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초고유가시대의 에너지 절약상품
  • 경제·무역
  • 인도
  • 뭄바이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5-20
  • 출처 : KOTRA

인도, 초고유가시대의 에너지 절약상품

 

보고일자 : 2008.5.20.

박성호 뭄바이무역관

hiro@kotra.or.kr

 

 

□ 최근 에너지 절약정책 동향

 

 ○ 인도의 총 전기 발전량은 세계 5위에 달하는 규모(13만2100㎿)지만, 발전량이 소비량에 크게 못미쳐 만성적인 정전상태에 시달리는 상황이며, 이는 산업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침.

 

  이에 따라, 전기 발전량 증가와 더불어 에너지 절약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며, 민간차원의 움직임보단 정부의 정책 설립면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음.

 

  전력부는 2001년 재정된 에너지 보존법(Energy Conservation Act, 2001)의 적극적 실행을 위해, 2002년 에너지 효율과(Bureau of Energy Efficiency)를 설립함.

 

 

  에너지 효율과에서는 2007~12년 5개년안을 통해,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함.

 

정책명

실행계획

기대효과

에너지 절전 전구 대체

4억 개로 추정되는 가정 백열 전구를 에너지 절약용 전구로 대체

연간 6000㎿의 전기절약과 2400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에너지 효율등급제

냉장고, 에어콘 등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가전제품에 대한 에너지 효율등급제 의무화 추진

소비자에게 에너지 절약에 관한 경각심을 알리고, 생산자에게 에너지 절약 상품에 대한 경쟁심 유도

건물 에너지 관리규약

상업용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절약 정책 규정. 새로 지어지는 건물에 대해, 다양한 기후를 고려한 탄력적인 규범을 추진

17억 단위의 전기 절약

농업 및 도시 전력 수요 관리안

농업용수, 도시용수 공급에 쓰이는 전기관리

농업 부문 621억 단위 전기 절약

 

 

  주 단위 에너지보존 법규 시행, 중소기업 대상 에너지 보존안, 주 에너지 펀드 조성, 에너지 관리자, 에너지 감사 자격증 부여

 

  매년 에너지 보존 우수 기업에 대해 수상식을 열고 있으며, 이 행사에 참가하는 단체와 절약되는 비용은 증가하는 추세임.

 

자료원 : Bureau of Energy Efficiency

 

  전력부는 비전 2012 계획(Power for All)의 발표를 통해, 모든 호텔과 병원에 태양에너지 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의무화함.

 

  지난 5월 15~16일, 독일과 에너지 절약에 관한 심포지엄을 개최함.

  - 화력발전소의 효율성 증대 방안

  - 바이오매스, 재생에너지, 청정 에너지 개발 메커니즘(CDM)에 관한 논의가 이뤄짐.

  - 연 8% 이상의 경제 발전이 이루어지는 인도에서, 급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에 관한 논의

  - 에너지 보존과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양국이 바라보는 관점에 관한 논의가 이뤄 졌으며, 인도에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찾기위한 논의가 이뤄짐.

 

 주목받는 에너지 절약상품

 

  에너지 토네이도 절전 전구(Compact Fluorescent lamp, CFL)

 

제조사

필립스

가격대

3.75~7.5달러

홈페이지

http://www.lighting.philips.co.in/

제품 특징

  - 기존의 절전 전구에 비해 동일한 전력을 소비하면서, 40% 작아진 크기와 20% 더 밝은 효과를 냄.

  - 기존의 절전 전구의 단점이었던 크기의 문제가 해소됨. 백열전구를 대체시 길이가 긴 기존의 절전 전구 대신 사용이 가능함.

시장 반응

  - 장기적 관점에서 기존 백열 전구를 대체하기에 가장 최적의 조건을 가진 제품이지만, 백열전구에 비해 10배 가량 비싼 가격이 서민 시장에게 불리한 점으로 작용함.

  - 정부의 정책과 더불어 가격이 내릴것으로 예상되며, 학교에서의 교육과 캠페인을 통해 점차 수요가 급증할것으로 예상됨. 델리를 포함한 일부지역에서는 새로 짓는 상업 건물에 대해 절전 전구의 사용을 의무화함.

 

  가스 순간 온수기

 

제조사

쉬리 샥띠 LPG사(원산지 : 스페인)

가격대

81~297달러

홈페이지

http://www.shrishakti.com/

제품 특징

  - 기존 전기 순간 온수기에 비해 70%가량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음.

  - 인도의 가스 이용환경을 고려한 제품

시장 반응

  - 인도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현재 전기를 이용한 온수기가 사용 중이며, 이는 냉장고·에어콘과 더불어 많은 전기를 소비하는 제품으로 인식됨.

  - 각 가정으로 가스배송관이 직접 들어오는 집 구조는 현재 인도에서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LPG 가스통을 직접 구매해 요리 등의 제한된 목적에만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인 상황임. 합리적인 가격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크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이지만, 설치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단점을 극복해야 할 것으로 보임.

 

  태양열 온수기

 

제조사

타타BP Solar (원산지 : 인도)

가격대

437달러

홈페이지

http://www.tatabpsolar.com/

제품 특징

  - 안이 비어있는 특별 코팅 유리 튜브를 사용해 부분적으로 흐린 날씨에도 열수집 능력이 탁월하며, 이중 강화처리를 통해 악천후에도 제품을 보호함. 

시장 반응

  - 인도는 몬순시기를 제외하고는 일년내내 일조량이 큼. 그러므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가정용 온수기는, 초기 설치비의 부담을 제외하면 큰 이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공공 상업건물에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곧 가정에 대한 지원도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

 

  전기 오토바이

 

제조사

INDUS(원산지 : 인도)

가격대

713~1023달러

홈페이지

http://www.induselectrans.com/

제품 특징

  - 충전지를 이용해 휘발유를 소비하지 않는 오토바이

  - 본체에 연결돼 있는 아답터에 전원만 연결함으로써 충전 가능함.

  - 공해를 발생하지 않음.

  - 크게 2가지 기종(Yo! Speed, Yo! Smart)이 있으며, Yo! Smart의 경우 운전면허 취득 불필요함.

시장 반응

  - 국제유가인상에 따라, 고유가 시대에 단거리 이용을 위한 대체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음.

  - 일부 기종의 경우 운전면허의 취득이 불필요하다는 점 또한 큰 장점으로 인식됨.

 

  전원 스위치

 

제조사

ANCHOR(원산지 : 인도)

가격대

2~5달러

홈페이지

http://www.anchor-world.com/

제품 특징

  - 벽면 전원 연결탭에도 스위치가 부착돼 있어, Stand-by를 사용하는 TV·에어콘 등이 벽면 전원에 바로 연결돼 있어도 스위치를 이용한 전원차단이 가능함.

시장 반응

  - 대부분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질적인 면과 디자인에서 점점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임.

 

 시사점

 

  경제 발전과 더불어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에 대비한 인도 정부의 다각적인 에너지 절약 정책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으로 평가됨.

 

  하지만, 일반 국민과 업체의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인식은 아직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됨.

 

  전자제품의 경우 에너지 효율등급제 표시가 아직 의무화돼 있지 않으나, 조만간 정착할 것으로 보임. 이에 따른 기업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서민들의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에너지 고효율 제품을 구입하는 것보다는, 당장 비용이 저렴한 제품을 선호하는 것이 현실임.

 

  이는 정부의 다양한 정책을 통한 권유 혹은 의무 규정과 어릴 때부터 학교에서의 교육을 통해 점차 해소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 Ministry of Power, Bureau of Energy Efficiency, 무역관 언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초고유가시대의 에너지 절약상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