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소프트웨어 제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25-09-23
- 출처 : KOTRA
-
생성형 AI, 보안 소프트웨어 등 첨단기술 도입 활발
연구개발∙설계 영역 해외의존도 높으나, 경영관리 등 산업용 소프트웨어 국산화 진전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코드
(한글) 소프트웨어(SW)
(중문) 软件
852349
시장 규모 및 동향
중국공업정보화부(中国工业和信息化部)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소프트웨어 산업은 정보기술 서비스(67.1%)가 주도하며, 클라우드·빅데이터·AI 수요 확대로 서비스 중심 구조가 강화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22.2%)은 연구개발∙설계 영역에서 해외의존도가 높으나, 경영관리 등 분야에서 국산화가 진전 중이다. 임베디드*(9%)와 정보보안(1.7%) 소프트웨어는 각각 전기차, IoT, 스마트 가전 등 제조업 융합과 보안규제 강화에 힘입어 성장 중이다.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 각종 전자제품, 자동차, 의료기기 시스템에 내장돼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이 가운데 소프트웨어 제품 부문은 2024년 시장 규모가 3조417억 위안(약 588조 원)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ERP(기업자원계획), CRM(고객관계관리), SCM(공급망관리), HRM(인적자원관리) 등 산업용 소프트웨어의 2024년 시장 규모가 294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으며, OS(운영체제)와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등 기초 소프트웨어의 2024년 시장 규모는 191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2020~2024년 중국 소프트웨어 제품 시장규모>
(단위: CNY 억, %)

[자료: 중국 공업정보화부(中国工业和信息化部)]
최근 중국 소프트웨어 제품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이 발표한 《2024년 국가 정보화 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생성형 AI 기반 소프트웨어 제품의 서비스 등록 수는 302개, 사용자 수는 6억 명으로 엔터테인먼트, 문화콘텐츠, 의료상담 등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2025년 7월 알리바바 산하 AI 연구소인 퉁이 랩(通义, Tongyi Lab)은 오픈소스 영상 생성 시스템 Wan2.2를 출시했다. 조명, 색상, 구도 등 영화제작 핵심 요소를 정교하게 조절하도록 설계해 영상 화면 제작 효율을 높였으며, 이를 통해 영상 콘텐츠 생성에 필요한 자원 소비량을 50%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보안기술 및 개인정보 보호 관련 정책 강화로 클라우드·금융·의료·공공 분야에서 데이터 암호화, AI 위협 탐지 등 첨단기술 소프트웨어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알리 클라우드(阿里云, Ali Cloud)는 2025년 3월에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 보안접속 서비스) 기반 DLP(Data Loss Prevention, 데이터유출방지) 솔루션을 출시했다. 클라우드에 연동된 보안 네트워크 플랫폼에 암호화, 실시간 데이터 감시 및 내부 유출 차단 기능이 통합돼 있어 민감 데이터를 보호하고 정책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다.
중국은 자국 내 공급망 자립 차원에서 국산 데이터베이스 발전에 집중하고 있다. 기업용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플랫폼 ONES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정보기술 응용혁신 정책인 ‘신창(信创) 2.0’을 내세우며 소프트웨어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5년 기준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등 기초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율이 80%, 오피스 SW, ERP 시스템 등 응용 소프트웨어의 국산화율이 50%에 달할 전망이다.
* 신창(信创) 2.0: 중국의 정보 기술 분야에서 안전한 기술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는 정보기술 응용 혁신 정책
수입동향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중국 소프트웨어 수입액은 전년 대비 15.1% 증가한 23억9700만 달러(약 3조3308억 원)이다. 주요 수입국은 아일랜드, 미국, 독일, 영국, 네덜란드, 일본, 싱가포르 순이다.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전체 수입액의 79.4%를 차지했다.
2024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7.3% 감소한 3558만 달러(약 500억 원)로 국가별 수입액 12위를 차지했다.
<중국 소프트웨어(HS Code: 852349)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율
('24/'23 기준)
2022년
2023년
2024년
총계
2,231,658
2,083,032
2,397,007
15.1
1
아일랜드
698,872
638,782
704,245
10.2
2
미국
327,114
245,838
353,279
43.7
3
독일
203,795
233,176
249,338
6.9
4
영국
85,879
213,753
185,459
-13.2
5
네덜란드
34,681
60,101
97,975
63.0
6
일본
99,033
76,332
88,262
15.6
7
싱가포르
80,807
52,134
73,470
40.9
8
이스라엘
51,920
43,385
69,270
59.7
9
말레이시아
63,117
21,854
42,816
95.9
10
에스토니아
13,789
40,072
38,615
-3.6
12
한국
78,087
43,042
35,581
-17.3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경쟁 동향
중국 소프트웨어 제품 시장은 분야별로 현지 기업의 점유율이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연구개발 및 설계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해외 기술 의존도가 여전히 높다.
INSIGHT AND INFO(观研报告网)에 따르면, 2023년 기준 CRM 등 경영 관리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현지 기업이 약 7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지 업무 관행과 규제에 맞춘 설계, 저비용 SaaS 모델, 텐센트∙알리바바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디지털 생태계와의 연동성이 특징이다. 다만 고급 산업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중국기업들의 핵심 알고리즘 연구 축적이 부족해 기술 개발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SAP, Oracle 등 다국적 기업들이 특허와 표준을 선점하고 있다.
생산제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중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약 60%에 달한다. ZWSOFT(中望软件), SUPCON(中控技术) 등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후발기업들이 기술 장벽을 지속적으로 극복하며 국산 대체를 추진하고 있다. 우한에 소재한 화중수쿵(华中数控)은 자체 개발한 신경망 알고리즘과 DeepSeek의 대형 언어모델을 결합해 자율학습 기능을 갖춘 지능형 수치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운영 및 유지보수 소프트웨어 분야의 중국 기업 점유율은 50%로, 외국 기업과 경쟁이 치열하다. 소프트웨어 제품 연구개발 및 설계 분야는 개발 난이도가 높고 개발 주기가 길며, 자금 수요가 높아 중국 기업의 해외의존도가 높다. 다쏘시스템(프랑스), 지멘스(독일), PTC(미국) 등 외국계 기업의 점유율이 연구개발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
주요기업
내용
CSS
(中国软件)

