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석유화학 프로젝트 및 진출방안
  • 트렌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권세영
  • 2007-03-27
  • 출처 : KOTRA

이집트 석유화학 프로젝트 및 진출방안

- 플랜트 건설 또는 기초 자재 진출 노려 볼만-

 

보고일자 : 2006.3.26

권세영 카이로무역관

seyoung@kotra.or.kr

 

 

□ 개요

 

 Ο 이집트는 '02년부터 20년에 걸쳐 24개의 석유화학산업 프로젝트를 통해 자국의 낙후된 석유화학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2022년까지 3단계에 걸쳐 10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음.

 

 Ο 이집트 정부의 석유화학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이집트의 연간 석유화학 제품 생산액은 70억 달러, 1500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됨.

 

 Ο 이집트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육성책은 수입의존비율을 줄이고 석유화학 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유치 효과도 함께 거두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음.

 

이집트 석유화학 프로젝트 유인 요인

현황

효과

연간 플라스틱 제조용 석유화학 수요량 120만 톤, 1인당 소비량 18kg이나 자국 생산량 57만 톤

 수요량의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의존도 축소와 함께 자국 기초 산업 경쟁력 육성

-제조업 산업 투자를 위한 자금 부족

석유화학 단지 개발, 플랜트 건설, 관련 기술 등을 외국인 투자 자금을 활용해 추진함으로써 투자

유치 효과 극대화

 

 Ο 현재 이집트의 석유화학 제품 생산량은 연 약 60만 톤가량이며 생산량의 45%가 Polyethylene에 집중돼 있음.

 

이집트 석유화학 프로젝트 마스터 플랜

비고

현재

2020년

생산시설

16개사 활동

24개 프로젝트

50개 생산 Unit

고용인력

7,600명

10만 명

연 생산량

약 57만 톤

약 1500만 톤

생산 금액

약 3억 5000만 달러

약 70억 달러

              자료원 : Egyptian Petrochemicals Holding Company

 

 

□ 프로젝트 개요

 

 Ο 석유화학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있는 곳은 이집트 정부 기업인 Egyptian Petrochemicals Holding Company(E-Chem) 사로 20년 3단계에 걸쳐 시행될 예정임.

 

이집트 석유화학 단계별 추진 계획

1단계

(2002~08)

35억 달러

 

2단계

(2009~15)

33억 달러

 

3단계

(2016~22)

33억 달러

 

 

 

 

 

* Methanol

* Ammonia/Urea

* Polypropylene

* Polystyrene

* PVC

* LAB

* Acrylic Fibers

* 1st Olefins Complex

 

* Styrene

* Polyester

* Aromatic Complex

* Ethoxylates

* PTA

* SB Latex

* 2nd Olefins Complex

* Methanol II

 

* Vinyl's Complex

* Propylene/Poly propylene

* 3rd Olefins Complex

* Styrenic Complex

* Butadiene

* S B Latex

* Detergents

                자료원 : E-Chem 사

 

 Ο 현재 1단계가 추진 중으로 석유화학 공장 건설 예정지는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 등 지중해와 수에즈, 이스말리아 등 홍해 인근임.

 

 

 

□ 1단계 프로젝트 개요 (2002~08, 8개 프로젝트, 35억 달러 투자)

 

1. Acrylic Fiber

 

2. Linear Alkyl Benzene “LAB”

- 생산능력 : 18,000T/A

- 규모 : 7000만 달러

- 위치 : 알렉산드리아

- 투자자

 · Birla India           

 · Apicorp

 · Sidpec

 · Egyptian Saudi for Investment

- 진행현황 : '06.2월 1단계 건설 완료

             2단계 건설 진행 중

- 공장가동일 : '08년 4분기

 

- 생산능력 : 100,000 T/A

- 규모 : 4억 5000만 달러

- 위치 : 알렉산드리아

- 투자자

 · ECHEM(21%)

 · EGAS(21%)

 · EGPC(10.5%)

 · Ministry of Finance(13.1%)

 · National Investment Bank(34.2%)

 · Uni-Chema Group(0.2%)

- 진행현황 : 시공사 선정 완료, 공정 65% 진행

 * GS건설/ENPPI/PJT사 콘소시엄

- 공장가동일 : '08년 1분기

 

3. Propylene & Polypropylene

 

4. Methanol

생산능력 : 400,000 T/A

 - 규모 : 7억 5000만 달러

 - 위치 : 포트 사이드

 - 투자자

 ·  Echem(13%)

 · Gasco (13%)

 · OPC & OW(26%)

 · 기타 (48%)

