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심플함과 지속가능성으로 물드는 몽골 네일 시장
  • 트렌드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
  • 2025-04-22
  • 출처 : KOTRA

합리적인 가격대와 함께 꾸준히 성장하는 뷰티 시장의 신흥 강자

화려함은 줄이고, 친환경은 더하고… 변화하는 소비자 취향 반영

몽골 네일 시 개요

 

몽골의 네일 시장은 최근 몇 년 사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체 인구 약 350만 명 중 여성 비중이 51%에 달하며, 이들 여성 고객층을 중심으로 시장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과 함께 소비 여력이 회복되면서, 네일 서비스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는 추세다. 몽골의 네일 서비스 가격은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해 접근성이 높고, 이로 인해 다양한 연령대의 고객층 특히 20~30대 여성들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이들은 네일을 단순한 미용을 넘어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인식하며, 네일 관리가 일상적인 자기 관리의 일환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몽골 특유의 대륙성 기후 역시 네일 시장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겨울철에는 극심한 추위, 여름철에는 건조한 더위가 반복되는 환경 속에서 지속력이 강한 젤 네일의 수요가 급증했다. 실제로 현지 고객들은 일반 매니큐어보다 젤 네일을 선호하며, 젤 네일은 몽골 네일 서비스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4년 몽골 여성 인구의 연령별 분포>

(단위: 명)

external_image

[자료: 몽골 통계청]

 

디자인 트렌드 역시 변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생일이나 데이트 등 특정한 날에 맞춘 이벤트성 네일이 주류였지만, 최근에는 보다 자연스럽고 실용적인 스타일이 각광받고 있다. 이처럼 미니멀한 디자인 선호 현상은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SNS와 외국 인플루언서들의 영향도 트렌드 변화에 한몫하고 있다. 해외 거주 몽골인들 사이에서는 방학이나 휴가철 고향 방문 시 네일 시술을 받는 것이 하나의 문화처럼 자리 잡고 있다. 마치 맛집 방문이나 가족 모임처럼, 네일샵 방문이 귀국 일정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포함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네일이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자기 표현과 소속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트렌드는 네일 산업 전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지 네일샵들은 내국인뿐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 해외 거주 몽골인을 포괄하는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며 시장 다변화를 이루고 있으며, SNS를 기반으로 한 입소문 마케팅과 개인 네일 아티스트들의 브랜드화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서 퀄리티와 개성을 강조한 전략이 몽골 네일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입 동향

 

최근 5년간 몽골의 네일 제품 수입은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총 수입액은 2020년 26만 7782 달러에서 2024년 30만 8926달러로 약 15% 증가했다. 특히 2022년에는 34만 7415달러로 가장 높은 수입액을 기록했으며, 코로나 이후 소비 회복과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가 수요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5년간 누적 수입액 기준으로 보면 중국이 22만 8263달러로 몽골의 최대 수입국이며, 폴란드(18만 1543달러), 한국(17만 9866달러), 튀르키예(16만 8213달러)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특히 한국은 2020년 대비 2024년 수입 규모가 4배 이상 증가하며, 고품질 젤 네일 제품과 K-뷰티 트렌드의 확산에 따른 수요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몽골의 네일 제품 수입 구조는 특정 국가에만 의존하기보다는 점차 다양한 국가로부터 제품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다변화되고 있으며, 가격뿐 아니라 품질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몽골 네일 시장의 성숙도를 보여주는 지표이자, 향후 프리미엄 시장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다.

 

<최근 5년간 몽골 네일 제품 수입 동향>

(단위: US$)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5  수입액

수입액

267,782

21.4%↓

255,109

4.7%↑

347,415

36.1%↑

247,448

28.7↓

308,926

24.8↑

1,426,680

중국

20,394

45,498

67,487

54,490

40,393

228,263

폴란드

22,538

25,393

48,973

17,586

67,053

181,543

한국

12,797

30,981

53,130

28,533

54,424

179,866

튀르키예

24,011

32,040

47,079

22,474

42,609

168,213

러시아

77,562

30,077

14,940

8,785

11,937

143,301

프랑스

29,257

32,790

31,921

31,900

13,525

139,393

독일

6,236

29,812

26,049

28,418

37,801

128,317

미국

53,858

1,039

14,010

16,797

14,219

99,922

일본

214

707

19,439

19,739

9,309

49,409

룩셈부르크

4,304

9,325

5,497

3,858

995

23,978

[자료: 몽골 관세청]

 

