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도 조절 들어간 네덜란드 해상 풍력 발전
- 트렌드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
- 2025-09-02
- 출처 : KOTRA
-
유럽기후법 목표 달성 위한 해상 풍력 발전
해상 풍력 발전 단지 설치 비용 상승
해상 풍력 현황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해상 풍력 분야를 선도하는 국가로, 북해를 활용한 대규모 풍력 발전은 국가 전력의 지속 가능성과 에너지 자립을 뒷받침하는 핵심 기반이다. 해상 풍력은 유럽기후법과 파리기후협약 등 국제적 기후 목표 달성에도 필수적이며,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도 있다. 특히 북해 지역은 지리적·기후적 조건이 풍력 발전에 매우 적합해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제성이 높다.
2024년 네덜란드의 에너지 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19.8%로, 전년(17.4%)보다 2.4% 증가했다. 이는 새로 가동된 해상 풍력 발전 단지의 기여가 크다. 재생에너지 비중은 최근 5년 사이 두 배 이상 늘어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총에너지 소비량은 2024년에 1807페타줄(PJ)로, 2023년 대비 1% 증가했다. 이 가운데 재생에너지 소비는 358PJ로 전년보다 15% 늘었다. 주요 재생 에너지원은 바이오매스(121PJ, 6.7%)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풍력(116PJ, 6.4%), 태양광(78PJ, 4.3%) 순이었다. 재생에너지는 주로 전력 생산(60%)에 사용되며, 건물 냉난방(28%)과 수송용 연료(12%)에도 활용된다.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이 20%에 가까워진 것은 기후 정책 관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다. 그러나 2030년까지 유럽연합이 요구하는 온실가스 55%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면 앞으로 6년 동안 현재 규모의 두 배 이상 성장이 필요하다는 과제가 남아 있다.
<총 에너지 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율>

* 주: 통계적 이전(statistical transfer)이란 EU의 재생에너지 지침(Renewable Energy Directive, RED)에 따라 다른 EU 회원국으로부터 구매한 재생에너지이며, 실제 에너지의 물리적 이동이 없이 통계 상으로만 이전됨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해상풍력
2024년 네덜란드에서 소비된 재생에너지 전력은 216PJ로, 2023년보다 12% 증가했다. 이는 전체 전력 소비량의 절반가량이 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비롯됐음을 의미한다. 풍력 발전 전력 소비는 2023년(116PJ)보다 20% 늘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은 육상 풍력 터빈에서, 나머지는 해상 풍력 터빈에서 생산됐다. 풍력 에너지 증가의 핵심 요인은 해상 풍력 터빈의 대규모 확충이다.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 재생에너지원의 전력 생산량은 2024년에 610억 kWh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반면, 화석연료 기반 전력 생산은 4% 줄었다. 이로써 재생에너지원이 전체 전력 생산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게 됐다. 특히 4월에는 화창하고 바람이 많이 불어 재생에너지 비중이 63%에 달했다.
2024년 태양광 발전량은 전년보다 9% 늘었지만, 증가 폭은 크지 않았다. 이는 태양광 패널 신규 설치가 전년도보다 적었고, 2024년 일조량이 2023년보다 줄어든 데 따른 결과다.
<총 전력 소비량 중 재생 에너지 비율>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풍력 발전 전력 13% 증가
2024년 네덜란드의 풍력 발전 전력은 전년 대비 13% 늘어나 327억 kWh에 달했다. 육상 풍력 발전 단지의 생산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해상 풍력 발전 단지는 전년 대비 32% 증가해 150억 kWh를 기록했다. 이는 육상 풍력 단지의 설비 용량이 소폭 늘어난 데 비해, 해상 풍력 단지 용량이 전년 대비 19% 증가해 4.7GW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풍력 발전은 보통 12월부터 2월까지 겨울철에 가장 활발하다. 실제로 2024년 겨울 동안 생산된 전체 전력의 3분의 1 이상이 풍력 에너지에서 공급됐다.
<재생에너지원별 전력 생산량>
(단위: kWh 십억)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해상 풍력 2032년 목표
네덜란드 정부는 2032년까지 해상 풍력 발전 설비를 21GW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최근 Hollandse Kust(West), IJmuiden Ver 등 대형 신규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2024년에는 IJmuiden Ver Alpha와 Beta 구역(각 2GW 규모) 입찰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2025년 8월 현재 가동 중인 해상 풍력 설비 용량은 4.7GW이고, 5.5GW 규모의 설비가 공사 중이다. 또한, 정부는 2032년까지 11.5GW를 추가로 설치하는 종합 계획을 마련했다.
<2032년까지 네덜란드 북해 해상 풍력 발전 종합계획>

[자료: 네덜란드 기업청(RVO)]
해상 풍력 설치 용량 2040년 목표
네덜란드 정부는 애초 2040년까지 해상 풍력 설치 용량을 50GW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2025년 7월, 정부는 이 목표가 비현실적이라고 판단하고 ‘북해 풍력 에너지 인프라 계획(Windenergie Infrastructuurplan Noordzee, WIN)’에 따라 2040년 목표치를 기존 50GW에서 30GW로, 최대 40% 낮추는 조정을 발표했다.
