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발 50% 구리 관세…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 통상·규제
- 미국
- 시카고무역관 이영주
- 2025-08-27
- 출처 : KOTRA
-
구리 반제품 및 파생 제품에 50%의 고율 관세 부과
트럼프 대통령, 구리 반제품·파생 제품에 50% 고율 관세 부과
2025년 7월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포고문을 통해 51종의 구리 반제품과 고함량 구리 파생 제품에 대해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8월 1일 오전 12시 1분부터 발효되며, 대상 품목에는 파이프·와이어·봉·판·튜브 등의 반제품과 관 이음쇠, 케이블, 커넥터, 전기 부품 등 구리 함량이 높은 제품이 포함된다.
*관세 적용 HS Code 세부 리스트: https://www.internationaltradeinsights.com/2025/07/president-trump-issues-executive-order-imposing-a-50-tariff-on-semi-finished-copper-products-and-intensive-copper-derivatives
반면, 구리 원광석·정광·매트·음극재·양극재·스크랩 등은 면세 대상에 포함됐다. 정제 구리(refined copper)에 대해서는 단계적 관세 부과(2027년 15%, 2028년 30%)가 보류된 상태이며, 2026년 6월 30일까지 상무장관이 미국 구리 시장 현황 보고서를 제출한 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이 조치가 향후 구리 가격에 미칠 영향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래 그래프는 2024년 9월부터 2025년 7월까지의 미국 구리 가격 추이를 나타낸다.
<2024.09~2025.07 미국의 구리 가격 추이>

[자료: S&P Global]
미국, 구리 소비량 절반 가까이 수입 의존
미국 국방부(U.S. Department of Defense)에 따르면 구리는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금속으로, 항공기, 지상 차량, 함선, 잠수함, 미사일, 탄약을 포함한 다양한 방위 산업에 필수적인 재료이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미국에서 소비된 구리와 구리 합금 제품은 약 190만 톤에 달했다. 이 중 건축 부문이 약 42%, 전기·전자 제품이 약 23%를 차지했다. 건축 분야에서는 전도성과 내식성*이 뛰어난 구리 합금이 주로 사용되고, 전기·전자 부문에서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고순도 구리와 특수 합금이 주로 쓰인다.
*내식성: 금속이 습기·화학물질 등 부식 요인에 견디는 성질
이러한 가운데, 미국은 구리 수요의 상당 부분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투자 자문 회사인 더모틀리풀(The Motley Fool)은 미국의 정제 구리 소비량 중 약 45%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4년 미국의 정제 구리(Refined copper) 수입량은 약 180만 톤으로, 최대 수입국인 칠레산(51%)이 60만 톤 이상을 차지한다. 나머지는 캐나다(31%), 멕시코(7%), 페루(5%), 콩고(2%) 등의 국가에서 들여온다. 구리선(Copper wire) 수입량은 정제 구리의 약 5분의 1 수준이며, 캐나다와 기타 국가 비중이 높다. 수입량이 가장 적은 구리 스크랩(Copper scrap)은, 주로 멕시코와 기타 국가가 공급한다.
<2024년 미국의 구리 제품 수입 구성(국가별·제품별)>

[자료: The Motely Fool]
관세 발표에 대한 시장 반응
이번 관세 발표 이전, 대다수의 시장 참여자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몇 개월간 간접적으로 시사해온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을 고려해 미국 내 구리 재고를 대량 확보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2025년 7월 기준, 미국 증권거래소(US Exchange)의 구리 창고 재고량이 253,431톤(Short ton)을 기록하며 2004년 이후 2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리고 관세 발표 직후, 뉴욕 상품거래소(COMEX)의 구리 선물가격은 하루만에 약 25% 급등해 파운드당 5.52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연초 대비 42% 이상 상승한 수치였다. 이처럼 미국 내 구리 가격은 글로벌 벤치마크*를 크게 웃돌았고, 관세 부과 전 물량 확보를 위한 선제적 대량 수입의 결과였다.
그러나 곧이어 트럼프 행정부가 원자재 성격의 구리는 관세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발표하자 시장 반응은 반전됐다. 관세 적용 범위가 좁혀지자 예상했던 구리 공급 차질 우려가 해소되면서 구리 가격이 단기간 급락한 것이다. 이로 인해, 구리 가격은 22% 이상 폭락하면서 뉴욕 상품거래소 역사상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글로벌 벤치마크(Global benchmark): 전 세계적으로 거래 가격의 기준이 되는 지표로, 구리 시장에서는 런던금속거래소(LME) 가격이 대표적으로 활용됨
구리 스크랩 미국 내 공급 강화 규정
새로운 관세 시행과 함께, 트럼프 행정부는 국내 구리 스크랩(copper scrap)*과 투입재의 유보율**을 높이는 정책을 발표했다. 2027년부터는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고품질 구리 스크랩의 최소 25%를 국내 시장에 공급하도록 하고, 미국에서 제조되는 구리 투입재 역시 최소 25%를 국내에 유통하도록 의무화한다. 이 비율은 2028년 30%, 2029년 40%로 확대될 예정이다.
* 구리 스크랩: 이미 사용된 구리 제품이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구리 폐자재를 수거·분류·재활용할 수 있도록 모은 원료
** 유보율: 생산량 중 국내에 반드시 공급해야 하는 비율
이러한 규제는 미국 제조업체와 재활용업체의 구리 원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다. 또한, 미국 상무부는 고품질 구리 스크랩 수출에 대해 허가제를 도입해 안정적인 국내 공급을 보장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는 재활용 구리에 대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미국 구리 산업을 강화하고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시사점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의 구리 수입에서 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3.5% 수준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번 ‘50% 구리 관세’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구리는 방위 산업, AI 데이터 센터, 전력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필수 원자재인 만큼 미국 내 구리 가격 변동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경우 구리를 주요 소재로 활용하는 전선, 전력·통신 자재 등 중간재의 가격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고전압 케이블(HS Code 8544.60)은 ‘전압 1000V를 초과하는 절연 전기 도체’로 분류되는 구리 함량이 높은 전력·통신 인프라 자재이다. 글로벌 트레이드 아틀라스(Global Trade Atlas)에 의하면, 해당 품목의 2024년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약 3억334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9.07% 증가해, 미국의 전체 수입국 중 1위를 기록했다. 현재 이 품목은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가격 추이와 공급망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 대상에 추가될 경우를 대비해, 기업의 가격 경쟁력 유지를 위한 미국 현지 생산이나 북미 우회 생산과 같은 대응 전략도 선제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잠재적인 통상 리스크에 대비하고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 백악관, 폴리티코, U.S. Department of Defense, Statista, S&PGlobal, The Motley Fool, Global Trade Atlas, KOTRA 시카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발 50% 구리 관세…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800달러 이하 소액 수입도 이제 美 FDA 심사 대상
미국 2025-08-27
-
2
유럽 해상풍력, 에너지 설비에서 전략적 안보 인프라로 전환
벨기에 2025-08-27
-
3
2025년 상반기 홍콩 경제동향 및 하반기 경제 전망
홍콩 2025-08-27
-
4
종합 예산 조정 법안 OBBBA와 미국 에너지 산업
미국 2025-08-22
-
5
미국, 철강·알루미늄 제품 407종 50% 관세 적용
미국 2025-09-08
-
6
멕시코 의료기기 위생 등록 동등성 인정 국가, 한국도 승인 범위에 포함돼
멕시코 2025-07-17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