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리핀 디지털 전환의 중심축, BPO 산업 고도화로 중산층 소비 지형도 변화
- 트렌드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형민혁
- 2025-06-27
- 출처 : KOTRA
-
필리핀 BPO 산업, ‘콜센터’에서 ‘KPO’로…글로벌 시장 2위 굳건
BPO 성장에 지방도시도 디지털 전환…외식·헬스케어 소비지형 바꾼다
아시아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이하 ADB)이 발간한 2025 아시아개발정책보고서(Asian Development Policy Report 2025)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이 아시아 주요국의 산업구조는 물론 소비패턴에도 구조적인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필리핀은 글로벌 아웃소싱 수요 확대에 힘입어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이하 BPO)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산층의 확대와 디지털 소비 기반의 고도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PO 산업의 확장은 단순한 외화 획득 수단을 넘어, 중산층 고용 확대, 지방 도시 성장, 디지털 친화 소비문화 형성 등 경제 내 다양한 파급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필리핀 산업통상부(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이하 DTI)는 이러한 구조 전환이 소비시장 전반의 다층화와 품목별 수요 재편을 유도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실제로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외식, 전자상거래, 교육, 헬스케어 분야의 소비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BPO 산업 현황과 확장 배경
필리핀 BPO 산업은 팬데믹 이후 글로벌 기업들의 비대면·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힘입어 외연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필리핀 정보기술·비즈니스프로세스협회(IT and Business Process Association of the Philippines, 이하 IBPAP)에 따르면, 필리핀 BPO 산업은 전통적인 콜센터 중심 구조에서 의료정보 처리, 금융 백오피스, 데이터 분석, IT 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영역(Knowledge Process Outsourcing, KPO)으로 급속히 전환 중이다. 이는 단순 외주 노동력 제공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반 전문 서비스 수출산업으로의 위상 재정립을 의미한다.
산업 구조의 고도화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에서도 확인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의 보고서에 따르면, 필리핀은 2023년 기준 전 세계 BPO 산업의 14%를 차지하며, 전통 강국인 인도(18%)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고객 서비스와 콘텐츠 모더레이션, 회계 및 인사관리(Back-office services)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특정 고부가 부문에서는 이미 인도를 앞지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필리핀 BPO 산업 글로벌 점유율 (2023년 기준)>
분야
글로벌 점유율
주요 경쟁국
전체 BPO 산업
14%
인도(18%)
고객 서비스(Customer Service)
15%
인도, 멕시코
콘텐츠 모더레이션
20%
인도네시아 등
백오피스 서비스(회계·HR)
17%
폴란드, 인도
[자료: IM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Philippine Labor Market(2025)]
<필리핀 BPO 산업 연도별 성장 추이>
연도
산업 수익(US$ 십억)
고용 인원 (만명)
수익 증가율
2020
26.7
144
—
2021
29.5
144
+10.6%
2022
32.5
170
+10.3%
2023
35.9
170
+10.5%
2024
38.0
182
+7.0%
[자료: IBPAP, Industry Performance Report 2024]
최근 3년간 고용과 수익이 동반 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단순 자동화에 의존하는 저비용 모델에서, 복합적 사고와 디지털 역량을 요구하는 고부가가치 서비스 중심 산업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의료정보관리(HIMS), 고객경험관리(CXM), IT 서비스 분야의 수요 증가는 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 중이다.
1) 지방 도시 중심의 산업 분산화
이러한 산업 확장은 공간적으로도 확연한 양상을 보인다. 전통적으로 수도권(Metro Manila)에 집중됐던 BPO 기업들이 클락(Clark), 세부(Cebu), 바기오(Baguio), 일로일로(Iloilo) 등 지방 거점 도시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필리핀 산업통상부(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이하 DTI)는 지방 ICT 기반 고용창출 전략을 통해 서비스 생태계 분산을 유도하고 있으며, 이는 청년 고용, 도시화, 생활 인프라 확장 등 구조적 전환을 동반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보고서에서 이러한 지방 확산이 단순한 비용 절감 전략을 넘어서, 지방 내 중산층 소비 기반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BPO 종사자들의 평균 소득이 상위 30%에 해당하며, 지방 도시에서는 이들이 외식, 교육, 쇼핑 등 지역 내 소비 파급 효과를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소비시장이 기존의 수도권 중심 구조에서 점차 다핵화되는 흐름으로 볼 수 있다.
