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통신기기 부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인도
  • 뉴델리무역관 한종원
  • 2025-04-28
  • 출처 : KOTRA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통신 시장, 인도

한국산 수입 규모는 전년대비 146% 확대

상품명 및 HS code

 

통신기기 부품은 HS코드 851779에 속한다.

 

시장 동향

 

글로벌 컨설팅사 PwC의 글로벌 통신 전망 2024-2028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유선 및 모바일 네트워크의 총 서비스 수익은 4.3% 증가해 11400억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2028년까지 업계 매출은 예상 인플레이션율보다 더딘 2.9%의 연평균 성장률을 유지해 1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의 주요 장애물은 핵심 서비스가 점점 더 상품으로 간주되어 가격 인상이 어려운 반면, 인프라 투자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이다. 통신 기업들이 혁신을 통해 기존 수익원으로부터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것이다.

 

<2019~2028년 통신 분야 서비스 수익>

(단위: US$ 십억 달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ea44b3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8pixel, 세로 322pixel

[자료: PwC 글로벌 통신 전망 2024-2028]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통신 시장이다. 총 가입자 수가 119928만 명에 달하며 지난 10년간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인도 통신 시장은 크게 모바일, 유선, 인터넷 서비스로 나뉘는데, 전체 통신 산업의 총 수익은 회계연도 2024년 기준 392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공동으로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모바일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GDP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인도 통신부는 모든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접근성을 제공하겠다고 목표하고 있는 만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또한, 2025년까지 인도의 인터넷 사용자가 10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통신 부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인도 통신 사용자 수 추이 및 전망>

(단위: 십억 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ea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1pixel, 세로 292pixel

 [자료: 인도 통신규제기관(Telecom Regulatory Authority of India)]

 

인도 통신 산업의 확장 요인은 다양하다. 농촌 시장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크다. 인도 정부는 여러 이니셔티브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 및 유지보수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2105G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2023131일 기준으로 238개 도시에서 5G 서비스가 가동되고 있다. 인도는 향후 10년 내에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5G 서비스 시장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인도는 또한 뱅킹, OTP, 전자 상거래, 정부 알림 등 상업용 SMS 트래픽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최대 시장 중 하나다. 디지털 거래와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A2P(Application to Person) 메시징은 통신 부문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인도 통신 규제 당국(TRAI)은 모든 상업용 SMS의 추적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에 대한 추적을 의무화하는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공공 와이파이 연결성 확대도 한 몫 한다. 20241227일 기준 247,076개의 공공 와이파이 핫스팟이 구축되었고, 정부는 이를 전역으로 확대해 시민들이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수입 동향

 

<대인도 통신기기부품(HS code: 851779) 수출국 및 규모>

(단위: US$ 백만)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1

2025. 1

증감률

1

중국

3,197.22

4,041.83

498.53

877.41

76.00

2

아일랜드

937.92

3,328.36

270.57

527.26

94.87

3

홍콩

992.88

919.75

141.99

103.38

-27.19

4

베트남

315.37

512.04

76.06

84.12

10.60

5

대한민국

62.85

62.78

15.57

38.35

146.35

6

대만

820.04

1,226.56

95.61

20.76

-78.28

7

태국

43.76

40.99

3.48

4.39

26.08

8

싱가포르

14.27

56.10

9.54

3.46

-63.71

9

말레이시아

6.19

22.02

3.83

2.81

-26.73

10

네덜란드

4.00

14.57

0.96

2.27

136.81

[자료: Global Trade Atlas]

 

<한국의 대인도 통신기기부품 수출규모>

(단위: US$ 백만)

HS 코드

품목

2022

2023

2024.1

2025.1

증감률

851779

Parts Of Telephone Sets Or Other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Voice, Images Or Other Data

62.85

62.78

15.57

38.35

146.35

85177910

Populated, Loaded Or Stuffed Printed Circuit Boards

15.30

9.83

0.15

3.93

2500.42

85177990

Other

47.55

52.96

15.42

34.42

123.27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인도 통신기기부품 주요 기업>

(단위: US$ 백만)

연번

기업명(로고)

홈페이지

매출액

개요

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168pixel

Ericsson India Private Limited

https://www.ericsson.com/en

394.8

· 에어텔, 지오 등 인도의 거대 통신사에 4G 5G 무전기 및 핵심 장비를 공급하는 주요 업체

· 네트워크 현대화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현지 제조 지원 및 R&D 센터를 통해 인도의 5G 인프라 확장에 적극적으로 참여

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168pixel

Nokia India Private Limited

https://www.nokia.com/

489.32

· 인도 최고의 통신 장비 공급업체 중 하나로, 바르티 에어텔, 보다폰 아이디어와 같은 사업자와 수십억 달러 규모의 5G 계약을 체결

· 첸나이에 강력한 제조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인도 전역의 광, 모바일 및 고정 네트워크 구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