- 설립연도: 1994년
- 본사 소재지: 베이징(北京)
- 주요업무: SW 제품, 산업용 SW 솔루션, 서비스형 비즈니스
- 특징: LINUX 운영체제와 오피스 SW 보유, 주로 SW 개발, 전자 신분증, 데이터 보안, 사이버 보안, 클라우드 컴퓨팅 등 분야에 활용
Sugon
(中科曙光)

- 설립연도: 2006년
- 본사 소재지: 베이징(北京)
- 주요업무: SW개발,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 통합
- 특징: 중국 초고성능 컴퓨팅 및 액체냉각 데이터센터 선도기업으로, 주로 IT 인프라에 활용
ARCHERMIND
(诚迈科技)

- 설립연도: 2006년
- 본사 소재지: 난징(南京)
- 주요업무: SW, 정보기술서비스
- 특징: 이동통신 단말기, 차량 SW 분야에서 아웃소싱 서비스 제공
HUNDSUN
(恒生电子)

- 설립연도: 2000년
- 본사 소재지: 항저우(杭州)
- 주요업무: 기업 금융 및 보험 SW
- 특징: 금융 SW 시장 선도기업으로, 주로 핀테크,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분야에 활용
VASTDATA
(海量数据)

- 설립연도: 2007년
- 본사 소재지: 베이징(北京)
- 주요업무: SW, 정보기술서비스
- 특징: 데이터 관리 제품, 시스템 서비스 등 데이터 기술 분야에 활용
KINGSOFT OFFICE
(金山办公)

- 설립연도: 2011년
- 본사 소재지: 베이징(北京)
- 주요업무: 오피스 SW
- 특징: 전자 사무 업계 선도기업으로, 오피스 SW 분야 연구개발 경력을 토대로 이메일, 음성 인식 등 분야에 활용
TAIJI
(太极股份)

