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명,최종업데이트,mticode,hscode,국가,무역관,제도명,인증구분,인증유형,인증마크,도입시기,근거규정,제도내용,품목정의,적용대상품목,확대적용품목,인증절차,시험기관,인증기관,유의사항 항목 순으로 인증정보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표
| 품목 명 |
항공기 부품 |
최종 업데이트 |
2025-09-05 |
| MTI CODE |
|
HS CODE |
880730 |
| 국가 |
영국 |
무역관 |
런던무역관 |
| 제도 명 |
CAA Form 1 (Civil Aviation Authority Form 1, 항공 부품 적합성 증명서) |
| 인증 구분 |
강제 |
인증 유형 |
현행 |
| 인증마크 |
|
| 도입시기 |
- 영국이 EU 항공안전청(EASA) 체계에서 이탈함에 따라 2021년 1월 1일부로 기존 EASA Form 1을 대체하는 영국 항공안전청(Civil Aviation Authority, CAA)의 UK Authorised Release Certificate(ARC) 제도 도입
* UK Authorised Release Certificate(품질·적합성 보증 문서) 역할을 할수 있는 표준 문서로 UK CAA(영국 민간항공청) Form 1을 제정
- 이에 따라 2020년 12월 31일 이전에 발급된 EASA Form 1은 과도기적으로 최대 2년간 영국 내에서 인정되었으나, 현재는 특별한 예외가 없는 한 CAA Form 1만 유효
- 한국 기업이 영국 항공사나 정비(MRO) 업체에 항공기 부품을 수출하려면 반드시 CAA Form 1 인증을 직접 취득하거나, CAA 인증 권한을 보유한 영국·제3국 업체를 통해 인증을 받아야 함 |
| 근거 규정 |
Regulation (EU) No 748/2012 (Annex I – Part 21), UK 법령으로 유지
|
| 제도 내용 |
항공기 부품·구성품·조립품이 항공기용으로 적합함을 인증하기 위해 영국 항공안전청(CAA)이 발급하는 공식 표준 문서로, 항공기 부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증하는 적합성 증명서(Release Certificate)
해당 문서는 부품이 영국의 비행 감항성* 기준에 따라 생산·검사되었으며, 항공기 운영 과정에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역할을 하여 영국 내 항공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증 제도임
*감항성(Airworthiness) : 항공기 또는 항공기 부품이 설계·제작·정비 등 모든 요건을 충족하여 비행 중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상태를 뜻함 |
| 품목정의 |
항공기와 관련된 부품, 구성품, 조립품 등 항공기 안정성과 감항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모든 부품 |
| 적용대상품목 |
1. 설계 승인된 항공기/엔진/프로펠러 주요 부품
- 항공기 주요 구조 부품(wing spar, fuselage frame, landing gear 등)
- 엔진 및 프로펠러 어셈블리 및 핵심 부품
2. Life-limited parts (수명 제한 부품)
- 사용 시간·횟수가 제한된 부품
(예: 터빈 블레이드, 디스크, 랜딩기어 주요 구성품, 헬리콥터 로터/기어박스)
3. Critical parts (중요 안전 부품)
- 비행 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부품
(예: flight control system 부품, 연료·유압계통의 주요 안전 관련 부품)
4. Appliances (장착 장비)
- 항공전자 장비: avionics, radios, autopilot, GPS, transponder 등
- 계기류: instruments, flight display
- 안전 장비: ELT(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TCAS, weather radar 등
5. TSO/ETSO 승인 장비
- Technical Standard Order(미국 FAA) 또는 European TSO(EASA) 절차에 따라 승인된 모든 항공기 장착 장비
|
| 확대적용품목 |
|
| 인증절차 |
CAA Form 1 발급 기본 절차
1. POA(Production Organisation Approval) 신청
- 제작사가 CAA에 제작 권한 승인(POA) 신청을 제출
2. CAA 심사
- 문서 심사: 품질 매뉴얼, 절차, 운영 체계 검토
- 현장 심사: 조직 운영, 품질 관리 시스템, 작업장 및 공구, 인력 자격 등을 직접 점검
3. POA 승인서 발급
- 모든 요건 충족 시, CAA가 승인서(Approval Certificate) 발급
4. CAA Form 1 작성 및 발행
- 승인서를 받은 제작사 내 지정된 서명 권한자(Authorised Signatory)가 Form 1 작성·서명
- 전자 발행 시 CAA 전자 서명 시스템을 운영 매뉴얼(Exposition)에 포함하고, 이를 CAA에 송부
* Exposition: POA 보유 조직의 운영 체계, 절차, 책임, 권한, 품질보증 방식을 문서화한 공식 매뉴얼
5. CAA Form 1 제공 및 기록 관리
- 부품과 함께 CAA Form 1을 고객사(항공사, 정비사 등)에 제공 → 해당 부품의 감항성 이력과 신뢰성 증명
- Form 1은 제작사·고객사·감항 당국 모두가 추적 가능하도록 기록 보관 |
| 시험기관 |
UK CAA로부터 POA(Production Organisation Approval) 승인을 받은 조직 내 지정된 서명 권한자(Authorised Signatory, CAA 가 승인한 교육/자격 보유 필수)가 서명 |
| 인증기관 |
UK CAA(Civil Aviation Authority, 항공안전청) |
| 유의사항 |
1. POA 보유 필수
- 제조사는 반드시 UK CAA의 POA(Production Organisation Approval)를 보유해야 하며, POA 없이 CAA Form 1 발급은 불가함
- POA는 항공기 부품 생산조직 인증으로, Part-21 Subpart G 규정에 따라 생산 전 과정이 품질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됨을 입증하는 제도임.
* 과거에는 EASA가 유럽 전역의 POA를 관할했으나, 브렉시트 이후 영국 내에서는 UK CAA가 단독 권한을 보유하고 있음
2. 해외 기업의 애로사항
- 해외 기업이 POA를 신청할 경우, UK CAA의 현장 감사(Audit) 과정에서 영국 내 기업에 비해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
① 출장·일정 조율 문제 : 감사관의 해외 출장 필요로 인해 감사 일정 조율이 지연될 수 있음
② 비용 부담 : 감사관 출장비 및 현장 감사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
3. 대응 전략
-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해외 제조사는 영국 내 협력사와의 파트너십 구축 또는 영국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현장 감사 대응력 확보, CAA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Form 1 발급 절차 효율성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