이러한 조정은 투자, 에너지 자립, EU 기후 목표 달성에 일정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해상 풍력 단지 건설 비용 상승, 전기화 속도의 둔화, 녹색 수소 시장 성장 지연 등 현실적인 산업 여건을 고려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
<네덜란드 해상 풍력 설치용량 연도별 목표>
실현 연도
최소 이행계획
최대 이행계획
결정 연도
2032
기존 종합계획 21GW
기존 확정
2033
Doordewind II, 2GW
기존 확정
2036
0GW
4GW
2026
2037
2GW
4GW
2027
2038
2GW
4GW
2028
2039
2GW
4GW
2029
2040
2GW
4GW
2030
총계
30GW
40GW
[자료: 네덜란드 기업청(RVO)]
풍력 발전기 수출입 동향 및 수출입 규모
2024년 네덜란드의 풍력 발전기 수입액은 전 세계 기준으로 244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대비 무려 99.5% 감소한 수치다.
국가별로 보면, 독일에서의 수입액이 63만5000달러로 26%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99.9% 줄어들었다. 이어 덴마크에서 39만5000달러, 중국에서 37만5000달러를 각각 수입했다. 한편,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22년에 3000달러를 기록한 이후 현재까지 추가 기록은 없다.
<풍력 발전기(HS Code 8502.31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24 기준)
증감률
('24/’23)2022
2023
2024
전 세계
551,185
470,911
2,440
100.0
-99.5
1
독일
464,055
417,632
635
26.0
-99.9
2
덴마크
60,340
51,118
395
16.2
-99.2
3
중국
25,075
226
375
15.4
65.9
4
인도
-
126
336
13.8
167.7
5
영국
18
62
269
11.0
331.5
6
미국
59
7
237
9.7
3092.3
7
아일랜드
98
13
86
3.5
562.2
8
대만
-
76
37
1.5
-51.2
9
프랑스
119
68
10
0.4
-85.8
10
핀란드
21
14
8
0.3
-39.4
37
한국
3
-
-
-
-
* 주: 자료원에서 조회 불가한 경우 "-"로 표기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8.26.)]
2024년 네덜란드의 풍력 발전기 총수출액은 2928만6000달러로, 2023년보다 53.9%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영국이 1007만3000달러로 가장 많아 전체의 34.4%를 차지했다. 이어 튀르키예가 577만6000달러, 이탈리아가 529만5000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한국으로의 수출 실적은 없었다.
<풍력 발전기 (HS Code 8502.31 기준) 수출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출액
점유율
('24 기준)
증감률
(‘24/’23)2022
2023
2024
전 세계
39,357
63,578
29,286
100.0
-53.9
1
영국
551
9,508
10,073
34.4
6.0
2
튀르키예
-
2
5,776
19.7
249666.2
3
이탈리아
24,496
10,950
5,295
18.1
-51.6
4
그리스
29
29
2,664
9.1
9190.2
5
독일
2,019
2,481
1,489
5.1
-40.0
6
벨기에
281
153
704
2.4
360.0
7
스페인
508
814
695
2.4
-14.5
8
프랑스
5,911
2,129
421
1.4
-80.2
9
스웨덴
470
55
307
1.0
454.7
10
덴마크
1,388
1,453
263
0.9
-81.9
* 주: 자료원에서 조회 불가한 경우 "-"로 표기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8.26.)]
시사점
네덜란드 정부는 2019년 기후협정(2019 Climate Agreement)에서 1990년 대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49% 줄이고, 2050년까지는 95%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2023년 7월, 이 목표를 상향해 2030년까지 55% 감축, 2050년까지는 100% 감축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서는 해상 풍력 발전 설비 확대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최근 인플레이션과 고금리로 인해 풍력 발전 단지 건설 비용이 크게 상승했고, 산업의 지속가능성 전환도 기대보다 더딘 상황이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 정부는 해상 풍력 단지 증설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
한편, 네덜란드 풍력 발전기 개발회사 L 사의 J 씨는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재생에너지가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이 생산될 경우, 이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 기반 에너지저장시스템이 필요하다”라며, “배터리를 자체 개발·생산하는 한국 기업들이 현지 파트너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적극 참여한다면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료: 네덜란드 통계청(CBS), 네덜란드 기업청(RVO), 네덜란드 풍력산업협회(Holland Home of Wind Energy), Nedzero, NOS, FD, Global Trade Atlas,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속도 조절 들어간 네덜란드 해상 풍력 발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네덜란드, 차세대 태양광 기술로 유럽 시장에서 재도약 모색
네덜란드 2025-09-02
-
2
태국 트랜지스터 시장 동향
태국 2025-09-02
-
3
2025년 이탈리아 조선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5-09-02
-
4
영국 가정용 냉장·냉동기기 시장은 성장 중, 에너지 효율·친환경 주목
영국 2025-09-02
-
5
2025년 하반기 중국 경제 전망
중국 2025-09-02
-
6
2025 호주 시드니 뷰티 엑스포, 호주 시장이 주목한 웰니스와 K-뷰티
호주 2025-09-02
-
1
2025년 네덜란드 농업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5-08-05
-
2
2024년 네덜란드 모빌리티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4-03-29
-
3
2023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10-20
-
4
2023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08-01
-
5
2021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2-01-03
-
6
2021년 네덜란드 반도체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