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아미노산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5-10-15
- 출처 : KOTRA
-
발효∙효소 공정 기술로 고순도 아미노산 제품 개발 가속화
친환경∙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활용 확대
상품명 및 HS Code
아미노산은 탄소, 수소, 산소, 질소로 구성된 유기화합물로, 20종의 아미노산이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사용된다. 아미노산은 단백질 합성, 효소 생성, 호르몬 조절 등 생명체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하며, 통상 의약품, 사료, 식품, 건강보조식품 등 분야에 응용된다.
상품명
HS코드
(한글) 아미노산
(중문)氨基酸
292249
중국 아미노산 시장 규모 및 최근 동향
의약품, 식품 등 분야에서 아미노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 아미노산 시장 규모가 지속 확대되고 있다.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아미노산 업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8.2% 증가한 436억 위안(약 9조 원)에 달했다. 2023년 기준 중국의 아미노산 소비 비중은 전세계 50.4%를 차지한다. 화원증권연구소(华源证券研究所)에 따르면 중국 아미노산 응용분야에서 사료가 전체 시장의 60%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그 다음은 식품(25%), 의약 및 보건 제품(10%), 기타(5%) 순이다.
<중국 아미노산 시장규모 동향>
(단위: 억 위안)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아미노산은 단순한 영양소 생산을 넘어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생산 기술, 의료·제약 분야로의 고부가가치 응용, 지속가능한 자원 활용 등의 흐름으로 발전하고 있다.
1. 발효∙효소 기술의 발전
아미노산은 주로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공정으로 대량 생산된다. 최근에는 균주(미생물 종)를 개량하고, 효소 반응을 조절하는 기술이 크게 발전하면서 더 높은 순도와 생산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즉, 같은 양의 원료로 더 많은 아미노산을 뽑아낼 수 있어 원가를 줄이고 환경 부담도 낮출 수 있다. 안후이성에 소재한 화헝바이오(华恒生物)는 전통적인 아미노산 유산 발효에서 L-알라닌의 혐기성 발효* 생산을 실현해, 화학 공정에 비해 생산비를 50% 낮추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였다.
*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해 메탄, 이산화탄소, 알코올 등 화합물을 생성하는 과정
2. 아미노산 유도체의 의료·제약 분야 활용 확대
단순 아미노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아미노산 유도체라는 변형된 형태가 의료·제약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양 면역치료와 같은 첨단 치료법에서는 특정 아미노산 유도체가 면역 반응을 조절하거나 세포 대사를 돕는 보조제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제약업계에서는 고순도·고품질 아미노산 원료에 대한 요구가 커져, 불순물 관리와 국제 기준(GMP 등) 충족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아미노산 유도체는 기본 영양소에서 진화해 약으로도 쓰이는 고부가가치 소재로 자리잡고 있다.
3. 친환경, 지속가능성 중심 활용 확대
아미노산 산업에서도 친환경과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오염물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설비 개선과 신기술 투자가 늘고 있다. 사료 산업에서 기존의 대두박(soybean meal)은 대규모 경작에 따른 토양 황폐화, 살충제 및 비료 사용 증가, 탄소배출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어 합성 아미노산을 대체 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2024년 허난성 난양에 소재한 무웬그룹(牧原集团)은 약 1억4300만 위안을 투자해 사료에 합성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돼지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 영양을 충족시키고 대두박 사용량을 7.3% 줄였다.
경쟁동향
중국의 주요 아미노산 생산기업으로는 메이화그룹(梅花集团), 푸펑그룹(阜丰集团), 징하이(晶海) 등이 있으며 그 중 메이화그룹은 중국 내 아미노산 시장점유율 18%로 업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푸펑그룹(15%), Ajinomoto(8%) 등 로컬 및 외국 기업과 시장 점유율 차이가 크지 않아 경쟁이 치열하다. 중국 아미노산 시장에 진출한 해외 주요 국가로는 독일, 일본, 미국 등이 있다.
<중국 내 아미노산 주요 생산기업>
기업명
소개
MEIHUA GROUP
梅花集团

- 소재지: 시짱 라사(拉萨)
- 시장점유율: 18%
- 특징: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아미노산 생산 기업으로, 아미노산 연간 생산량은 400만 톤임. 내몽골(内蒙古), 신장(新疆), 지린(吉林) 등 지역에 생산공장 보유.
FUFENG GROUP
阜丰集团

- 소재지: 산둥 칭다오(青岛)
- 시장점유율: 15%
- 특징: 합성 생물 기술을 도입해 균주 발효 효율을 30-50% 향상시켜 생산비를 약 10-15% 절감함.
JINGHAI
晶海

- 소재지: 장쑤 우시(无锡)
- 시장점유율: 12%
- 특징: 세계적 수준의 아미노산 바이오 공학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순도 아미노산의 제조 핵심기술을 독자 개발함. 2023년 고순도 아미노산 생산 능력을 2,224톤까지 확대함.
Ajinomoto
(味之素 )

- 본사 소재지: 일본
- 중국 진출 연도: 1996년
- 진출 도시: 베이징(北京)
- 시장점유율: 8%
- 특징: 중국 상하이에 연구센터를 보유하고 있어 자사 기술을 중국 현지 제품에 적용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음. 상하이, 장쑤 등지에 아미노산 생산공장을 보유함.
EVONIK
赢创