2) 산업 고도화와 정부의 지원
AI 도입과 디지털 기술 확산은 필리핀 BPO 산업의 성장을 위협하기보다는, 오히려 고도화의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IMF 보고서는 텔레마케팅·데이터입력 등 단순 직무는 AI 대체 위험이 높지만, 고객 지원·데이터 해석·기술지원 등에서는 오히려 AI 보완을 통한 생산성 강화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필리핀 BPO 산업은 ‘업무 재구성(recomposition)’을 통해 새로운 직무 형태와 디지털 협업 구조로 진화하고 있다.
정부도 이러한 변화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CREATE 법 및 ‘CREATE MORE’ 시행령, 경제자유구역청(PEZA)의 인센티브, 정보통신부(DICT)의 전국 광대역망 구축은 산업 확장의 기반이 되고 있으며, IBPAP는 2028년까지 250만 명 고용, 590억 달러 수익 달성을 공식 목표로 설정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산업 구조의 변화는 필리핀 노동시장뿐 아니라 지방 경제와 소비 트렌드의 동시 재편으로 이어지고 있다.
디지털 소비방식의 진화와 BPO 중심 신소비계층의 부상
BPO 산업의 고도화는 고용과 소득 구조를 변화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필리핀 내 소비방식 전반에 구조적 전환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20~30대를 중심으로 한 BPO 종사자들은 불규칙한 근무시간,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중산층 수준의 소득을 기반으로, 디지털 친화적이고 맞춤화된 소비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지방 도시를 포함한 소비 생태계의 플랫폼화와 구독화, 건강·교육 지향 소비 확대라는 다층적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BPO 종사자 기반 소비 방식 변화 주요 지표>
분야
2020~2021
2023~2024
주요 변화 설명
전자지갑 사용률
42%
67%
Maya, GCash 등 전자지갑 보편화
모바일 헬스앱 이용률
28%
45%
교대근무자 중심 스트레스·건강관리 수요 증가
식사 배달앱 거래량
100%
325%
야간 근무자 대상 식사 주문 급증
디지털 콘텐츠 구독률
36%
61%
OTT·음악 플랫폼 이용 일상화
디지털 교육 서비스 이용률
21%
38%
야간·주말 자기계발형 온라인 강의 수요 확대
[자료: Colliers Philippines (2024~2025)]
특히 금융·결제 측면에서는 BPO 종사자들이 전통적 은행 서비스를 대체해 전자지갑 및 디지털 송금 수단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isa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OFW 및 디지털노동자 중심으로 송금·결제가 전자화되고 있으며, GCash, Maya, PayMaya와 같은 앱이 일상적 금융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고 평가했다.
<현지 대표 E-Wallet>
<G-Cash>
<PayMaya>
[자료: KOTRA 마닐라 무역관 정리]
이러한 소비 방식은 단순한 편의성 추구를 넘어, BPO 노동환경에 맞춘 구조적 적응 결과로 해석된다. 모바일 헬스케어의 경우, 수면·활력·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앱 사용이 확산되며, 건강정보 기반 알고리즘 콘텐츠나 웨어러블 기기 연동 기능에 대한 수요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또한 주말과 야간시간대의 자기계발 수요가 증가하며, Udemy, Coursera, Edukasyon.ph 등 플랫폼을 통한 비정기 수강이 새로운 구독 형태로 자리잡는 양상이다.
