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오토바이 산업, 전동화 물결에 올라타다- 트렌드
- 태국
- 방콕무역관 이태형
- 2025-09-26
- 출처 : KOTRA
 
- 
				
				
					
				
				
				
				
				
				
				
					태국은 아세안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오토바이 생산 허브 중 하나로,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전략적 위치를 점하고 있음 전기오토바이(BEV)의 경우, 여전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제한적이지만 2024년 판매량은 전년 대비 14.1% 증가한 2만 5,020대로 집계되며 성장세를 보였음 배달·모빌리티 플랫폼인 Grab Thailand는 최근 운전자들이 전기오토바이를 임대해 음식 배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End-to-End EV Rental” 모델을 도입하며 방콕을 포함한 주요 도시에서 EV 임대 서비스를 확대함 동남아시아 오토바이 생산 허브, 태국 시장 조사기관 Krungsri Research에 따르면, 태국은 아세안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오토바이 생산 허브 중 하나로,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전략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태국 내 오토바이 산업은 자동차 산업과 함께 국가 제조업의 핵심 축을 담당하며,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가 현지 생산기지를 운영하고 있다. 태국 내 오토바이 시장은 Honda, Yamaha, Kawasaki, Suzuki 등 일본계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일부 현지 기업도 보급형 모델을 중심으로 생산을 이어가고 있다. 생산의 상당 부분은 동남아시아 주변국으로 수출되며, 미국과 유럽 시장도 주요한 수출처로 꼽힌다. <아세안 주요국의 2024년(1~11월) 오토바이 및 스쿠터 생산량/판매량> (단위: 백만 대) 오토바이 및 스쿠터 생산량 오토바이 및 스쿠터 판매량   [자료: ASEAN Automotive Federation] 여전히 ICE 오토바이가 주력이지만 EV 확산 추세 Krungsri Research 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 오토바이 산업은 전년 대비 생산과 내수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0% 감소한 189만 대, 내수 판매는 전년 대비 -9.3% 감소한 168만 대로 경기 둔화와 가계부채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수출의 경우,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국의 관세 부과 등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태국 오토바이(ICE+BEV) 생산·판매 동향> (단위: 백만 대, %)  [자료: The Federation of Thai Industries, Krungsri Research] 반면 전기오토바이(EV)의 경우, 여전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제한적이지만 2024년 판매량은 전년 대비 14.1% 증가한 2만5020대로 집계되며 성장세를 보였다. 시장 확대의 배경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있다. 태국 정부는 EV 3.0 및 EV 3.5 정책을 통해 전기오토바이 구매자에게 최대 1만 바트(약 43만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 확충과 세제 혜택도 병행하고 있다. 다만 배터리 가격, 충전 인프라 부족, 낮은 소비자 인식 등은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 정책의 드라이브와 글로벌 EV 확산 흐름은 향후 태국 전기오토바이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뒷받침하고 있다. <2022~2024년 태국 내 등록된 신규 전기오토바이(BEV)> (단위: 대) [자료: Statista, Thailand Automotive Institute] 태국 최대 배달·모빌리티 플랫폼인 Grab Thailand은 2024년 10월, 운전자들이 전기오토바이(BEV)를 임대해 음식 배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End-to-End EV Rental” 모델을 도입하며 방콕을 포함한 주요 도시에서 EV 임대 서비스를 확대했다. 