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덜란드, 대기오염 물질 배출 목표 조기 달성
- 트렌드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
- 2025-09-24
- 출처 : KOTRA
-
2005년 대비 대기오염 물질 최대 배출 한도 설정
2030년 유럽연합(EU)의 국가배출감축약속 지침 조기 달성
네덜란드, 대기오염 물질 감축 목표 조기 달성
네덜란드는 유럽연합(EU) 국가배출감축약속 지침(NECD)에 따라 2005년 대비 주요 대기오염 물질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EU 기준에 따르면 2030년까지 질소산화물(NOx) 61%, 비메탄 휘발성 유기화합물(NMVOC) 51%, 이산화황(SO₂) 82%, 미세먼지(PM2.5) 59%를 줄여야 한다.
네덜란드 통계청(CBS)에 따르면, 네덜란드는 이미 대부분의 배출 감축 목표를 조기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은 151.8만 kg으로 2005년 대비 61.7% 줄어들며 2030년 목표치인 154.7만 kg을 밑돌았다. 같은 기간 미세먼지(PM2.5) 배출량도 28.4만 kg에서 13.5만 kg으로 절반 이하(52.5%)로 감소했다.
이러한 성과는 네덜란드 정부가 추진하는 2040년 국민 건강 목표와도 맞닿아 있다. 보건복지체육부(VWS)는 2040년까지 모든 시민의 건강 수명을 5년 연장하고 사회적 건강 격차를 3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만성질환자·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25% 늘리고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25% 개선한다는 구체적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은 호흡기·심혈관 질환을 유발해 건강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출 감축은 이러한 국가적 목표 달성의 핵심 과제로 꼽힌다.
<대기오염물질 연도별 배출량>
(단위: 백만 kg)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운송 부문 감축이 성과 견인
대기오염 물질 중 질소산화물(NOx)은 주로 운송 부문에서 배출된다. 2024년 네덜란드의 질소산화물(NOx) 총배출량은 1억1230만 kg으로, 이 가운데 7810만 kg(63.1%)이 운송 부문에서 발생했다. 다만 이는 2005년 2억470만 kg에서 61.8% 줄어든 수준으로,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강화와 전기차 보급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부문별 질소산화물 연도별 배출량 추이>
(단위: 백만 kg)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실제로 네덜란드의 전기차 확산 속도는 빠르다. 2025년 4월 기준 승용차 등록 대수는 총 930만 대로, 이 중 플러그인 자동차가 100만4000대를 차지했다. 이는 네덜란드 승용차 10대 중 1대 이상이 플러그인 차량임을 의미한다. 플러그인 차량에는 순수 전기차(59만4000대)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41만 대)가 모두 포함된다.
<연도별 플러그인 승용차 대수>
(단위: 백만 대)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가구 부문은 미세먼지의 주요 배출원
미세먼지(PM2.5) 배출은 가구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24년 전체 미세먼지(PM2.5) 배출량 1250만 kg 중 570만 kg(45.6%)이 가구 부문에서 발생했으며, 주로 벽난로와 스토브의 장작 연소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다만, 2005년 대비 가구 부문의 배출량은 3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운송 부문 배출량은 850만 kg에서 220만 kg으로 74.1% 줄었는데, 이는 신차 배출 규제와 미세먼지 필터 적용의 효과가 컸다.
<미세먼지 배출량>
(단위: 백만 kg)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시사점
네덜란드는 2005년 이후 대기오염 물질을 지속적으로 줄여 2024년 기준 이미 유럽연합(EU)의 2030년 목표를 충족했다. 이는 △엄격한 법적 규제 △저공해 차량 보급 확대 △산업·가정·농업 등 다양한 부문의 배출 관리 △투명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함께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네덜란드 환경평가청(Planbureau voor de Leefomgeving, PBL)의 담당자 S씨는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네덜란드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 목표 조기 달성은 환경 정책과 실행에서의 체계적이고 선도적인 접근 덕분"이라며, "기업과 시민 사회의 일관된 협조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위와 같은 네덜란드의 사례는 법제화된 감축 목표 설정과 정책 추진, 그리고 전기차 보급 및 친환경 기술 도입이 결합할 경우 대기질 개선과 국민 건강 증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도 유의미한 참고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rijksoverheid.nl, rvo.nl, rivm.nl, fd.nl, pbl.nl, eea.europa.eu,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네덜란드, 대기오염 물질 배출 목표 조기 달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폴란드 핀테크 시장, 결제 혁신과 보안 리스크의 교차점
폴란드 2025-09-24
-
2
베트남 스포츠웨어 시장 동향
베트남 2025-09-24
-
3
요르단 중고 의류 시장 동향
요르단 2025-09-24
-
4
중국 ‘전민건강(全民健身)’ 정책과 스포츠용품 산업 트렌드
중국 2025-09-23
-
5
중국 소프트웨어 제품 시장 동향
중국 2025-09-23
-
6
장보기부터 시작하는 요리는 이제 그만? 인도 식품가공산업 동향
인도 2025-09-23
-
1
2025년 네덜란드 농업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5-08-05
-
2
2024년 네덜란드 모빌리티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4-03-29
-
3
2023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10-20
-
4
2023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08-01
-
5
2021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2-01-03
-
6
2021년 네덜란드 반도체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