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첨단 기술 도입에 '미소 디자인' 열풍…성장하는 베트남 치과 시장
  • 트렌드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유상철
  • 2025-09-26
  • 출처 : KOTRA

첨단 기술 도입, 심미 치과, 덴탈 투어리즘이 이끄는 베트남 치과 시장

디지털 장비, 고급 소재, 교육 시장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진출 기회 모색 필요

첨단 기술 도입과 디지털 전환으로 성장하는 베트남 치과 시장


리서치앤마켓(ResearchAndMarkets)은 2024년 베트남 치과 시장규모를 약 42억1000만 달러로 평가했으며, 시장이 연평균 4.75%씩 성장해 2030년에는 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최근 베트남 치과 전문 국립병원 발표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체 인구의 90%가 치과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예방 및 치료 수요 확대와 함께 관련 시장의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하지만 시장의 이면에는 구조적인 특징이 존재한다. 2024년 기준 베트남에는 약 3000개의 치과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독립적인 소규모 클리닉 형태로 시장이 매우 파편화돼 있다. 더 중요한 점은 이 중 ISO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시설은 약 10%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는 시설과 서비스 수준의 격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소비자들 사이에서 신뢰할 수 있는 표준화된 고품질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배경이 되고 있다.


<베트남 주요 치과 체인 현황>

연번

치과명

병원 수

홈페이지

1

KIM DENTAL

32

nhakhoakim.com

2

PARIS DENTAL

11

nhakhoaparis.vn

3

PW MEDICAL

15

nhakhoaparkway.com

4

SD HOSPITAL

11

malosaigondentalhospital.com

5

PEACE DENTISTRY

9

nhakhoapeace.com

6

DVA HOLDINGS

8

nhakhoadaisy.vn

7

I-DENT DENTAL

3

nhakhoaident.com

8

VIET PHAP DENTAL

7

lacvietdental.vn

[자료: 각 사 홈페이지 및 KOTRA 하노이 무역관]


현재 베트남에는 Kim Dental, Peace Dentistry, Nha Khoa Paris 등 대형 치과 체인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들 역시 치과용 현미경, 캐드캠(CAD/CAM), 콘빔 CT(cone-beam CT), AI 기반 진단 시스템, 로봇 임플란트 시스템 등 디지털 기술 도입에 적극적이다. 디지털 워크플로우 도입은 상담 및 보철물 제작 기간을 단축하고 시술 정확도와 환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으며, 하노이·호치민·다낭 등 주요 도시에서는 세라믹 보철물이 1~2일 내 완성될 정도로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이 자리잡았다.


스태티스타(Statista)는 2025년 베트남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11% 성장한 454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현지 대표 치과 체인 Kim Dental이 덴마크, 싱가포르 등 해외 투자자로부터 약 2000만 달러를 유치했고, 유명 P치과 역시 500만 달러를 투자받아 사업 확장과 시설 개선에 나서는 등 디지털 전환 흐름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2016~2030년 베트남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주: 2025년 이후는 전망치

[자료: Statista]


'미소 디자인'에 열광하는 베트남


소득 증가와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맞물리면서, 심미 치과 시술도 베트남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베트남 디지털 광고 플랫폼 기업 아딧마(Adtima)가 발표한 '2024 치과 케어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41%가 심미 치료에 일반 치료보다 2배 가량의 높은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선호하는 시술은 치아미백(23%), 교정(12%), 포세린 베니어(11%) 순으로 나타났다. 하노이 국립 치과 전문병원 관계자는 KOTRA 하노이무역관에 “베트남의 심미 치과 분야는 새로운 기술, 재료, 치료법의 빠른 도입에 힘입어 크게 성장했다”고 전했다. 


<2024년 베트남 소비자 치과치료 지불 의사 금액>

(단위: US$, %)

구분

최대 지불 의사 금액

증감률

일반 치료

356

37

심미 치료

600

37

[자료: Aditma(Aditima Audience Pulse & Zalo Ads)]


이러한 수요 확대에 발맞춰, 한국계 의료진이나 투자자가 운영하는 치과들도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일부 클리닉은 한국식 심미 치과 프로토콜과 신기술을 도입해 현지 환자들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또 다른 곳은 한국 의료진이 직접 진료를 맡아 한국식 임상 기준과 서비스를 강조하고 있다.


K-덴탈에 열리는 기회


베트남 치과 시장의 빠른 성장은 한국 관련 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고성능 디지털 장비와 AI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높고, 심미 치료의 인기로 임플란트, 지르코니아, 투명 교정 장치 등 고급 소재 시장이 유망하다. 또한, 시장이 다수의 소규모 클리닉 중심으로 형성돼 있어, 표준화된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형 프랜차이즈나 클리닉 체인의 성공 가능성도 크다.


더욱이, 남은 미국, 호주 등 주요 선진국 진료비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한 비용 경쟁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덴탈 투어리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매년 10만 명이 넘는 외국인 환자가 치과 치료를 위해 베트남을 방문하며 창출하는 수익은 연간 1억5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이처럼 내수와 해외 수요가 결합된 베트남 시장은 한국 기업에 더욱 매력적인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ResearchAndMarkets, 스태티스타, Aditma Audience Pulse & Zalo Ads, VNExpress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첨단 기술 도입에 '미소 디자인' 열풍…성장하는 베트남 치과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