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인터넷 쇼핑 시장동향
  • 경제·무역
  • 미국
  • 뉴욕무역관 최재원
  • 2008-04-25
  • 출처 : KOTRA

[미국] 해외 인터넷 쇼핑 시장동향

 

보고일자 : 2008.4.25

최재원 뉴욕무역관

jaychoi@kotra.or.kr

 

 

□ 미 온라인 리테일 시장 규모와 추이

 

 ○ 인터넷 시장 전문 조사기관인 Jupiter Research에 따르면, 2012에는 미국 내 온라인 소매 세일즈의 규모가 215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함.

  - 이 규모는 2008년을 시작으로 매년 평균 11%의 성장률을 보인 결과치임. 이러한 추세로 나가게 되면, 2012년에 미국 온라인 세일즈 시장은 미국 전체 세일즈 시장의 7% 정도를 차지할 것임.

 

미 온라인 리테일 시장 성장추이(2005~12년)

                                                                                    (단위 : 십억 달러, %)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거래규모

84

108

128

148

166

182

199

215

점유율 (주)

3.9%

4.9%

5.5%

6.0%

6.4%

6.7%

6.9%

7.1%

자료원 : Jupiter Research

주 : 점유율은 해당연도 전체 미국 리테일시장의 규모에서 점유율을 의미함.

 

미 온라인 리테일 시장의 성장 추이

자료원 : Jupiter Research

 

 ○ 온라인 리테일 시장의 성장추이로 보았을 때 이 시장은 2007년에 19%의 성장을 기록한 반면, 그 이후로 성장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2009년 12%, 2011년에 9%, 2012년에 8%를 보일 것임.

  - 이러한 성장률의 감소세는 각 온라인 구매자들의 구매규모(2007년 12%의, 2009년 9%, 2011년에 6%, 2012년에 6%) 나 신규 온라인 구매자 증가율에서 비슷한 형태로 보일 것으로 예상됨.

 

□ 미 온라인 리테일 시장의 주요 구매계층과 소비행위

 

 ○ 이 시장 내 주요 구매계층은 가구당 연간 소득이 7만5000달러나 그 이상을 기록하는 소비자 그룹이 될 것이며, 이들은 1년에 평균 8번 내외로 인터넷을 통해 제품을 구매함(가구당 연간 소득이 10만 달러 이상이 되는 소득계층은 1년에 10번 구매).

  - 이 소득수준의 구매 계층들은 온라인 리테일 시장에서 구매자로서 부동의 다수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후에 소득 수준이 이들보다 낮은 소비자 그룹들도 온라인 구매에 참여하게 될 것임.

  - 그러나 소득수준이 낮은 소비자 그룹들은 구매력에 있어 한계를 보이므로, 이들의 이 시장 내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미국 온라인 리테일 구매자들은 많은 부분 충동구매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임. 2006년부터 실시된 온라인 리테일 구매 소비자들의 행위 조사에 따르면 충동구매를 한다는 답변자의 수는 감소하고 있음.

  - 29% 정도의 설문 답변자들은 방문한 사이트 내에서 보이는 세일즈 프로모션 오퍼 등을 보고 구매를 결심한다고 답변했음.

  - 이런 경향의 반증으로 50% 이상의 온라인 설문 답변자들은 자신들이 구매하고자 하는 품목과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이전 사용자들의 평가 등 충분한 참고자료에 근거해 구매하기에 때문에 구매에 따른 만족도가 높다고 답변했음.

 

 ○ 설문조사에 응한 온라인 구매자들의 9% 정도가 자신이 온라인 쇼핑을 하는 웹사이트를 My Space나 Face Book 등의 소셜 네트워킹 웹사이트에서 추천을 받고 바꾼다는 답변을 했음.

  - 이를 볼 때, 인터넷 커뮤니티 멤버들 간의 특정 쇼핑 사이트에 대한 소개와 평가가 사이트의 위상과 판매 실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연령대별로 보았을 때 35세 이상의 중장년층 온라인 구매자들은 자신들이 한 번 선택한 온라인 리테일 사이트를 쉽게 바꾸지 않고 장기적으로 같은 사이트에서 거래를 함.

  - 반면 틴에이저 온라인 리테일 구매자나 20대 중초반 쇼퍼들은 중장년층들과 같이 장기 구매행위를 보이지 않고 수시로 구매 사이트를 전환함.

 

□ 구매 품목별 온라인 리테일 구매자 증감추이

 

 ○ Jupiter Research에서 조사한 온라인 리테일 라인을 통해 구매되는 품목들 중 위 6개 품목들의 연도별 온라인 구매추이는 아래 표와 같음.

 

주요 온라인 리테일 품목별 구매자 점유율 증감추이

                                                                                                             (단위 : 연, %)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책자

51

50

49

49

49

49

48

48

의류

50

50

51

51

52

52

53

53

소프트웨어

24

28

28

28

29

29

29

29

가전제품

14

15

15

16

16

16

16

16

자료원 : Jupiter Research

 

  - 책자는 감소세를 보임. 전체 미국 온라인 리테일 구매자 인구 내 점유율이 2005년 51%의 2007년에 49%로 줄어들고, 2010년과 20012년에 각각 49%와 48%로 구매자 점유율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 의류는 상승세를 보임. 전체 미국 온라인 리테일 구매자 인구 내 점유율이 2005년에 50%, 2007년에 51%로 늘었으며, 2010년과 2012년에는 각각 52%와 5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소프트웨어는 2005~06년 사이 4%의 현저히 높은 증가율을 보여 28%를 기록한 반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같은 점유율을 보이다가, 2010년부터 1% 정도 구매자 점유율이 29%에 다다름. 이 점유율은 2012년까지 지속될 예상임.

  - 소비자 가전제품은 책, 의류, 소프트웨어에 비해 구매자 14~16%로 점유율이 현저히 낮음. 2005~07년까지 매년 1%씩 이 품목의 구매자 점유율은 계속 상승했으나, 2008년부터 16%를 꾸준히 유지할 것임.

 

□ 미 온라인 리테일 품목들의 예상 연평균 성장률이 높을 품목들

 

 ○ 2012년 기준 미국에서 가장 큰 온라인 구매규모를 보일 품목들은 의류-액세서리 품목, 홈케어 제품들, 소비자용 가전 제품들임.

  - 이 품목들이 2007~12년 사이 보일 연평균 성장률은 의류-액세서리는 13% 정도이며, 홈케어 제품은 15%, 소비자 가전제품은 14%, 일반 그로서리는 18%를 보일 것임.

  - 위의 주요 품목들보다 규모는 작지만 빠른 연 평균 성장률을 보일 품목들은 건강보조제(Nutraceutical ; 17%), 애완동물 케어용품(Pet Supplies ; 22%), 자동차 부품(Auto parts ; 23%)들임.

 

미국 온라인 리테일 품목들의 연평균 성장률

                                                                                            (단위 : %)

자료원 : Jupiter Research

 

 ○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수출업체들은 규모는 작지만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품목들을 공략해 미국의 관련 온라인 리테일 업체들과 연계해 제품을 소개하고 판매채널을 구축해가야 할 것임.

 

 

자료원 : Jupiter Research, Internet Retailer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인터넷 쇼핑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