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자원정보] 파키스탄, 석탄자원 활용한 발전설비구축 프로젝트 증가 전망
  • 투자진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이성녕
  • 2008-04-28
  • 출처 : KOTRA

파키스탄, 석탄자원을 활용한 발전설비 구축프로젝트 증가 전망

- 신드주 중심으로 풍부한 석탄 매장량 확보, 전력난 해소에 활용 계획 -

- 자원개발 및 발전시설 구축의 경제성, 투자방식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 필요 -

 

보고일자 : 2008.4.28.

이성녕 카라치무역관

kaiser2000@kotra.or.kr

 

 

□ 석탄자원 개요 및 매장현황

 

 ㅇ 파키스탄은 신드주 Thar Coal Field 지역에서 1750억 톤의 석탄 매장이 확인되면서 Sonda-Thatta, Lakhra, 등에 세계 7위 규모인 총 1851억 톤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

 

 ㅇ 그러나 대부분 역청이 함유된 갈탄이며 평균 열량 6000BTU/1b의 저급품으로, 공장연료·발전용 등에 사용 가능

 

파키스탄의 지역별 석탄 매장량 현황

지역명

추정 매장량(백만 톤)

Baluchistan

Hamai

76

Cherat / Gulla Khel

9

Azad Kashmir

Kotli

9

합계

185,175

자료원 : Energy Year Book(2003/04 회계연도)

 

파키스탄 신드주 주요 석탄 매장지역

자료원 : 신드주 정부

 

□ 석탄 생산동향

 

 ㅇ 2002/03 회계연도(2002년 7월~2003년 6월) 기준, 파키스탄의 석탄 생산량은 360만 톤 정도로 매장량에 비해 개발정도가 낮은 편임.

 

 ㅇ 지역별로는 Balochistan주가 파키스탄 전체 석탄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석탄 산지이며, 신드주의 연간 생산규모는 105만 톤 정도로 파키스탄 전체의 34%를 점유

 

파키스탄의 지역별 석탄 생산현황

                  (단위 : 천 톤)

회계연도

Punjab 주

Sindh주

NWFP주

Balochistan주

합계

2002-03

502.3

1,049.1

266.2

1,791.7

3,609.3

2001-02

515.2

993.0

237.4

1,766.1

3,511.8

2001-02

401.3

1,005.6

191.3

1,687.5

3,285.7

1999-00

454.5

981.9

46.3

1,681.5

3,164.3

1998-99

479.1

1,233.1

53.2

1,612.5

3,377.9

1997-98

365.6

1,178.3

59.1

1,541.5

3,144.5

1996-97

425.3

1,093.0

55.7

1,922.0

3,496.4

1995-96

514.9

1,088.1

43.6

1,818.5

3,465.1

1994-95

416.0

1,046.2

55.7

1,491.5

3,009.6

1993-94

465.4

1,093.8

67.0

1,588.1

3,214.4

자료원 : Pakistan Mineral Development Corporation

주 : 2002/03 회계연도 이후 자료 없음.

 

□ 파키스탄 정부, 석탄자원을 통한 전력난 해소 추진

 

 ㅇ 세계은행 등 주요 국제 경제기구들은 지체되고 있는 관련설비 투자로 인한 전력난 악화에 큰 우려를 나타내며, 파키스탄 정부가 발전설비는 물론 송전 시스템에 대한 예산 투입 및 도전방지를 통한 전력손실 최소화를 정책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을 권고하는 한편, 전력사정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파키스탄 경제성장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사회 불안의 중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경고

 

파키스탄 전력 수급 추이

                    (단위 : ㎿)

연도

수요

공급

전력 과부족

2004

13,831

15,046

+1,215

2005

14,642

15,082

+440

2006

15,483

15,072

-411

2007(추정)

16,548

15,091

-1,457

2008(예상)

17,689

15,055

-2,634

2009(예상)

19,080

15,055

-4,025

2010(예상)

20,584

15,055

-5,529

자료원 : Hydrocarbon Development Institute of Pakistan

 

 ㅇ 이에 파키스탄 정부는 비교적 매장량이 풍부한 석탄을 활용한 발전량 확충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자본 및 기술부족으로 인해 이 분야에 대한 외국기업의 투자 진출 유치에 집중해 다수의 자원개발 및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공급자 금융방식(BOO, BOT)으로 추진 중

 

 ㅇ 석탄 최대 매장지역인 Thar 지역의 개발은 지난 2005년 1월부터 중국기업인 ‘Shenhua Group Corporation’이 BOO 형태로 광산개발 및 이 지역에서 생산된 석탄을 활용한 600㎿ 급 화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나, 파키스탄 측과의 전력요율 관련 이견으로 잠정 중단된 상태

 

□ 향후 전망 및 시사점

 

 ㅇ 파키스탄 정부는 지난 1995년부터 ‘National Mineral Policy’의 추진을 통해 광업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 및 경쟁력 제고를 추진하고 있음.

 

 ㅇ 특히 신드주는 최근 Thar 사막 지역의 석탄광산 발견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으며, 이 광산은 파키스탄 석탄 매장량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해 대규모 개발이 유력하고, 정부 당국은 석탄을 활용한 전력생산을 2030년까지 2만㎿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

 

 ㅇ 그러나 파키스탄은 재정부족으로 인해 대부분의 개발 프로젝트를 BOO/BOT 방식에 의존해 세제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나, 행정 서비스 마인드의 부재·부정부패 등으로 인해 상기 중국기업의 사례와 같은 분쟁발생의 위험이 상존

 

 ㅇ 따라서 석탄 등 현지 자원개발 프로젝트 관련, 충분한 시장성 검토와 함께 합작투자 및 BOO/BOT 방식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됨.

 

 

정보원 : Pakistan Mineral Development Corporation, 신드주 정부, 무역관 자체조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자원정보] 파키스탄, 석탄자원 활용한 발전설비구축 프로젝트 증가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