이 된 것으로 보임.

 

 ○ 마케팅 전략상의 융통성 부족

  - 현지 소매 유통업체의 경우, 현지 소비시장의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수시로 정기 세일을 실시해 소비자들의 소비욕을 자극하는 반면, M &S의 경우 현지 업체에 비해 세일 판매를 그다지 실시하지 않는 편임.

  - 대만 시장연구기관이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현지 의류업체의 마케팅 트렌드는 가격 할인(38.3%), 조건성 가격 할인-특정 제품 구매 시 덤으로 하나 더(18.9%), 동일 상품 2개 이상 구매 시 가격 할인(13.8%)-이 홍보 이벤트나 광고 등에 비해 선호되고 있어 현지 소비자들에게 가격 할인은 주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반증됨.

 

□ 시사점

 

 ○ 브랜드의 자기 연출 능력이 중요

  - 일본 소매유통업체 무인양품(MUJI)의 경우 ‘심플, 자연적, 고급스러운 질감을 추구하는 생활 철학’을 호소하는 고유의 특유한 테마성을 바탕으로 2003년 대만시장에 진출해 현재 대만 전역에 총 9개 지점을 설립할 정도로 현지 소비자의 선호 브랜드로 성장함.

  - M &S의 경우 다양한 상품군과 쇼핑 번화가에 위치하는 등의 이점은 확보한 반면, 현지 소비자에게는 생소한 브랜드를 인상적으로 연출해 어필하는 테크닉이 부족했던 것이 대만시장 진출에 실패한 핵심적인 요인으로 평가됨.

 

 

자료원 : 經濟日報, 聯合報, 中國時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막스 앤 스펜서, 14개월만에 대만 지점 접는 이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