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20pixel, 세로 394pixel

Samsung India Electronics Private Limited

https://www.samsung.com/in/

12,048

· 4G를 위해 Jio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현재 5G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인도의 통신 장비 분야에 기여

· 기술 전문성과 글로벌 규모를 활용하여 인도의 차세대 무선 생태계에서 역할을 확대 중

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168pixel

HFCL Limited

https://www.hfcl.com/

535.7

· 광섬유 케이블, 액세스 장비, 무선 시스템을 전문으로 하는 제조업체

· 인도 내 제조 및 5G 지원 생산에 발맞춰 글로벌 수출 확대 중

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5pixel, 세로 225pixel

Bharat Sanchar Nigam Limited

https://bsnl.co.in/

1,665.14

· 주로 통신 서비스 제공업체, Tejas HFCL과 같은 국내 OEM과 제휴하여 장비 공급

· 5G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현대화 작업을 진행 중

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5pixel, 세로 225pixel

Tejas Networks Limited

https://www.tejasnetworks.com/

290

· TATA 그룹 계열사인 Tejas Networks는 첨단 광통신 및 광대역 솔루션을 제공하는 인도의 선도적인 통신 장비 제조업체

· BSNL의 주요 공급업체로 농촌 광대역 구축에 참여하고 있으며, 인도의 PLI 제도의 지원을 받아 글로벌 기업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음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 구조

 

인도 내 통신기기부품은 통상적인 유통 구조를 따른다. 화웨이, 에릭슨, 노키아 등과 같은 글로벌 제조 및 OEM 업체들이 통신 사업자, 대형 시스템 통합 업체에 직접 또는 공인 유통업체를 통해 통신 장비를 공급한다. 수입 및 유통업체는 대량 수입, 규정 준수, 창고 보관 등을 담당해 지역 유통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이를 공급받은 업체 및 리셀러는 장비를 활용하여 맞춤형 통신 솔루션을 설계 및 제공한다.

 

<인도 통신기기부품 유통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ea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7pixel, 세로 531pixel

[자료: KOTRA 뉴델리무역관 직접 작성]

 

관세율 및 인증

 

인도로의 통신기기부품(HS 코드 851779.90) 수출에 있어서 기본관세(BCD) 15%, 사회보장세(SWC) 10%, 통합 부가세(IGST) 18%의 관세가 부과된다. 다만 해당 품목은 CEPA 협정 하 면세 대상으로, 협정 적용 시 기본 관세가 0%로 면제된다.

 

시사점

 

2025년까지 116500만 명 이상의 무선 가입자와 10억 명에 가까운 인터넷 사용자가 예상되는 인도는 한국 기업들에게 통신 장비 분야에서 탄탄한 성장 환경을 제공한다. 인도 정부가 바라트넷, PM-WANI, 스마트 시티 개발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통해 디지털 접근성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라우터, 광섬유 시스템, Wi-Fi 모듈, 5G 인프라 부품과 같은 통신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238개 도시에서 5G가 빠르게 출시되고 금융, 전자 거버넌스, 제조업 등 여러 분야에서 IoT의 상업적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첨단 AI 통합 통신 하드웨어와 IoT 지원 부품 분야에서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인도의 통신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한국산 수입이 전년 대비 146% 이상 증가하는 등 인도의 통신 시장은 고품질 해외 기술에 대한 높은 수용성을 반영하고 있다.

 

CEPA 협정에 따라 HS 코드 851779.90에 해당하는 통신 부품은 미적용 시 관세율인 37.47%에 비해 훨씬 낮은 18%의 관세를 적용 받는다. 20%에 가까운 비용 절감으로 한국 수출업체는 인도 시장에서 제품 가격을 더욱 경쟁력 있게 책정할 수 있으며, 통신 가치 사슬 전반에서 인도 바이어에게 더 많은 이점을 어필할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은 통신 사업자를 넘어 라우터, 네트워크 확장기, 스마트 허브, 무선 통신 액세서리 등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의 소비자 및 중소기업용 IoT 지원 통신 장비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다. 스마트 홈 도입과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증가함에 따라 플러그 앤 플레이 통신 하드웨어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다국어 인터페이스, 강력한 내열성, 경쟁력 있는 가격대 등 인도인의 사용 환경에 맞게 마케팅 활동과 제품 디자인을 맞춤화하면 시장 더 깊이 침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료: PwC, Invest India, 인도브랜드자산재단(IBEF), India Briefing, Telecom Review Asia, TRAI, Kompass, Times of India, Livemint, Hindustan Times, Economic Times 등 현지 언론 보도 종합 및 KOTRA 뉴델리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통신기기 부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