- 설립연도: 1987년
- 본사 소재지: 베이징(北京)
- 주요업무: 클라우드 서비스, 사이버 보안, APP, 시스템 통합 서비스
- 특징: 정보 시스템 통합 및 스마트 시티 사업 부문을 주력으로 하며, 공공 안전 분야에 활용
Tongfang Tech
(东方通)

- 설립연도: 1997년
- 본사 소재지: 베이징(北京)
- 주요업무: 산업용 SW, 보안 SW 제품
- 특징: 데이터 및 사이버 보안, 산업용 인터넷 SW, AI, VR, 5G,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분야에 활용
[자료: 남방재부망(南方财富网)]
관련 정책
중국 정부는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표준화 발전 및 기술 혁신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를 위해 AI 소프트웨어 기술 요구 사항을 표준화하고, 소프트웨어 종사 기업에 세수 우대 정책을 적용하며 산업 기술 기초 능력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관련 중국 정부 정책>
발표시기
정책명
주요내용
2024.6.
국가 인공지능 산업
종합 표준화 체계 건설 지침
(关于印发国家人工智能产业
综合标准化体系建设指南)
- 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시, 소프트웨어 컴파일러 구조와 최적화 방법, AI 연산자 정의, 칩 소프트웨어 디버깅 도구, 계산 성능 측정 기준 등을 표준화
2024.3.
우대 세수정책을 적용받는 소프트웨어 기업
목록 작성에 관한 요구 사항에 대한 통지
(关于做好享受税收优惠政策的软件企业
清单制定工作有关要求的通知)
- 개발 및 설계용 산업 소프트웨어, 생산 제어용 산업 소프트웨어, 경영 관리용 산업 소프트웨어 등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은 세수 우대 정책을 적용받을 수 있음
2023.2.
품질 강국 건설 강령
(质量强国建设纲要)
- 범용 기초 소프트웨어, 산업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고, 산업품질 분석제어 소프트웨어의 핵심 기술 개발을 독려
- 기술 혁신 및 표준 제정, 성과 측정 및 평가, 지식재산권 및 산업 데이터 관련 기반 강화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유통구조
소프트웨어는 직접 판매나 에이전트, 온라인 판매 등 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배포되고 있다. HR 관리 등 복잡한 SW의 경우 직접 방문 판매하는 경우가 많으며, ERP 등 비교적 구현이 쉬운 제품들은 주로 에이전트를 통해 배포하고 있다.
<중국 소프트웨어 시장 판매 채널>
구분
소개
직접
판매
- 소프트웨어 기업이 고객과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기업 판매 담당자는 전화, 이메일, 방문 등 방법을 통해 고객에게 소프트웨어의 기능, 장점, 가치를 소개할 수 있음
- 고객과 심도 있는 소통을 할 수 있으며, 고객 애로를 즉시 해결하고 좋은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음
- 기능이 복잡하고 맞춤화 요구가 높은 대형 기업용 소프트웨어는 보통 직접 판매 방식을 채택함
에이전트
판매
- 소프트웨어 기업이 에이전트와 협력해 에이전트가 관할 지역에서 소프트웨어를 홍보하고 판매하도록 함
- 에이전트는 넓은 고객층과 판매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어 시장을 빠르게 개척할 수 있음
-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자신의 니즈에 부합하도록 에이전트의 판매 활동을 관리/감독할 수 있음
온라인
판매
- 기업은 자사 공식 웹사이트, 징둥(京东), Amazon, 당당왕(当当网)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소프트웨어를 전시하고 판매할 수 있음
- 인터넷 판매는 비용이 적고, 활동 범위가 넓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많은 잠재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음
[자료: 허쉰펀드(和讯基金)]
관세 및 수입 규제
① 관세율
HS Code 847950으로 분류되는 소프트웨어 제품은 일반세율이 130%고, 최혜국 세율과 한-중 FTA 세율은 모두 0%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최혜국 세율과 한-중 FTA 세율 중 하나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024년 중국 소프트웨어 관세율>