이 서비스는 방콕, 파타야, 치앙마이, 코랏 등지에서 하루 138바트(약 6000원)의 요금으로 배터리 스왑, 보험, 유지보수까지 포함한 패키지를 제공해, 운전자들이 초기 비용 부담 없이 전기차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Grab Thailand에 따르면, 현재 이미 3000명 이상이 전기오토바이를 사용 중이며 향후 촌부리, 송클라, 우돈타니 등 다른 지역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행보는 태국 전기오토바이 시장이 정부 보조금에 의존하던 초기 단계를 넘어, 민간 모빌리티 플랫폼 주도의 실수요 기반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Grab Thailand, 태국 치앙마이 도시 내 전기오토바이 시범 운영 모습> [자료: Grab Thailand 기업 홈페이지] 태국 전기오토바이 주요 제조업체인 Deco Green Energy 관계자 C 씨는 KOTRA 방콕무역관의 인터뷰에서 “정부의 보조금 정책을 발판으로 전기오토바이 시장에서 자사 제품의 경쟁력을 빠르게 확대할 수 있었다”며, “특히 대표 모델인 Hannah는 보조금 적용 후 가격이 내연기관 스쿠터와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져 많은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태국뿐 아니라 아세안 전역으로 판매망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국 전기오토바이(BEV) 제조업체 Deco Green Energy 주요 모델인 Hannah> [자료: Deco Green Energy 기업 홈페이지] 시사점 Krungsri Research에 따르면 태국 오토바이 산업은 2025~2027년 동안 연평균 1.5~2.5%의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 규모는 연평균 약 194만~198만 대 수준으로 예측되며, 이는 글로벌 경기 변동성과 내수 소비 침체로 인해 등락을 반복했던 과거 흐름과 달리, 비교적 안정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내수 시장은 가계 경제 회복과 정부 정책 지원에 힘입어 점진적 성장이 기대되며, 수출 역시 세계 경기 반등과 더불어 연평균 1.0~2.0% 증가가 예상된다. 다만 산업의 중심축은 여전히 내연기관(ICE) 모델이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250cc 이하 소형 모터사이클은 가격 경쟁력과 연비 측면에서 저소득층과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한 수요를 유지할 전망이다. 반면 전기오토바이(EV)는 전체 시장 내 점유율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2024년 판매량이 전년 대비 14.1% 증가한 2만5020대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확인했다. 이는 정부의 EV 3.0 및 EV 3.5 정책, 최대 1만 바트의 보조금, 세제 감면, 그리고 배터리 스왑 인프라 확충이 맞물려 가능했던 성과다. 향후 EV 확산의 속도는 배터리 기술 발전, 충전 및 교환 인프라 구축 수준, 보조금 정책의 지속 여부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중국산 저가 EV의 본격적인 수입 가능성과 이에 따른 가격 경쟁 심화는 태국 내 기업에게 새로운 도전 요인이 될 수 있다. Grab Thailand이 도입한 전기오토바이 렌탈 모델과 같이 민간 모빌리티 플랫폼이 수요 확대를 주도하는 사례는 EV 시장이 정부 주도의 초기 단계를 넘어 실수요 기반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지 제조업체 역시 정부 보조금을 발판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태국뿐 아니라 아세안 시장 확대를 모색하고 있어, 향후 산업 전반에 걸친 EV 전환은 불가피한 흐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태국 오토바이 생산·판매 추이 및 2025–2027년 전망> (단위: 백만 대, %) [자료: The Federation of Thai Industries(FTI), Krungsri Research] 자료: Krungsri Research, ASEAN Automotive Federation, The Federation of Thai Industries, Statista, Thailand Automotive Institute, Grab Thailand, Deco Green Energy, 현지 언론 및 KOTRA 방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오토바이 산업, 전동화 물결에 올라타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작게·가볍게·친환경적으로…인도네시아 포장산업의 3대 키워드
							
						인도네시아 2025-09-26
- 
						
							2
						
						
							첨단 기술 도입에 '미소 디자인' 열풍…성장하는 베트남 치과 시장
							
						베트남 2025-09-26
- 
						
							3
						
						
							뉴트라슈티컬 시장의 성장…‘비타푸드 아시아 2025’에서 본 태국 건강기능식품 트렌드
							
						태국 2025-09-26
- 
						
							4
						
						
							[기고] 호주 환경·에너지 정책의 중추, DCCEEW 소개와 한-호 협력 가능성
							
						호주 2025-09-26
- 
						
							5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시장 동향
							
						인도네시아 2025-09-26
- 
						
							6
						
						
							'태국 메디컬 페어 2025'에서 본 아세안 의료기기 산업의 현재와 미래
							
						태국 2025-09-26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