 - 진행현황 : 시공사 선정 완료

 - 공장가동일 : '09 중반

 

생산능력 : 1,260,000/A

 - 규모 : 9억 5000만 달러

 - 위치 : 다미에타

 - 투자자 :

 · Methanex (60%, 캐나다)

 · Echem(12%)

 · Egas(12%)

 · APICORP(7%)

 · Gasco(9%)

 - 진행현황

 · '04년 합작계약 서명

 · 시공방법 선정

 · 시공사 선정

   Techint(이탈리아), Technip(프랑스)

   Uhde(독일), Aker Kvaerner(노르웨이)

 - 공장가동일 : '09년 4분기

 

5. PVC

 

6. Ammonia, Urea

생산능력 : 150,000T/A

 - 규모 : 4억 달러

 - 위치 : 알렉산드리아

 - 진행현황 : 사전 타당성 검토 완료

 - 공장가동일 : '09

 

생산능력 : 1,200,000T/A

 - 규모 : 12억 달러

 - 위치 : 다미에타

 - 투자자

 · Agrium (60%)

 · Echem (12%)

 · Egas(12%)

 · Gasco(8%)

 · Apicorp(8%)

 - 진행현황

 · '04년 합작계약 서명

 · 시공방법 선정

 · 시공사 최종 선정 단계

 - 공장가동일 : '09년 4월

 

7. Polystyrene

 

8. Polyethylen

생산능력 : 200,000T/A

 - 규모 : 1억 5000만 달러

 - 위치 : 알렉산드리아

 * Styrene는 수입 조달 예정

 - 투자자

  · Echem(35%)

  · PTJ(15%)

  · ENPPI (10%)

  · Ministry of Finance(20%)

  · National Investment Bank (20%)

 - 진행현황

  · 환경영향 평가 완료

  · 원료공급건에 대한  MOU체결

 - 공장가동일 : '08.3분기

 

생산능력 : 750,000~1,000,000T/A

 - 규모 : 17억 달러

 - 위치 : 해안지역. 구체장소 미정

 - 투자자 : Echem 참가 예정 /기타 미정

 - 진행현황 : 사전타당성 검토 진행

 - 공장가동일 : 2011

 

 

□ 2단계 프로젝트 개요 (2009~16, 8개 프로젝트 중 3개 확정, 33억 달러 투자)

 

 Ο 3단계는 아직 미 확정

 

1. Aromatics Complex

 

2. GTO

 - 생산능력 : 500,000 BZ ~ 500,000 X T/A

 - 규모 : 15억 달러

 - 위치 : 해안지, 구체장소 미정

 - 투자자 : Echem 참가 예정/ 기타 미정

 - 진행현황 : 사전타당성 검토 진행

 - 공장가동일 : 2010

 

 - 생산능력 : 750,000~1,000,000 T/A

 - 규모 : 23억 달러

 - 위치 : 해안지, 구체장소 미정

 - 투자자 : Echem참가예정/ 기타 미정

 - 진행현황 : 사전타당성 검토 진행

 - 공장가동일 : 2011

 

3. Polyester

 - 생산능력 : 310,000T/A

 - 투자금액 : 1억 달러

 - 위치 : 다미에타

 - 투자자 : Echem 및 인도계 투자자

 - 진행현황 : 사전타당성 검토 진행

 - 공장가동일 : 2010

 

 

□ 진출방안

 

 Ο 이집트 석유화학 프로젝트의 직접 참가 방법으로는 프로젝트 지분 참가 방법과 플랜트 건설 방법이 있음. 지분 참가의 경우 프로젝트 규모가 1억 달러를 상회하는 대규모인 까닭에 진출이 쉽지 않을 전망임.

 

 Ο 한국기업이 경우 엔지니어링 및 건설 플랜트 부분에 대한 시공 및 감리 부분에 이집트 기업과 공동으로 참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프로젝트 건설에 소요되는 각종 기자재 또는 밸브, 피팅류 등에 대한 공급, 기술 이전을 통한 진출도 고려해 볼만하며 최종 완제품 생산을 위한 기초 원료도 진출 가능분야로 분류됨.

 

4. 이집트 석유화학 공기업 구조

 

 

 

석유부

 

 

 

 

 

 

 

 

 

Egyptian General Petroleum Corporation (EGPC)

 

Egyptian Natural Gas Holding Company (EGAS)

 

Egyptian Petrochemicals Holding Company

(ECHEM)

 

Egyptian south Valley Development Holding Company

(GANOPE)

   자료원 : Echem

 

 

정보원 : Egyptian Petrochemicals Holding Company(Echem), BMI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석유화학 프로젝트 및 진출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