(단위: %)
HS Code
관세율
일반세율
MFN(최혜국 세율)
한-중 FTA 세율
847950
130
0
0
[자료: 중국 자유무역구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② 인증 제도
중국에서 수입 소프트웨어를 운영하려면 ICP 비안(备案) 등록이 필수적이다. 또한, 중국에서 판매되는 수입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그 합법성과 저작권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저작권 등록을 해야 한다. 소프트웨어가 특정 업계나 분야와 관련이 있다면, 시장 경쟁력과 고객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중국 소프트웨어 평가 센터 인증(中国软件评测中心认证), 사이버보안 전용 제품 안전검사 등 추가 인증이 필요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운영 관련 인증 정보>
구분
내용
ICP 등록
- 발급기관: 중국산업정보화부(中国产业信息化部)
- 발급대상: 수입 소프트웨어를 중국 내 유통하기 위한 웹사이트, 모바일 앱, 클라우드 서비스 등 운영 기업
- 신청절차: 중국 법인 명의로 신청(지분 50% 이하인 외자 기업 신청 가능) → 신청 접수 → 심사 → ICP 번호 발급
- 소요기간: 비영리형 1~2주, 영리형 2~3개월
저작권 등록
- 발급기관: 중국저작권보호센터(中国版权保护中心)
- 발급대상: 강제사항은 아니나,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기업이 필수사항으로 간주해 신청
- 신청절차: 자료 준비 → 신청 접수 → 심사 → 공고 → 증서 발급
- 소요기간: 5일
중국 소프트웨어 평가 센터 인증
- 발급기관: 중국소프트웨어평가센터(中国软件评测中心)
- 필요대상: 공공·금융·통신·에너지·교통·의료 등 국가 전략 산업 및 공공 프로젝트에 참여하려는 기업
- 신청절차: 자료 준비 → 신청 접수 → 제품 테스트 → 인증 심사 → 인증서 발급
- 소요기간: 1~2주
사이버보안 전용 제품 안전검사
- 발급기관: 정보안전인증센터(信息安全认证中心)
- 필요대상: 공공기관·금융·통신망 등에 공급되는 보안 제품
- 신청절차: 기업 및 제품 자격 확인 → 신청 접수 → 안전성 테스트 → 심사 → 허가증 발급 → 사후 관리
- 소요기간: 3~4개월
[자료: 발급기관 홈페이지]
시사점
중국 소프트웨어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AI 기술과 보안 분야의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핵심 설계 및 연구개발 영역은 해외기술 의존도가 높으나, 중국 정부는 생산 효율화, 공급망 안정, 기술 자립, 산업데이터 축적 등을 목적으로 국산화 전략을 꾀하고 있기에 2025년까지 중국의 소프트웨어 자급률은 5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산업용 소프트웨어는 중국의 제조업 디지털화와 스마트 팩토리 구축의 핵심 도구인 만큼 ERP 등 경영관리 분야에서 국산화가 진전되고 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이와 같은 시장 동향을 주시해야 한다. ICP 비안 등록과 소프트웨어 저작권 등록 등 필요한 인증 절차를 준수해 시장에 진입해야 하며, 고객 신뢰도를 높이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자료: 중국공업정보화부(中国工业和信息化部), 중국소프트웨어협회, 한국무역협회(KITA),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INSIGHT AND INFO(观研报告网), 남방재부망(南方财富网), 허쉰펀드(和讯基金), 자유무역구 서비스망(中国自由贸易区服务网), KOTRA 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소프트웨어 제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모잠비크 최대 종합박람회 FACIM 현장 참관기
모잠비크 2025-09-23
-
2
중국 메모리 반도체 시장동향
중국 2025-09-23
-
3
2025 인도 신발산업 정보
인도 2025-09-16
-
4
싱가포르 HDB 홈카페(Home Café) 트렌드 확산, 소형가전·주방용품 수요 증가
싱가포르 2025-09-23
-
5
스웨덴 로봇산업, 국가의 성장동력으로 작동하다
스웨덴 2025-08-01
-
6
중국 ‘전민건강(全民健身)’ 정책과 스포츠용품 산업 트렌드
중국 2025-09-23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