결과적으로, BPO 종사자들은 필리핀 내 ‘디지털 소비 전환’의 핵심 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단기 트렌드를 넘어 중장기적으로 내수산업 구조와 서비스 설계 방식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중산층 디지털 소비 확산, 유통·물류·교육 공급방식에 영향
BPO 산업을 중심으로 형성된 필리핀의 디지털 소비층은 맞춤형 소비 행태, 플랫폼 기반 수요, 실시간 주문과 야간 중심 소비 패턴은 공급자 측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특히 교육, 유통, 물류, 주거 부문은 이 같은 디지털 소비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예측 기반 설계와 자동화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Colliers Philippines는 “BPO 종사자의 디지털 소비는 특정 시간대·형태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해, 교육 및 유통 산업에서 개별 소비자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콘텐츠나 제품을 실시간으로 추천하는 시스템이 핵심 경쟁력이 되고 있다”라고 진단했다. 물류 부문에서도 공급망 전환이 가시화되고 있다. 글로벌 물류기업 DHL은 2025년 2월 6일 발표한 보고서 The future of last‑mile delivery: Trends to watch in 2025에서 “필리핀의 디지털 소비자는 예측 배송(Predictive Logistics)과 도심 내 소규모 물류 거점(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 MFC)의 핵심 대상”이라며, 자동화 및 인공지능 기반 수요 분석이 물류 전략의 중심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BPO 소비자 기반의 확산에 따른 산업 공급자 전략 변화>
산업 분야
구조 변화 사례
기업의 대응 전략
교육 서비스
단기 강좌·비정기 수강 집중, 사용자 시간대별 콘텐츠 수요 확대
인공지능 기반 추천 콘텐츠 설계 시스템 도입
유통 산업
앱 주문 후 오프라인 수령 일반화, 맞춤 추천에 따른 재고 예측 중요성 부각
판매정보(POS) 연동 자동화 및 실시간 수요 예측 강화
물류 산업
배송 시간 예측 정확도 요구, 도심 내 소형 물류창고(MFC) 수요 증가
AI 기반 예측 배송 시스템 및 근거리 물류 인프라 확충
주거 부문
단기임대 및 공유형 거주 공간 수요 증가, 생활 유연성 기반 주거 수요 재편
디지털 임대 관리 시스템(PropTech) 도입 및 관리 효율화
[자료: 아시아개발은행(ADB), DHL(The future of last‑mile delivery: Trends to watch in 2025), Colliers Philippines]
이처럼 필리핀의 디지털 소비는 산업 공급 구조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전환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BPO 산업을 기반으로 형성된 중산층 소비층은 지방도시를 포함한 다중 산업 구조의 재편에서 하나의 핵심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론 전체 디지털 소비 생태계의 변화는 전자상거래의 성장, 모바일 인프라 확대, 플랫폼 기술의 진화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하지만, BPO 종사자 중심의 소비계층은 그 속에서 예측 기반 서비스 수요와 맞춤형 공급 체계의 수요층으로서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사점
필리핀 BPO 산업의 확장은 단순한 수출·고용 성과를 넘어, 디지털 소비 생태계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플랫폼 기반 소비방식에 익숙한 BPO 종사자들은 산업 전반에 맞춤형·비정형 수요를 확산시키는 실질적 주체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통·물류·교육·주거 등 다수의 산업 공급 전략에도 구조적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필리핀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BPO 거점 생활권’은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뿐 아니라, 공급자 중심 산업 설계 방식 전반에 재편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플랫폼 기반 IT 솔루션, 스마트 물류 시스템, 교육 콘텐츠, 헬스케어 서비스 등 디지털 기반 소비 대응 역량을 갖춘 한국 기업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시간·수요 예측 기반 운영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BPO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공급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마닐라 퀘존 지역 BPO 단지 내 요식업을 운영 중인 H 씨는 “야간 교대제에 맞춰 주문이 집중되기 때문에, 저희도 근무 스케줄에 맞춰 시스템을 바꾸지 않을 수 없다”라고 전했다. 이처럼 소비 행태 변화가 공급자의 사업 모델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한국 기업의 현지 진출 시 BPO 소비 생태계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적시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자료: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통화기금(IMF), 필리핀 정보기술·비즈니스프로세스협회(IBPAP), 필리핀 산업통상부(DTI), Colliers Philippines, DHL, Visa, Philstar 및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필리핀 디지털 전환의 중심축, BPO 산업 고도화로 중산층 소비 지형도 변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필리핀 건설산업
필리핀 2019-07-15
-
2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 2019-08-21
-
3
필리핀 부동산 산업
필리핀 2020-07-06
-
4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정보
필리핀 2021-11-05
-
5
2024년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필리핀 2024-12-23
-
6
2021년 필리핀 산업 개관
필리핀 2021-07-02
-
1
2024년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필리핀 2024-12-23
-
2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정보
필리핀 2021-11-05
-
3
2021년 필리핀 산업 개관
필리핀 2021-07-02
-
4
필리핀 부동산 산업
필리핀 2020-07-06
-
5
필리핀 통신산업 정보
필리핀 2020-06-11
-
6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 201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