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칠레, 장바구니 물가 13% 상승
  • 경제·무역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성기주
  • 2008-06-24
  • 출처 : KOTRA

칠레 장바구니 물가 13% 상승

- 평균 물가상승률보다 5% 상회 -

- 최대 26% 상승한 품목도 -

 

보고일자 : 2008.6.23.

성기주 산티아고무역관

eugenio@kotra.or.kr

 

 

□ 국제 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동반 상승

 

 Ο 2008년 1분기 칠레 장바구니 물가는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8%를 5% 상회하는 수준으로 평균 13%를 기록

 

 Ο 그러나 평균 임금상승률은 8.6%로 서민들의 생활고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당분간 이러한 상황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됨.

 

□ 유제품 26% 상승으로 최고상승률 기록

 

  Ο 요구르트, 우유 등 유제품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6% 상승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그 뒤로 쌀, 식용유, 씨리얼 등의 제품이 22% 상승하였음.

 

  Ο 그밖에 의류, 차류 등의 가격도 15% 상승하여 칠레인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제품의 물가 상승률이 높아 실제 칠레인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

 

 Ο 이에 따라 칠레인들의 소비 패턴이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시장구조는 더욱더 가격 지향적으로 옮겨가고 있음.

 

□ 소비패턴 변화 감지

 

 Ο 이러한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칠레 소비자들은 최우선적으로 식료품, 유제품을 구입하고 있으며, 애완용품·음료수·위생관련제품 구입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강해짐.

 

 Ο 뿐만 아니라 브랜드 제품보다는 유통업체 자체브랜드 제품 구입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유력 브랜드보다 가격이 저렴한 Sub Brand 제품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는 상황

 

 Ο 또한 대량구매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슈퍼마켓 및 시장 방문 빈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도 현지 소비자들의 소비패턴 변화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음.

 

□ 물가상승으로 인한 영향

 

 Ο 국제 원자재가의 상승에 따라 대부분의 소비재를 수입에 의존하는 칠레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주변 국가에 비해 매우 심한 상황

 

 Ο 특히 쌀, 밀가루 등 곡물류 가격 상승은 세계에서 1인당 빵 소비가 가장 많은 칠레인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빈곤층의 사회불만이 증가 및 각종 시위가 이어지고 있음.

 

 Ο 뿐만 아니라 전력, 가스, 수도 등 대부분의 기초생활 관련 공공요금의 인플레이션까지 겹쳐 기본생활비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해법에 소극적인 정부에 대한 칠레인들의 비판도 점차 거세지고 있음.

 

 

자료원 : El Mercurio, 무역관 자체분석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칠레, 장바구니 물가 13% 상승)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