<최근 5년간 네일 제품 수입액 기준 몽골 주요 수입업체>

기업명

기업 로고

홈페이지

Aurora Beauty Zone Cosmetics LLC

external_image

N/A

Nomin Trading LLC

external_image

https://www.nomin.co/

Oriflame Mongolia LLC

external_image

https://mn.oriflame.com/

Ulemj Grease LLC

external_image

https://ulemjgrease.com/

WELLBEE LLC

external_image

https://wellbeeshop.mn/mn

Brickland LLC

external_image

https://brickhouse.mn/

Sky Hypermarket LLC

external_image

https://www.e-mart.mn/

Global Bridge LLC

external_image

https://www.facebook.com/globalbridgeXXK

New Faberlic LLC

external_image

https://www.facebook.com/faberlic.mgl/

Elite Cosmetics LLC

external_image

N/A

[자료: 각 업체 홈페이지]

 

몽골 네일 시장 업계 현황 트렌드

 

몽골의 네일 업계는 뚜렷한 세분화와 함께 소비자 니즈의 다양성이 돋보인다. 현재 네일샵은 크게 프리미엄 샵, 중간급 샵, 그리고 입문/초급 샵(저가형)으로 나뉘며, 각각의 서비스 수준과 타겟층이 명확하다. 

  

<몽골 네일 업계 분류 및 가격대 비교>

업체 유형

제품 자재

시술자 수준

특징 타겟 고객층

가격대(US$)

프리미엄

고급 제품 사용

유명 아티스트

숙련된 전문가

독창적 디자인, 고품질 서비스, 고소득층 중심

23~30

중간급

중가 제품 

사용

일반 숙련 네일 아티스트

안정적 퀄리티, 합리적 가격

일반 소비자와 직장인 타겟

15~20

입문/초급

(저가형)

저가 제품 

사용

초급자, 연습 중인 시술자

포트폴리오/연습 목적, 저렴한 비용, 학생 체험 수요 중심

8~10

[자료: 각 업체 SNS 계정]


몽골 내 네일 업계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나 산업 규모는 아직 명확하게 집계되어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란바토르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네일샵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샵들이 상권 내에 밀집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울란바토르 중심 지역 네일샵 분포>

external_image

[자료: Google Maps 캡처 화면]

 

최근에는 네일 디자인 자체의 트렌드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복잡하고 화려한 아트보다는 깔끔하고 단정한 스타일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많은 샵들이 전체적인 분위기와 시술 콘셉트를 심플하고 세련된 방향으로 바꾸고 있는 추세다. 이 흐름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실생활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실용적인 감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꾸안꾸’ 스타일, 톤 다운된 컬러, 손톱 본연의 형태를 살린 디자인 등이 대표적이며, 현지 인기 네일샵들의 SNS나 포트폴리오에서도 이러한 스타일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다.

  

<최근 몽골에서 주목받는 심플 네일 디자인>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자료: Instagram (Oh beauty zone, Nabi.nail.room, OOKO nail studio)]

 

이와 더불어, 건강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에코 네일’ 트렌드도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예쁜 디자인을 넘어, 손톱에 부담을 줄이면서도 미적인 만족을 주는 제품과 시술 방식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고객층을 중심으로는 가격보다 자신의 건강과 라이프스타일에 더 가치를 두는 선택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들은 화학 성분이 적은 비건 네일, 논톡식(nontoxic) 제품, 저자극 젤 등을 선호하며, 이는 네일샵의 제품 구성과 마케팅 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문가 코멘트

 

울란바토르 도심에서 2인 규모의 소형 네일샵을 운영 중인 한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몽골 고객들의 네일 스타일 선호도가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 드라마나 연예인 스타일을 참고해 방문하는 고객이 많아졌으며, 연말 파티나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이상 과한 아트보다는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깔끔한 디자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전했다.


관계자는 이어, 소규모 샵 특성상 외부 입지나 간판보다는 SNS를 통한 온라인 홍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인스타그램과 같은 플랫폼을 통해 샵을 알게 되고 방문하는 고객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층을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품 수급과 관련해서는, 현재는 대부분 중국산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몽골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한국 제품’에 대한 품질 신뢰도가 높아, 제품 선택 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시사점

 

몽골 네일 시장은 아직 산업 규모나 구조가 명확히 형성되진 않았지만, 울란바토르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작고 유연한 샵들을 중심으로 자생적인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특히 소비자 트렌드는 한류의 영향으로 깔끔하고 세련된 한국식 네일 디자인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현지 네일샵 및 유통 바이어들의 운영 규모가 전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시장 진출 초기에는 소량 수입을 기반으로 한 테스트 마케팅이 필요하다. 대량 공급보다는 소규모 단위의 주문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통 구조와 거래 조건을 제시하는 것이 신뢰를 구축하는 데 유리하다. 이는 현지 업체 입장에서는 재고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실용적인 방식이며, 한국 제조사 입장에서도 시장 반응을 빠르게 파악하고 피드백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자료: 몽골 관세청, 몽골 통계청, 각 언론 기사, KOTRA 울란바토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심플함과 지속가능성으로 물드는 몽골 네일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