- 본사 소재지: 독일
- 중국 진출 연도: 2002
- 진출 도시: 베이징(北京)
- 시장점유율: 5%
- 특징: 첨단 아미노산 분야에서 강력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로 고급 의약품과 건강보조식품 분야에 사용됨
[자료: 야오커췐(药课圈)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정리]
정책 동향
중국 정부는 아미노산 관련 기업의 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을 장려하고 사료 곡물의 공급 안정화를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중국 아미노산 산업 발전 관련 정책>
발표시기
정책명
주요내용
2024.2
사료 품질 안전 감독 관리 방안에 관한 통지
(饲料质里安全监管工作方案的通知)
조단백질 등 제품 품질 지표와 《사료첨가제 안전사용규범》에서 정한 아미노산을 비롯해 구리, 아연, 비타민 등의 품질 지표와 검사 방법 등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2023.12
산업 구조조정 지도목록
(产业结构调整指导目录)
발효공정 생산방식을 채택한 아미노산 제품의 개발, 생산, 응용 장려
2023.12
특수식용식품 중 아미노산 관리에 관한 공고
(关于特殊膳食用食品中氨基酸管理的公告)
영유아식품 및 기능성 식품 제조 시 아미노산 사용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아미노산을 단백질 원천으로 하는 희귀병 특수 처방 식품의 연구 개발 장려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정리]
수입 동향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국 아미노산 수입액은 전년 대비 26.4% 증가한 1억 1111만 달러 (약 1547억 원)이다. 주요 수입 지역은 프랑스, 싱가포르, 인도, 한국, 태국 순이다.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전체의 95%를 차지했다.
2024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27.6% 증가한 877만 달러(약 122억 원)로 국가별 수입액 4위를 차지했다.
<최근 3개년 중국 아미노산 국가별 수입동향 (HS CODE: 292249)>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4년/2023년
총계
97,306
87,897
111,109
26.4
1
프랑스
40,612
27,773
27,720
-0.2
2
싱가포르
12
10,408
27,451
163.7
3
인도
5,083
6,576
10,932
66.2
4
한국
9,834
6,878
8,776
27.6
5
태국
8,606
6,244
7,483
19.9
6
미국
9,429
5,599
6,669
19.1
7
브라질
5,582
7,760
6,311
-18.7
8
독일
4,369
6,817
5,126
-24.8
9
일본
4,090
3,911
3,263
-16.6
10
핀란드
1,845
1,477
1,424
-3.6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유통구조
중국 아미노산 판매 채널은 주로 직접판매, 트레이더 판매, 온라인 판매 등이 있다.
구분
설명
직접판매
아미노산 제조업체는 의약품 제제 기업, 식음료 제조업체, 사료 제조업체 등 고객과 직접 협력 관계를 구축해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판매 방식은 고객의 요구를 직접 파악하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중간 유통 단계를 줄여 판매 비용을 낮출 수 있다.
트레이더 판매
아미노산 시장에서 판매자와 소비자 간 가교 역할을 하며, 생산업체로부터 제품을 구매한 후 고객에게 판매한다. 트레이더는 넓은 유통망과 고객 자원을 가지고 있어 생산 업체가 시장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온라인 판매
전자상거래 플랫폼 판매가 점점 인기를 얻고 있으며, 온라인 판매 점유율은 10%를 차지한다. 생산업체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직접 최종 고객에게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이는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판매는 지역 제한 없이 판매 채널 확장이 가능하다.
[자료: 야오커췐(药课圈)]
관세율
중국 아미노산 관세율은 일반세율 20%, 최혜국 6.5%이며 한중 FTA 1.7%다. 관세율이 가장 낮은 한중 FTA 무역협정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5년 중국 수입 아미노산 관세율>
HS Code
관세율
일반세율
MFN(최혜국 세율)
한 중 FTA 세율
292249
20%
6.5%
1.7%
[자료: 중국 자유무역구 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인증제도
아미노산을 사료 첨가제로 수입하는 경우, 중국 농업농촌부에서 발급하는 《수입사료등록증》을 신청해야 한다. 이는 해외에서 생산된 사료 및 사료첨가제가 중국의 법규 요구를 충족하며, 중국 내에서 판매 및 사용이 허용됨을 증명하는 필수 허가증이다.
< 수입사료 등록증 개요>
명칭
수입사료등록증(进口饲料登记证)
발급기관
MARA(중국농업농촌부)
인증구분
강제
일반사항
중국 내 처음 수입되는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를 생산하는 해외 기업은 반드시 취득해야 함
절차
신청서류 제출▶서류 심사▶서류 통과▶샘플 측정▶샘플 통과 ▶인증서 취득▶사후 감독
준비서류
① 신청서
② 위탁서
③ 생산기업자질증명
④ 제품정보
⑤ 생산국 판매증명
⑥ 생산공예설명 및 품질관리체계 문서
⑦ 제품 표준
⑧ 라벨양식, 사용설명서 및 상표
기간
증거 발급기간: 약 4~5개월
증서 유효기간: 5년
[자료: NTEK]
시사점
중국 내 바이오 발효 기술, 효소 공학 기술 등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아미노산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아미노산을 응용한 원료 의약품의 생산 효율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생산 비용이 줄어들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오염 폐기물을 줄이고 대체 자원을 개발하는 등 친환경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아미노산 기업들은 이러한 시장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자료: 즈옌컨설팅(智研咨询], NTEK, 야오커췐(药课圈), 한국무역협회(KITA), 중국자유무역구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중국농업농촌부, 중국국가개발개혁위원회, 중국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및 KOTRA 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아미노산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탄소중립 시대, 중국 수소에너지 산업의 부상과 미래 트렌드
중국 2025-10-15
-
2
바이오의약 주요 기술로 활용되는 중국 합성생물 시장 동향
중국 2025-04-01
-
3
절약하는 가운데 미식 찾는 사람들...일본의 외식·식품 '메리하리' 소비
일본 2025-10-14
-
4
호주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아마존 성장과 성공 전략
호주 2025-10-15
-
5
호주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호주 2025-10-15
-
6
캐나다 고무 컨베이어 벨트 시장동향
캐나다 2025-10-15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